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신상용의 벤처나라] 박람회 예찬

[신상용의 벤처나라] 박람회 예찬

 

신상용 ㈜프리핀스 대표

 

 

틈틈이 박람회장을 찾는다. 30대 초반에 직장인에서 사업가로 전환하면서 본격적으로 산업전시회를 관람하기 시작했다. 자주 찾다 보니 어느덧 취미가 되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삼성역·9호선 봉은사역에 위치한 '코엑스(COEX)', 중소기업을 위한 전시장인 3호선 학여울역 '세텍(SETEC)', 푸드테크 분야 박람회에 특화된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 'aT센터', 지난해 개관해 최신 편의시설과 삼성동 코엑스 대비 1.8배 큰 규모를 갖춘 9호선·공항철도 마곡나루역에 있는 '코엑스 마곡'을 주로 간다.

 

대부분의 벤처·스타트업 창업자들이 그렇듯이 필자 또한 고객사 영업과 IR(투자설명회) 라운드 등 하루에도 수차례 방방곡곡 현장을 누빈다. 외근 나갔을 때 이동 동선에 맞춰 잠시 짬을 내어 박람회장을 방문한다. 시간 약속은 신뢰이기 때문에 외부 미팅을 갈 때는 교통 상황 변수가 적은 지하철을 이용한다. 앞서 전시회장들을 소개할 때 알 수 있는 것처럼 대부분 지하철역과 연결되어 접근성이 훌륭한 점도 자주 찾게 되는 이유 중 하나다.

 

박람회장을 가면 여러가지 장점들이 있다. 우선,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고, 산업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다. 현대 사회는 정보의 홍수 시대다. 정보가 너무 많아서 문제다. 지금도 손에서 떼지 못하는 스마트폰 화면만 열어도 각종 최신 트렌드들이 쏟아진다. 하지만 나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를 선별하는 것이 관건이다.

 

매주 테마별로 기업과 기술을 전시하는 박람회장은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최적의 플랫폼이다. 온라인으로는 알 수 없는 실제 제품의 질감, 기술의 작동 방식, 서비스의 운영 모습을 관계자의 시연과 설명으로 보고 들으며 경험할 수 있다. 이는 소비자 뿐 아니라 관련 업계 종사자에게도 자사의 제품 및 서비스와 비교하며 개선점을 발견하는 훌륭한 '경험 자산'이 된다.

 

박람회에 참여한 기업들 부스에서 직접 사람을 만나고 의견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훌륭한 제휴 파트너도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때 자연스럽게 필자가 판매하는 렌털전환(RX) 솔루션을 설명하다 보면 신규 고객사를 유치하기도 한다. 온라인에서는 얻기 힘든 오프라인 박람회의 장점이다. 역시 현장에 답이 있다는 말이 옳다는 것을 체감한다.

 

건강도 챙기는 건 덤이다. 지하철을 이용하고, 전시회장을 돌아다니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하루 만보를 훌쩍 넘기게 된다. 이처럼 경험 자산을 얻고, 협업 파트너도 찾고, 고객사 영업도 할 수 있는 등 실질적인 이득을 안겨주는 박람회의 장점은 무수히 많다. 참! 웬만한 박람회는 사전 등록을 하면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최고의 가성비로 자기 계발과 회사 발전에 도움이 되는 활동이다.

 

지하철역에 들어가기 전 오랜만에 만난 무가지 신문을 집어 들었다. 신문을 읽다가 금주의 전시·박람회 정보를 모아둔 코너가 눈에 들어온다. 지하철에서는 스마트폰보다 신문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를 전하는 무가지 신문을 지하철역에서 자주 만나면 좋겠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