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총장 정승렬) 산학협력단이 빅뱅벤처스(주)(대표 김지철·구태훈)와 손잡고 대학발 지역혁신 창업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국민대는 한국벤처투자가 주관한 '한국모태펀드(교육부 소관) 2025년 2차 정시 출자사업'에서 대학창업계정 운용사로 최종 선정돼 'KMU-빅뱅 캠퍼스타운 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조합은 ㈜국민대학교기술지주와 빅뱅벤처스가 공동업무집행조합원(Co-GP)으로 참여하고, 한국모태펀드가 특별조합원, 국민대 캠퍼스타운사업단과 이화여자대학교기술지주 등이 유한책임조합원(LP)으로 함께한다. 총 결성 규모는 36억4000만원으로, 서울 캠퍼스타운을 중심으로 한 학생·교원 창업기업과 성북구를 중심으로 한 서울 동북권 유망 스타트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전략은 성북구를 거점으로 '예비창업자 발굴–성장지원 및 투자–글로벌 진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창업 생태계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 다수의 투자·회수 경험을 보유한 빅뱅벤처스와의 공동 운용을 통해 투자 전문성을 강화하고, 후속 투자 연계 등 실질적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정승렬 국민대 총장은 "국민대는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드는 기업가정신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며 "이번 조합 결성을 통해 대학발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혁신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지철 빅뱅벤처스 대표도 "국민대기술지주와 협력해 유망 창업팀을 발굴하고 초기 투자부터 후속 지원까지 전 주기적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겠다"며 "대학 창업기업들이 글로벌 아기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폭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강청훈 체육교육과 교수가 이끄는 건강질병대사연구실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억제하는 차세대 신약 개발 연구에 박차를 가한다고 29일 밝혔다.
강청훈 교수 연구팀은 최근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사업비 8억4000만원 규모의 국가 글로벌 융합 연구과제에 선정되면서 이번 연구에 나선다.
이번 연구는 '운동이 치매 예방에 좋다'는 통설의 과학적 근거를 명확히 하고, 신약 개발까지 연결한다는 점에서 학계 이목을 끌고 있다.
연구팀이 주목한 것은 운동할 때 근육에서 만들어지는 생리활성 단백질인 마이오카인(myokine)의 일종인 '아이리신'(Irisin)이다. 아이리신은 지방을 태우고, 뇌와 뼈 건강에 도움을 주는 물질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앞선 선행 연구를 통해 아이리신이 알츠하이머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타우(Tau)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응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3년 동안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에서 아이리신의 작용 기전 분석 ▲인지 기능 개선 효과 검증 ▲아이리신 기반의 핵심 펩타이드 발굴·치료 효능 평가 등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팀은 이같은 연구를 토대로 신체활동이 어려운 환자도 운동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운동 모방체(Exercise Mimetics) 신약 후보물질을 국외 연구기관과 공동 개발하는 게 목표다.
한편, 정부는 2025년을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원년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고령화에 따른 치매 환자 급증이 사회·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큰 가운데, 부작용이 적고 인체친화적인 생리활성물질을 기반으로 한 이번 연구가 성공하면 글로벌 치매 치료제 시장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청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운동생리학과 바이오공학을 융합해 치매라는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길을 여는 도전"이라며 "신체활동에 제약이 있는 고령층이나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희망이 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해 국민 건강에 기여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는 체육학과 리듬체조팀이 독일 에센에서 열린 2025 라인-루르 하계유니버시아드 리듬체조 단체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리듬체조 단체전은 7월 19일 오후(현지 시각) 독일 메세 에센 4홀에서 열렸으며, 세종대 선수들은 세계 각국의 대표팀과 경쟁해 3위를 기록했다.
이번 단체전 팀은 세종대 체육학과 21학번 김민, 김주원, 22학번 이소윤, 23학번 고예진, 24학번 박도경, 25학번 이소윤 등 6명으로 구성됐다.
양성해 세종대 리듬체조 감독은 "국가대표로 준비한 선수들이 국제대회에서 성과를 거둬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세종대 리듬체조팀은 지난 6월 조지아 트빌리시컵에서 종합우승을 차지한 데 이어 이번 대회에서도 성과를 이어갔다.
동국대학교(총장 윤재웅)는 손정인 물리학과 교수, 홍승현 국민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리튬 이온 전지에서 사용되는 양극과 음극의 필요 메커니즘을 동시에 충족하는 '양쪽 전극 친화형 야누스 구조' 기반 복합 폴리머 고체 전해질을 새로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과 중견연구자사업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A hierarchically designed janus polymer electrolyte for high-performance lithium-metal batteries'라는 제목으로 물리화학·소재·나노 분야 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19.0, JCR 상위 4.5%)' 7월호에 게재됐다.
차세대 이차전지의 핵심 요소인 '고체 전해질'은 화재 위험이 있는 액체 전해질의 단점을 보완하며 분리막 기능까지 수행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양극과 음극과의 반응 표면에서 각 전극이 요구하는 특성이 달라, 두 전극의 요구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양쪽 전극 친화형 고체 전해질' 기술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었다.
연구팀은 양쪽 전극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양쪽 전극 친화형 야누스 구조' 기반 복합 폴리머 고체 전해질 개발에 성공했다. 양극에서는 리튬 이온의 이동을 극대화하고, 음극에서는 배터리 수명을 단축시키는 부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두 가지' 다른 특성을 선택적으로 가지는 전해질을 설계했다. 개발된 고체 전해질은 1600회 이상 충·방전 후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했다.
