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인천교육청 도성훈 교육감, 짐바브웨 람사르총회에서 바다학교 홍보

인천시교육청 융합인재교육과 고은숙 과장이 교육청 브리핑룸에서 출입기자들에게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 참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메트로신문

도성훈 인천광역시교육감이 아프리카 짐바브웨에서 열리는 제15차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에 참가해 인천의 습지교육 모델을 국제사회에 공유한다. 바다학교와 학교습지, 국제 교류 프로그램 등 생태전환교육 전반을 통해 기후위기 시대의 미래교육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제15차 람사르협약 당사국 총회가 오는 7월 24일부터 31일까지 짐바브웨 빅토리아폴스에서 개최된다. 이번 회의에는 인천광역시교육청 도성훈 교육감을 포함한 9명의 습지교육 관련자들이 참가한다. 방문단은 23일 저녁에 출발해 두바이와 짐바브웨 하라레를 거쳐 총회가 열리는 빅토리아폴스로 이동하며 25일부터 27일까지 공식 일정을 소화한 뒤 29일 귀국할 예정이다.

 

람사르협약은 전 세계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1971년 체결된 국제협약으로 현재 172개국이 가입해 있으며 2,500여 개의 습지가 람사르습지로 지정돼 있다. 총회는 3년마다 열리며, 이번이 15번째다. 2024년 5월 무손다 뭄바 람사르협약 사무총장이 인천광역시교육청을 직접 방문해 바다학교 운영 사례를 청취한 뒤 도 교육감을 총회에 공식 초청한 것이 이번 참가로 이어졌다.

 

총회 기간 중 인천광역시교육청은 습지도시 포럼과 습지교육 사이드이벤트에 참여한다. 도성훈 교육감은 한국습지학교네트워크와 함께 지난 제14차 총회에서 채택된 'XIV.11 공교육에서의 습지교육 확대' 결의안의 이행 결과를 발표한다. 이 자리에서 국내 유일의 해양·연안습지 교육 프로그램인 바다학교, 도시형 학교습지 조성, 이동 생물 기반 국제교류 프로그램 등 인천의 다양한 생태교육 정책이 소개될 예정이다.

 

바다학교는 인천의 섬과 연안 환경을 교육 현장으로 활용하는 국내 최초의 해양습지교육 프로그램이다.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섬을 방문해 생태와 문화, 해양쓰레기 문제 등을 통합적으로 학습하며, 학생들에게 실질적 자연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인천시교육청은 학교 내 생태습지와 논을 포함한 녹색 공간을 조성해 도시 속 생물다양성 보존을 실천하고 있다.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한 생태습지는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기후위기 대응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습지를 기반으로 한 국제 교류도 활발히 추진 중이다. 인천 연안은 도요물떼새와 저어새 등 다양한 철새의 서식지로 이들의 이동 경로에 위치한 도시들과 협력해 생물 보호와 생태교육을 연계하고 있다. 세계로배움학교를 통해 인천은 2021년부터 홍콩, 일본, 몽골 등과 온라인·오프라인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한편 람사르총회 참석단은 짐바브웨 교육부 장관 및 주한 짐바브웨 대사와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며 두바이 경유 중에는 미래박물관과 총영사관을 방문해 인천의 미래교육 방향과 연계한 정보 교류도 계획하고 있다.

 

도성훈 교육감은 기후위기 시대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습지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며 "기후변화는 인류가 직면한 최대 과제이며, 지속가능한 미래교육은 온전한 자연환경 위에서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인천교육청이 잘하고 있는 생태전환교육 정책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다른 지역의 우수한 사례도 배우겠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