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복잡한 일, AI가 대신해줘도 사람 몫은 남아 있다

/정책사회부 김현정 기자

'AI 에이전트'라는 개념을 처음 접했을 때 머릿속에 떠오른 건 '진짜 비서'를 뛰어넘는 존재였다. 복잡한 업무를 몇 줄의 명령어만으로 끝내줄 거라는 기대. 그래서 일부러 오픈AI의 챗GPT 에이전트에 까다로운 일을 맡겨봤다. 일본 문구 여행을 위한 코스 짜기와 프리랜서 앱 개발 목적의 시장 조사. 하나는 감성과 취향이 섞인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와 논리로 무장한 시장 분석이다. 정반대 성격의 과제였다.

 

놀랍게도 챗GPT 에이전트는 대부분의 임무를 이해했고, 유려한 결과물들을 도출해냈다. 에이전트는 도시별 문구점, 한정판 제품 정보, 최적의 경로를 빠르게 정리해 제시했다. 특히 신칸센 이동 시간까지 반영해 '최소 이동 루트'와 '여유형 루트'를 구분해낸 건 감탄할 만했다.

 

그러나 AI의 손길이 닿지 못하는 영역도 있었다. 항공권 예매 사이트의 정보를 끌어오긴 했지만, 최저가를 찾거나 바로 예약하는 단계로 넘어가지 못했다. 일종의 '벽'이 존재했다. 에이전트는 사용자 지시의 맥락을 이해하는 듯하면서도, 결국 마지막엔 인간의 개입을 필요로 했다.

 

시장조사도 마찬가지였다. 프리랜서들이 자주 사용하는 플랫폼별 기능과 단점을 단 몇 분 만에 파악해 분석했지만, 이용자 요구의 뉘앙스나 '진짜 불편'은 놓친 부분이 있었다. 예컨대 앱스토어 리뷰에 "수수료도 최악, 패널티도 최악"이라는 불만사항이 있었지만, 그게 단순한 사용자 오해인지, 아니면 플랫폼 정책 구조 탓인지 해석하진 못했다. 사람들의 분노, 실망, 기대 같은 정서는 여전히 AI의 사각지대였다.

 

PDF 보고서도 명령대로 만들어냈지만, 한글 폰트 깨짐이나 출처 링크 접속 장애 같은 소소한 결함은 남아 있었다. 모두 인간이 직접 작업했다면, 문제없었을 부분들이었다.

 

사소한 결점들을 제외하면 챗GPT 에이전트 기능은 생각보다 훨씬 쓸만했다. AI는 이제 '도우미'를 넘어 '대리인'이 될 수 있는 문턱에 도달한 듯하다. 오픈AI는 아직 "초기 단계"라고 선을 그었지만, 이 정도면 충분히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앞으로 반년, 아니 몇 달만 더 데이터를 학습해 기술이 고도화된다면 정말로 'AI 대리인'의 시대가 열릴지도 모른다.

 

다만 한 가지 확실한 건, AI가 아무리 똑똑해도 최종 판단과 책임은 여전히 사람 몫이라는 점이다. AI 에이전트는 도구일 뿐, 기술의 주인은 언제나 우리, 인간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