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말 안 해도 통한다"…삼성전자, '앰비언트 AI'로 인터페이스 혁신 노린다

'빅스비'부터 '나우 브리프'까지…"체계적인 AI 진화"
'보이지 않는 AI' 구현 등 목표
음성·텍스트 없이도 상황 파악
개인화 AI로 사용자 루틴 예측
카메라로 옷장 비추면 의상 추천

챗GPT로 생성한 '삼성전자의 '음성이나 텍스트 입력 없이도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보이지 않는 AI'에 대한 이미지

'나보다 나를 더 잘 이해하는 인공지능(AI)이 온다.'

 

삼성전자가 차세대 AI 기술인 '앰비언트 인텔리전스'를 앞세워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의 근본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음성이나 텍스트 입력없이도 상황과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이지 않는 AI' 구현이 목표다.

 

박지선 삼성전자 MX사업부 랭귀지 AI팀 부사장은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브루클린 윌리엄 베일 호텔에서 열린 미디어 브리핑에서 "멀티모달과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는 능력을 갖춘 AI는 사용자 경험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며 "일일이 타이핑하지 않아도 눈앞의 장면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친구처럼 AI와 대화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챗GPT로 생성한 '갤럭시Z 폴드7·플립7의 멀티모달 AI 기능을 사용하는 장면'에 대한 이미지

삼성전자는 최근 공개한 '갤럭시Z 폴드7·플립7'에 폴더블폰 특화 멀티모달 AI 기능을 탑재했다. 멀티모달 AI는 음성, 텍스트, 이미지 등 다양한 감각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고 이해하는 기술로, 입력 방식의 경계를 허무는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주목받고 있다. 폴드7은 대화면을 활용해 실시간 음성 명령을 반영하는 '제미나이 라이브' 기능을 지원하며, 플립7은 '플렉스 모드'에서 카메라로 옷장을 비추면 어울리는 의상을 추천해 주는 식의 영상 기반 응답 기능을 제공한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을 AI 생태계의 중심 허브로 설정하고, 이를 워치, 링, XR, 가전, TV 등 다양한 기기로 확장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워치나 링에서 수집한 생체 정보와 스마트폰의 위치·일정 데이터를 통합해 사용자의 상태와 요구를 예측하고, 맞춤형 기능을 먼저 제안하는 구조다.

 

이러한 '능동형 인터페이스'는 차세대 갤럭시 소프트웨어 '원UI 8'을 통해 더욱 정교해질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사용자의 루틴을 예측해 최소한의 개입으로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하는 '개인화 AI'를 지향하고 있다. 영국 런던대 골드스미스 경영연구소와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전체 사용자 중 약 45%는 타이핑만큼 음성 명령을 자주 활용하며, 60%는 스마트폰이 사용 패턴을 학습해 스스로 기능을 수행하길 기대한다고 응답했다.

 

삼성전자의 전략은 애플, 구글 등 글로벌 AI 경쟁에서도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애플이 iOS 기반의 온디바이스 AI에 집중하고, 구글과 아마존이 음성 비서 중심 생태계를 확장하는 가운데, 삼성은 하드웨어 연동성과 인터페이스 유연성을 앞세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자체 언어모델 '가우스'를 중심으로 한 온디바이스 처리 기술과 외부 모델과의 혼용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AI' 전략은 성능과 개인정보 보호, 디바이스 최적화라는 세 가지 조건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쟁 우위를 노릴 수 있는 포인트로 평가받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온디바이스 최적화와 하이브리드 전략을 병행하는 삼성전자의 방식은 성능과 보안, 사용자 경험을 모두 확보하려는 시도로 읽힌다"며 "인터페이스 중심의 차별화 전략이 글로벌 경쟁에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