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콜마홀딩스, 연우 인수 3년간 3600억원 투입..."연우 M&A, 실익보다 주주가치 리스크 커"

윤상현 콜마홀딩스 부회장(왼쪽)과 윤여원 콜마비앤에이치 대표(오른쪽)은 창업주 윤동한 콜마그룹 회장의 장남·장녀로 콜마그룹 남매경영의 핵심 주축이다. /콜마그룹.

29일 국내 유통 업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화장품 용기 제조업체 연우가 한국콜마로 인수되는 과정에서 '연우' 수익성은 악화됐고, 대규모 배당으로 대주주 이익 중심의 경영이 이뤄졌다는 논란이 제기됐다. 

 

콜마그룹은 최근 그룹 내 건강기능식품 제조개발생산(ODM) 자회사 콜마비앤에이치 사업에서 경영쇄신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오는 9월 26일까지 콜마비앤에이치 임시 주주총회가 열릴 예정이다. 특히 윤상현 콜마홀딩스 부회장은 이사회 재편은 물론, 기존 건강기능식품에서 생명과학으로 사업체질 개선 등을 예고한 바 있다. 

윤상현 부회장은 콜마그룹 지주회사 콜마홀딩스를 비롯해 계열사 화장품 제조개발생산(ODM) 기업 한국콜마 등을 운영하고 있는 핵심 경영진이다. 

 

다만 지주회사 콜마홀딩스와 계열사 콜마비앤에이치는 경영 방식에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콜마가 화장품 용기 제조업체 '연우'를 인수한 사례가 꼽힌다.

 

한국콜마는 지난 2022년 4월 연우 지분 55%를 2814억원에 인수했고 2024년 2월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연우를 완전자회사로 편입시키며 상장 폐지를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 주주 주식매수청구권 행사로 약 788억원이 추가 투입됐고 한국콜마는 연우지분 100%를 확보하게 됐다.

 

인수 당시 연우는 중견 기업으로 연간 매출은 2800억원대를 달성, 2020년 2512억원, 2021년 2871억원 등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2020년 160억원, 2021년 299억원 등을 기록, 영업이익률은 2020년 6.4%, 2021년 10.4% 등으로 성장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각각 114억원, 264억원 등이다.

 

그러나 한국콜마에 편입한 첫 해 연우 실적은 역성장했다. 2023년 연간 매출은 2364억원으로 줄었고, 영업손실로 적자전환, 당기순손실은 94억원을 냈다.

 

2024년에는 상장 폐지를 거쳤고 연간 실적은 매출 2755억원, 영업이익 9억원, 당기순이익 131억원 등에 그쳤다. 아울러 연우는 같은 해 말에는 단일 주주인 한국콜마에 500억원 규모의 현금배당을 단행했다.

 

콜마비앤에이치 측은 "순이익 대비 과도한 수준으로, 연우가 보유한 유동자산 947억원의 절반 이상을 외부로 유출한 셈"이라며 "인수 전 2021년 연우의 당기순이익이 264억원이었을 때 배당금이 약 20억원 규모였다는 점을 반영하면 적자 등 실적 부진을 겪으면서 대규모 현금배당을 시행하는 것이 납득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금배당 최종 수혜자는 지배구조상 한국콜마 대주주 콜마홀딩스, 콜마홀딩스 최대주주 윤상현 부회장 등이라는 점도 짚었다.

 

콜마비앤에이치 측은 "인수 후 상장 폐지, 100% 대주주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배당 등은 당시 주식매수청구권에 응했던 일반 개인주주들을 허탈하게 만들었다"며 "상장 폐지로 실적 부진을 숨기려고 하는 것은 성과 없는 인수합병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행위"라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1분기 연우 매출은 6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했고 영업적자는 10억원이다. 이에 대해 한국콜마는 비즈니스 구조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연우 주요 고객사에는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국내 대형 뷰티 기업이 포함되어 있고, 'K뷰티'를 대표하는 인디브랜드를 중심으로 거래를 확대해 실적반등 기반을 다진다는 방침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