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YG의 카톡(Car Talk)] 단점 사라진 LPG 차량…기아 K8, 친환경성·경제성으로 주목

기아 더 뉴 K8.

'낮은 출력, LPG 가스통, 겨울철 시동'

 

과거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LPG차량의 구매를 꺼려했던 문제점들이다. 그러나 최근 시승을 통해 만난 LPG 차량은 이같은 문제점을 찾아볼 수 없었다. 오히려 고속 구간에서의 민첩한 움직임과 에너지 저장공간 변화, 뛰어난 연료 효율성 등 일반 내연기관 모델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이번 시승 모델은 K8 LPG 모델로 서울 여의도를 출발해 전남 목포를 경유해 돌아오는 약 700㎞ 구간에서 차량을 경험했다. 이 차의 총 배기량은 3470cc로 최고출력 240마력, 최대토크 32kgf·m를 낸다. 3.5 가솔린 모델(최고출력 300마력, 최대토크 36.6㎏·m)에 비해 힘이 부족하지만 일상이나 고속 주행에서 힘이 부족하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2.5 가솔린 모델(최고출력198마력, 최대토크 25.3kg·m)보다 뛰어난 가속력을 자랑했다. 또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도심에서도 답답함 없이 민첩하게 반응했다.

 

'NVH(소음·진동·마찰)'면에서는 비교 대상이 됐던 디젤차에 비해 크게 안정적이다. LPG는 가솔린 차량과 엔진을 공유하기 때문에 부드러운 승차감과 연비까지 뛰어났다.

 

특히 신형 K8에는 전방 카메라로 인식한 노면 정보와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활용해 쇽업소버 감쇠력을 제어하는 '프리뷰 전자제어 서스펜션', 주행 중 차량 속도 변화에 서스펜션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고속도로 바디 모션 제어'를 적용해 안정적으로 주행을 이어갔다.

 

LPG 모델인 만큼 경제성도 뛰어나다. 7월 4주 전국 평균 LPG의 연료단가는 1052원으로 휘발유 1667원의 70% 수준이다. 차량 연비까지 감안해도 LPG 모델은 연간 유류비를 동급 가솔린 모델 대비 약 35만원 가량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고연비의 하이브리드 모델과 5년간 경제성을 비교해보면 약 158만원 절약이 가능하다.

 

도심과 고속도로 등 약 350km 주행을 마친 결과 실 연비는 10.2㎞/L를 기록하며 공인 복합연비 7.8㎞/L를 가볍게 뛰어넘었다.

 

기아 더 뉴 K8 실내모습.

또 최근 자동차 업계의 최대 이슈인 친환경성도 내연기관 모델에 비해 압도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LPG차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적고, 2차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인 '질소산화물' 배출량도 현저하게 적은 친환경 자동차다. 유종별 질소산화물 배출량 비교 시험 결과, LPG차의 배출량은 0.006g/km로 경유차의 질소산화물 배출량 0.560g/km 대비 9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배출가스(미세먼지, 질소산화물, 온실가스 등)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차량 연료별 환경피해비용'을 살펴보면 경유가 1126원/L, 휘발유는 601원/L인데 반해 LPG는 246원/L로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이런 장점은 소비자들의 차량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LPG차는 경제침체 속에서도 판매가 늘면서 지난해 가장 많이 판매된 자동차로 기록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서 집계한 연료별 자동차 판매현황에 따르면 2024년 1년 동안 국내에서 판매된 국산 차량은 총 136만4750대로 전년대비 9만3032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PG차는 2023년 6만8620대에서 지난해 16만2353대로 9만3733대가 증가했다. 1톤 LPG화물차와 택시 업계의 소비가 높지만 경제성을 이유로 개인 소비자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신형 K8 3.5 리터 LPi는 친환경성 모델의 장점과 넓은 실내 공간, 정숙성 등을 두루 갖춘 패밀리 세단의 매력을 담은 모델이다. 친환경차로 급부상한 전기차보다 편리한 충전 인프라를 구축했다는 점도 장점으로 볼 수 있다.

 

기아 더 뉴 K8.

한편 LPG 차량은 해외에서 친환경차로 주목받으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72개국에서 2742만대의 LPG차가 운행 중이다. 특히 유럽은 LPG를 지구온난화 대응을 위한 친환경 대체연료로 장려하고 있어 세계 LPG차의 71%(1953만대)가 유럽에서 운행 중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