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대통령실

대통령실 "RE100 산단 위한 차세대 전력망 전남권에 구축… 2000억원 규모 예산 편성할 것"

대통령실은 31일 RE100 산단을 위한 차세대 전력망을 전남권에 구축하겠다고 했다. 사진은 김용범 정책실장이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관련 브리핑을 하는 모습. /뉴시스

대통령실은 31일 RE100 산단을 위한 차세대 전력망을 전남권에 구축하겠다고 했다. 또 이를 위해 2026년 예산안에 2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할 방침이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전남권을 차세대 전력망의 혁신 기지로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20세기가 석유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전기의 시대"라며 "국제재셍에너지기구는 2050년경 최종 에너지 중에서 전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52%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탄소중립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가 많은 설비가 늘어나서다.

 

김 실장은 "다가오는 전기화 시대의 핵심은 재생에너지가 될 것"이라며 "재생에너지의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르고 효율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화 시대의 주역으로 꼽히고 있다"고 재생에너지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재생에너지가 늘어나면 일부 지역에서 대형발전소로 전기를 만들어 전국으로 장거리 송전하는 지금의 전력 체계는 변화가 불가피하다"며 "지역에서 생산하고 지역에서 소비하도록 소규모 전력망을 전국에 만들어 송전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분산 에너지 전력망으로 전환해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풍부한 데다 전력망 구축이 시급한 전남권을 차세대 전력망의 혁신 기지로 만들겠다"며 "전남 지역의 철강, 석유화학 등 산업단지를 재생에너지 마이크로그리도 산단으로 조성하고 유연성 자원을 집중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에 정부는 전남의 대학 캠퍼스, 스마트팜, 공항, 군부대 등에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축해, 이를 다방향으로 연결해 AI 재생에너지 기반의 차세대 전력망을 구축하는 시범 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마이크로그리드란 작은 지역에서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고 남으면 저장하고, 모자라면 저장해 뒀던 전기를 사용해 에너지를 효율화하는 기술을 적용한 작은 전력망이다. 이같은 전력망을 전국에 만들어 그물처럼 연결하겠다는 게 이재명 대통령의 구상이다.

 

또한 한국에너지공대와 전남대, 광주과학기술원 등을 중심으로 한국판 실리콘밸리가 될 수 있는 K-그리드 인재 창업 밸리를 조성해, 전력 분야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마이크로그리드를 산단, 공항, 대학 등 여러 곳에 분산 구축하면, 자연스럽게 기업이 모여 일종의 클러스터를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이다. 김 실장은 "전남 지역이 재생에너지원이 제일 많이 분산돼 있어 이 사업을 실험할 수 있는 최적 지역이라고 생각해서 (전남 지역부터) 해보려고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지역의 에너지 산업과 인재를 집적화해 전력 산업 어벤져스라고 할 수 있는 K-재생에너지 원팀을 만들어 에너지 산업 선도 국가를 향해 가겠다"며 "이를 통해 전력 강국 지위를 확고히 하고 전력 기술과 상품을 전 세계로 수출해 예너지 산업을 장차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만든다는 것이 대통령의 구상이다. 전기가 그 자체만으로 가장 큰 성장 산업이 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전기를 성장 산업으로 만들면서, 주민들이 참여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취지도 있다. 김 실장은 "주민 참여형 이익 공유 모델을 적용해 주민들이 자신들의 마을이나 학교, 전기 생산에 참여하는 '에너지 민주주의' 모델을 만들겠다"며 "단기사업으로 끝나지 않게 RE100 산단 조성 사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교육, 복지, 문화 등 정주 요건도 획기적으로 바꿔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이는 국민주권 정부의 철학이라며 "지역 주민들이 사업 추진 과정에 적극 참여하실 수 있도록 주민 참여 절차도 강화하겠다"고 했다.

 

김 실장은 "한국형 차세대 전력망 구축 사업은 지난번 발표한 RE100 산단 조성과 함께 2050년 국가 에너지 대전환 프로젝트의 연장선상"이라며 "지금 전력망 혁신계획을 단기·중기·장기로 나눠 체계적으로 작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세대 전력망 사업은 단기, RE100 산단 조성은 중기 계획에 속한다고 한다. 김 실장은 "곧 장기 계획인 에너지 고속도로 계획도 수립해 국민들께 자세히 설명 드리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차세대 전력망을 구축하려면 재원을 마련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해서 김 실장은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에 2000억원 정도 예산을 확보해 2026년도 예산안에 반영할 예정"이라며 "2000억원 정도 예산으로 구상 중인 것이 한 대여섯개 정도의 사업"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전력에 큰 부담을 주지 않고 국가 예산으로 시범 사업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