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벤처기업계, "AX위해 정부 확보 5만개 GPU중 30% 의무 할당해달라"

벤처協 AX브릿지위원회, 벤처 대표등 400명 대상 설문조사

 

즉시 이용할 수 있는 'AI 인프라 바우처' 도입 목소리도 커

 

AI 전환 급부상 불구 54.2%, '도입 검토·시범 도입'등 초기

 

현 정부 AI 정책, 87.4%가 '지지'…AI 인프라 구축등 중요 벤처기업계가 기업들의 AI 전환(AX·AI Transformation)을 위해 정부가 확보할 계획인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개 가운데 약 30%를 중소벤처기업에 의무적으로 할당해달라고 요청했다.

 

기업들이 즉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AI 인프라 바우처' 도입 목소리도 높았다.

 

이런 가운데 중소·벤처기업의 AI 전환이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기업 2곳 중 1곳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업들은 무엇을 어떻게 할지 막막한 가운데 정부 정책만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다.

 

이재명 정부의 AI 정책에 대해선 10곳 중 9곳이 압도적인 지지를 보내며 기대감이 컸다.

 

이같은 내용은 벤처기업협회 산하 AX브릿지위원회가 이달 11일부터 27일까지 국내 벤처기업 대표 및 임원 400명을 대상으로 '정부 AI 정책에 대한 벤처기업 인식조사'를 실시해 29일 내놓은 결과에서 나왔다.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54.1%는 AI 도입 단계에 관련해 아직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이전인 '도입 검토' 또는 '시범 도입'으로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본격적으로 도입했거나 AI 전문기업 수준에 이른 곳은 응답기업의 14.2%에 그쳤다. 일부 업무에만 AI를 활용하고 있다는 기업은 31.8%였다.

 

이런 상황에서 AI 도입 초기 단계(도입 검토+시범 도입) 기업(복수응답)들은 ▲투자비용 부담(32%) ▲기술 전문성 부족(28.6%) ▲AI 인력 부족(26.2%) 등을 주요 장애 요인으로 꼽았다.

 

한 응답기업 관계자는 "스마트 공장처럼 비용만 쓰고, 우리 회사 현실과 맞지 않아 방치될까 두렵다"고 토로하며 '투자 대비 효과(ROI)의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전하기도 했다.

 

현 정부의 AI 정책에 대해선 응답기업의 87.4%가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다.

 

그러나 정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선 막대한 지원이 소수 기업에 편중되는 것을 막고, 현장이 가장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실질적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해야한다는 목소리가 큰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벤처기업들은 향후 정부의 AI 정책 중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복수응답)로 ▲AI 인프라 구축 및 R&D 투자 확대(84.6%) ▲AI 스타트업 지원 및 투자 활성화(63%) ▲데이터 활용 법제도 개선(45%) 등의 순으로 많았다.

 

벤처협회 AX브릿지위원회 관계자는 "대한민국 AI 성공의 진정한 척도는 몇 개의 유니콘 AI 기업이 탄생했는지가 아니라 우리 경제의 허리를 담당하는 수만 중소·벤처기업의 현장에 AI가 얼마나 깊숙이 스며들었는가로 평가될 것"이라며 "정부의 'AI 3강 도약' 비전은 모든 중소·벤처기업이 스스로 AI 전환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두를 위한 AX 정책'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완성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