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중소기업 보험, 화재·상해 '쏠림'…책임·사이버 보장은 '빈틈'

연간 16조원 시장, 5년간 연 8.5% 성장에도 종목 편중
리스크 인식·상품 이해 부족…대면채널 의존 구조적 한계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 폭염이 계속된 지난 31일 서울 강남구 개포동 양재대로 개선사업 공사현장에서 한 장비유도원(신호수)이 양산을 몸에 장착하고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뉴시스

국내 중소기업 보험시장이 꾸준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화재·재물보험과 단체상해보험 가입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보험, 사이버보험 등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필요한 상품은 가입률이 낮아 리스크 관리의 사각지대가 크다는 지적이다.

 

//보험연구원

1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의 연간 보험료 지출 규모는 지난 2023년 약 16조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8.5% 성장했다.

 

전체 기업 매출액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40.4%지만 보험료 비중은 69%에 달했다. 매출액 대비 보험료 비율은 0.73%로 대기업(0.22%)보다 높다.

 

다만 장기손해보험, 자동차·보증보험 등을 제외하면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2~35% 수준에 그친다. 특히 국내 중소기업의 보험 가입은 특정 종목에 편중됐다. 제조업종 중소기업의 경우 화재·재물보험 가입률은 82.8%, 단체상해보험은 39.1%로 나타났다.

 

반면 영업배상책임보험 가입률은 12.2%, 생산물배상책임보험은 18.4%에 불과했다. 이는 영업배상책임보험 가입률이 66%에 달하는 유럽(EU)과 대조적이다. 일본 역시 화재·재물보험(69.4%) 비중이 높지만 지리적 특성으로 지진보험 가입률이 37%에 이른다.

 

/보험연구원

리스크 인식과 대응 방식에서도 차이가 뚜렷했다. 국내 중소기업이 가장 우려하는 위험은 '경제환경 변화'(67.4%)와 '인재유출'(50.3%)이었다. 하지만 이를 대비하기 위한 보험·공제 활용 비율은 36.8%로, 일본(69.5%)에 비해 절반 수준에 그쳤다. 미가입 이유로는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게 평가한다는 응답(24.9%)과 보험상품 이해 부족(16.4%)이 주로 꼽혔다.

 

권순일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은 리스크 인식과 평가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해 기업보험임에도 개인보험적 특성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판매채널 구조도 문제다.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대면과 비대면이 균형을 이루는 '옴니채널' 전략이 보편화됐지만 국내는 대면 중심이다. 제조업종 중소기업의 보험 계약 건수 기준으로 대리점·설계사 비중이 68.4%에 달했고 비대면 채널 활용은 미미했다. 이는 상품 다양화와 접근성 제고를 가로막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신종 위험 대응 역시 과제로 꼽힌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감염병 확산, 사이버 공격 증가 등은 기존 화재·상해 중심의 보험 구조로는 대응이 어렵다.

 

업계에서는 해외 사례처럼 환경 변화에 따라 보험 수요가 유연하게 변하도록 상품과 판매전략을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의 보험상품 이해도 제고와 함께 옴니채널 확대, 보장영역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것.

 

권순일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은 리스크 인식과 평가 역량이 부족하고 화재 등 주요 위험을 제외한 보험상품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다"며 "책임보험 등에 대한 보장격차를 실제 보험수요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 중소기업 보험시장은 화재보험과 단체상해보험을 제외하면 중대재해처벌법, 감염병, 사이버 리스크 등 사회환경 변화에 따라 수요가 변동되므로 민첩한 대응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