손정인 교수는 "양극과 음극은 계면 안정성이나 이온의 이동 특성(수송 동역학) 등 요구 조건이 완전히 다르다"라며 "이번에 개발한 야누스 구조 복합 고체 전해질은 각 양쪽 전극에 최적화된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해 안정성과 성능을 모두 해결한 것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이어 "차세대 고체 전지 상용화를 앞당기는 중요한 기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숭실대학교(총장 이윤재)는 임성빈 전자정보공학부 교수 연구팀(전송보상연구실)이 지난 10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세계적 음향 진동 학술대회 '제31회 국제 음향 및 진동 학술대회(The 31st International Congress on Sound and Vibration, ICSV 31)'의 AI 챌린지 부문에서 최종 1위를 차지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대회에서 수상한 연구팀은 주정인(전자정보공학부 학석사통합과정, 전자정보공학부 4학년), 김서우, 박세은, 서윤선(전자정보공학부 4학년), 김준휘, 최준규(정보통신공학과 박사과정 수료) 학생으로 구성됐다.
이번 대회에서는 실제 드론 운항 환경과 유사한 고소음 조건에서 드론의 기계적 이상음을 탐지하고 상태를 진단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참가팀들은 드론의 음향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계한 이상 탐지 모델의 성능을 AUC(Area Under the Curve) 지표로 평가받았다.
임 교수 연구팀은 잡음이 많은 드론의 미세한 기계 이상을 높은 정확도로 구분하는 딥러닝 기반 음향 이상 탐지 모델을 설계했다. 평가 결과, 기준 성능인 0.5956을 크게 웃도는 0.9404의 AUC를 기록하며 경쟁팀들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연구팀 학생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고 협력하는 과정에서 큰 보람과 성장을 얻었다"며 "대회 준비부터 우승까지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신 임성빈 교수에게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했다.
삼육대학교는 홍선미 통합예술학과 교수가 세계적인 공연예술 축제 '제32회 시비우 국제연극제(FITS, Festivalul Internațional de Teatru de Sibiu)'에 연출자로 공식 초청받아, 현대무용극 '방랑자(Wanderers)'를 무대에서 선보였다고 29일 밝혔다.
루마니아 시비우에서 매년 개최되는 시비우 국제연극제는 프랑스 아비뇽, 영국 에든버러와 함께 유럽 3대 연극제로 손꼽히며 전 세계 공연예술계의 주목을 받는 대규모 축제다. 올해는 지난 6월 20일부터 29일까지 열흘간 개최됐으며, 82개국 5천여 명의 예술가가 참가해 총 830편 이상의 공연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홍 교수가 연출한 '방랑자'는 삶의 불확실성과 방향 상실의 감정을 주제로, 인간 존재가 근본적으로 안고 있는 혼란과 기도라는 행위를 예술적으로 풀어낸 현대무용극이다.
"어느 인간에게도 완벽한 지도는 주어지지 않았다. 혼란스레 발을 딛는 모든 땅이 당신의 옳은 길이다"라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인간이 고대로부터 미래에 대한 불안과 삶의 방향성에 맞서 기도를 통해 해답을 구해온 여정을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했다. 이러한 보편적 정서는 '방랑자'라는 상징으로 응축되며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전한다.
안무는 신예 안무가 김재원이 맡았다. 2024 MODAFE(국제현대무용제) 금상, 2022 육완순 무용콩쿠르 금상 등 다수의 수상 경력을 가진 유망주로, 이번 작품을 통해 첫 해외 무대에 데뷔했다.
'방랑자'는 홍 교수가 총괄기획 및 예술감독을 맡고 있는 서울댄스플레이페스티벌(SDP, Seoul Dance Play Festival)에서 11분 분량의 단편으로 지난해 초연된 바 있다. 이후 스페인 디렉터의 추천과 시비우 조직위원회의 공식 초청을 계기로, 50분 분량의 중편 작품으로 새롭게 확장돼 유럽 무대에 선보이게 됐다.
삼육대는 "공연은 시비우 루치안 블라가 대학교 CAVAS홀에서 열렸으며, 300석 규모의 좌석이 사전 예매로 전석 매진을 기록할 정도로 현지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다"라며 "관객들은 작품에 녹아든 한국적 정서와 현대무용의 섬세한 표현력, 그리고 한국의 옛 대중가요와 동서양 감성이 공존하는 연출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전했다.
서울사이버대학교(총장 이은주)는 지난 23일 A동 501호에서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이사장 한복수)와 산업체 위탁교육 협약을 맺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정보통신 관련 전문 분야의 교육, 훈련, 자문, 홍보 등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임직원의 교육을 서울사이버대가 위탁 수행한다.
협약식에는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에서 한복수 이사장, 한태열 사무국장, 김철재 팀장이, 서울사이버대에서 이은주 총장, 이정원 부총장, 장선아 건축공간디자인학과장이 참석했으며 구국모 대외협력부총장이 사회를 맡았다.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는 정보통신 분야의 민간자격 검정제도 활성화를 위해 설립돼 신기술 인증연구, 국내 자격증의 국제공인화, 국제공인자격 교육 및 시험 시행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또한 ISO9001 인증을 받은 민간자격검정 기구로서 군장병검정, 법무부 교정기관검정, KT 등 통신사 사내특별검정 등도 운영하고 있다.
서울사이버대 건축공간디자인학과(학과장 장선아)는 건축·인테리어디자인과 조경디자인 분야를 아우르는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으며, 실습 중심 스튜디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현장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