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살맛나는세상이야기] 고려아연, 신재생·자원순환 친환경 경영 가속…ESG 경영 새 기준 제시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전경/고려아연

세계 1위 비철금속 제련기업 고려아연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친환경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환경 시설에 대한 대대적 투자는 물론, 신사업부터 사회공헌에 이르기까지 모든 부문에서 친환경을 중시하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순환경제 모델을 구축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5년간 환경시설 1500억원 대규모 투자

 

고려아연이 최근 발간한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지난 5년간 환경시설 투자에 총 1500억원가량을 집행했다. 지난 2023년과 2024년 연이어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를 진행했다.

 

지난해 연간 환경 투자액은 558억원으로 2023년 396억원 대비 40.9%(162억원)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연간 환경 투자액은 지난 2021년 114억원을 기록한 이래 2022년 123억원, 2023년 396억원, 2024년 558억원 등 지속 상승하는 추세다.

 

지난해 부문별 환경 투자를 살펴보면 수질 투자가 약 381억원(68.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대기(117억원) 및 화학물질(60억원) 분야에도 상당한 투자가 이뤄졌다.

 

특히 고려아연의 신사업 '트로이카 드라이브' 중 '신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 사업'과 '자원순환 사업'은 친환경 경영과 맞닿아 있다.

 

고려아연은 일찍이 1996년 호주에 SMC제련소를 준공한 데 이어 최근에는 호주를 거점으로 신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고려아연의 호주 자회사 아크에너지(Ark Energy)는 호주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SMC제련소의 전력 25%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맥킨타이어 풍력발전소 지분 30%를 확보했으며 지난해 10월 1차 가동을 개시했다.

 

궁극적으로 오는 2050년까지 제품의 전 생애주기에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메탈을 생산할 방침이다. 또 아크에너지는 지난 2023년 호주 뉴사우스웨일즈(NSW) 주정부와 BESS 장기 에너지공급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지난 3월에는 한화에너지와 리치몬드밸리 BESS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고려아연은 호주에서 이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호주에서 생산한 그린수소를 그린암모니아로 합성해 국내로 도입한 후 청정에너지원인 그린수소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려아연은 기존 태양광 발전소와 연계된 1MW 수전해기를 통해 연간 140톤의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수소모빌리티의 연료로 사용해 디젤 연료를 대체하는 탈탄소 실증사업(SunHQ)을 호주에서 추진 중이다. 또한 지난해 8월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온산제련소에서 수소지게차용 수소충전소 준공식을 열었다. 온산제련소에서 시범 운영하는 수소지게차(30대)는 수소연료전지가 탑재된 지게차다. 수소충전소 운영과 수소제기차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칠 경우 국내 수소 모빌리티 대중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고려아연의 호주 맥킨타이어 풍력발전소 전경/고려아연

◆자원순환 사업 경쟁력 강화

 

고려아연의 자원순환 사업은 본 궤도에 올랐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고려아연은 제강분진, 전자폐기물(E-waste), 태양광 폐패널 등 다양한 폐기물을 수거해 이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자원순환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먼저 고려아연의 자회사 스틸싸이클 국내 유일 친환경 공정인 RHF(Rotary Hearth Furnace) 기술로 제강분진(EAFD)을 재자원화하는 사업모델을 널리 알렸다. 스틸싸이클은 연간 20만 톤의 제강분진에서 RHF 공정을 통해 조산화아연(HZO)을 회수하고, 이를 아연 생산을 위한 이차원료로 고려아연에 공급한다. 이는 제철과 제련 산업을 잇는 지속가능한 선순환 구조라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에서도 자원순환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지난 2022년 미국 자회사 페달포인트홀딩스를 설립한 이래 이그니오홀딩스와 캐터맨, 로보원을 순차적으로 인수했다. 이로써 미국에서 전자폐기물 원료를 확보해 이그니오 에브테라 리사이클링 허브에서 전처리한 뒤 이를 국내 온산제련소로 들여와 최종제품을 생산하는 자원순환 사업 밸류체인을 완성했다. 전처리 과정에서 로보원의 AI기반 폐기물 선별로봇을 활용해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

 

무엇보다 고려아연 온산제련소는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에서 아연·연·동 등 유가금속 회수를 극대화하고, 최종 잔여물은 '청정 슬래그(Clean Slag)'로 만들어 산업용 골재로 재사용하면서 환경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이런 노력을 지속한 결과 최근 글로벌 권위의 평가기관으로부터 공급망 측면에서 기후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체계적으로 탄소 감축을 실행하는 '리딩 기업'으로 인정받아 이목을 끈 바 있다.

 

고려아연.

고려아연은 최근 'CDP SEA 2024'에서 최고 등급인 'A'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는 전 세계 기업과 도시 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공개 시스템을 운영하는 세계 유일의 비영리 단체다. SEA(Supplier Engagement Assessment, 공급사 참여도 평가)는 CDP가 매년 공급망 측면에서 탄소감축 전략 등을 제대로 실행하는지 분석·평가하는 체계다.

 

현재 고려아연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면밀하게 추적·관리하고 있으며, 폐기물 발생 규모도 크게 줄였다. 지난해 폐기물 발생량은 65만7016톤으로 전년 대비 무려 10만4482톤(13.7%) 감축하는 데 성공했다. 폐기물 재활용률도 80%를 넘어섰다.

 

CDP SEA의 평가를 받는 전 세계 기업은 약 2만3000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최고 등급인 A등급을 받은 기업은 1300여개밖에 되지 않는다(전체에서 약 6%). 고려아연 이외에 CDP SEA 2024에서 A등급을 받은 전 세계 주요 기업으로는 나이키, 아디다스, 펩시, 소프트뱅크, 티 모바일(T Mobile), 제너럴모터스(GM), BMW, LVMH, 맥킨지앤컴퍼니 등으로 각 국가를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이 다수 포진해 있다.

 

고려아연 노동조합이 지난 4월 25일 울산광역시 동구 대왕암공원 일대에서 지역환경 보호를 위한 '플로깅'을 실시했다/고려아연

◆사회공헌으로 기업이념 실천

 

고려아연은 1974년 창립 당시 '국가 발전에 대한 기여'라는 기업이념을 선언했다. 고려아연은 연산 5만톤의 아연을 생산하는 제련소에서 매년 60만톤 이상의 아연과 20종 이상의 비철금속을 포함 연간 120만톤을 제련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그 동안 꾸준히 기술을 개발하며 회사의 수익을 지역사회, 어려운 이웃을 위해 환원하기 위해 노력했다. 고려아연은 창사 이래 매년 영업이익의 1%가량을 사회에 환원했다. 2010년부터 현재까지 기부한 금액은 약 870억원을 기록했다.

 

고려아연은 사택이 위치한 노원구의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각종 나눔 및 장학 사업을 위해 10년 동안 매년 2억원의 금액을 노원구청에 후원해 왔다. 

 

또 지난 2023년 4월 산불피해를 입은 경북 울진 일대에 백합나무 1만본을 식재하는 임직원 봉사활동을 실시했다. 올해 4월에는 고려아연 노조 80여명이 울산 동구 대왕암공원 일대에서 플로깅 봉사활동을 진행하기도 했다. 고려아연 온산제련소는 이처럼 지역사회와 상생하기 위해 노력하는 점을 인정받아 지난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지역사회공헌인정제 최고등급을 받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