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책과 우연들

김초엽 지음/열림원

 

'책과 우연들'은 한국 SF를 대표하는 소설가 김초엽의 첫 에세이다. 작가는 이 책을 "읽기 여정을 되짚어가며 그 안에서 '쓰고 싶은' 나를 발견해가는 탐험의 기록"이라고 소개한다. 다양한 독서 경험을 담은 글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끈 파트는 '서평, 비평, 그리고 리뷰'다.

 

저자는 서평을 쓰는 게 어려워 일을 선택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 지금은 자신에게 들어오는 모든 리뷰, 비평, 해설 의뢰를 거절함으로써 안온한 '무(無)서평 지대'에 머무르고 있다고 고백한다.

 

그는 서평을 꺼리는 이유로 ▲오독에 대한 두려움 ▲비평적 거리 두기의 어려움 ▲서평 목적에 대한 혼란스러움 크게 세 가지를 든다. 그중 첫 번째 이유가 가장 의외였다. 필자가 꼽는 독서의 즐거움 중 하나가 '내 멋대로 읽는 재미'여서다.

 

저자는 "정확히는 오독을 공개적으로 드러낸다는 두려움이 있다"며 "책을 잘못 읽거나 이해하는 것은 늘 일어나는 일이니 그 자체로는 겁낼 것이 없지만, 오독을 온 천하에 공개하는 것은 좀 부끄럽다"고 털어놓는다.

 

세상에 과연 오독이라는 게 존재할까. 사람마다 생김새가 다르듯, 각자 살아온 삶의 환경과 가치관도 제각각이다. 그런 독자들이 하나의 책을 똑같이 이해하리라는 기대는 비현실적이다. 100만명이 본 영화나 책에서 100만가지 해석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작가 역시 과거에는 자신의 소설이 의도대로 읽히지 않는 상황에 고민이 많았다고 한다. "내가 잘못 쓴 것인지 독자들이 잘못 읽은 것인지, 의도를 더 드러내야 하는지 혹은 숨겨야 하는지 종잡을 수 없어 머리가 아팠다"고.

 

수많은 서평을 읽으며 그는 하나의 진실을 받아들이게 된다. 소통의 수단으로서 책은 불완전하고, 그 불완전성이 바로 책의 가능성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저자는 "나는 종종 서평을 읽으며 나도 몰랐던 내 소설의 의미를 발견한다"면서 "그것은 결코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때로 소설에 내재돼 있고, 누군가 발견하기 전 그 의미들은 마치 없는 것처럼 평평한 표면 뒤에 그저 잠들어 있었다"고 말한다. 296쪽. 1만6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