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웹툰·웹소설 시장이 뚜렷한 성장 둔화세를 보이며 플랫폼 재편 국면에 들어선 가운데, KT 자회사인 독서 플랫폼 '밀리의서재'가 다음 달부터 웹툰 서비스를 시작한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사실상 양강 체제를 굳힌 시장에 후발 주자가 도전장을 내민 셈이다. 업계에서는 밀리의서재가 '메기'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17일 <메트로경제 신문> 취재를 종합해보면 올 상반기 국내 웹툰 시장의 성장 둔화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서비스 종료 플랫폼이 잇따르고, 등록 신작 수도 크게 감소했다. 메트로경제>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2025년 상반기 만화·웹툰 유통 통계'에 따르면 상반기 웹툰 등록작품 수는 8123편으로, 전년 동기(9889편)보다 17.9% 감소했다. 신작은 5543편으로 26.4% 줄었고, 중복 연재를 제외한 순수 신작도 2322편으로 15.5% 감소했다.
진흥원의 분석에 따르면 제작비 상승, 인건비·외주비·마케팅비 등 비용 증가와 광고·구독 매출 둔화로 인한 수익성 악화, 장르 편중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플랫폼 차원에서도 구조조정이 가속화되고 있다. '피너툰'(2월), '스푼코믹스'(3월)가 서비스를 종료했고, '코미코'(10월), '버프툰'(12월)도 연내 문을 닫을 예정이다. 수집 건수가 전무한 플랫폼도 10곳에 달했다.
반면 네이버·카카오 중심의 상위권 쏠림은 심화되고 있으며, 일부 중소형 플랫폼은 성인 장르 확대와 같은 특화 전략으로 틈새를 노리며 버티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밀리의서재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웹툰에서 찾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기존 전자책과 웹소설에 이어 내달 웹툰 서비스를 추가해, '읽을 수 있는 모든 콘텐츠가 독서'라는 브랜드 포지셔닝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국내 웹툰산업 규모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 추산 기준 2023년 전년 대비 19.7% 성장한 2조1890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자책 시장은 대한출판문화협회 기준 1조3000억원 규모다.
밀리의서재의 강점은 구독형 모델과 통신사 결합 상품이다. 월 1만1900원만 내면 모든 콘텐츠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어, 회차별 유료 대여 방식보다 훨씬 저렴하다. 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와의 제휴로 통신 요금제와 결합할 경우 추가 할인과 부가 혜택도 받을 수 있다. 회사는 향후 3년간 매년 200억원 규모를 투자해 콘텐츠 수급·인력 확보·IT 인프라를 강화하고, 2027년까지 매출 15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업계는 밀리의서재 역시 단순히 구독형 요금제와 가격 경쟁력만으로는 네이버·카카오 중심의 양강 구도를 흔들기 어렵다고 본다. 실제로 카카오페이지는 백덕수 작가의 신작 '괴담에 떨어져도 출근을 해야 하는구나'를 단독 론칭하면서 사전공개 한 달 반 만에 100만 페이지뷰를 돌파하며 '메가 IP' 발굴이 흥행을 견인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처럼 밀리의서재가 웹툰 시장에서 안착하려면 장르 특화 전략과 더불어 독점적인 인기 IP 확보가 필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시장 침체 속에서도 성장세를 보인 일부 플랫폼의 사례도 참고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상반기 네이버와 카카오로 웹툰 시장 성장세가 집중되는 속에서도, 왓챠는 등록작품 수가 전년 대비 118.7%, 신작이 72.4% 증가했으며 케이툰, 미스터블루도 두 자릿수 이상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들 플랫폼은 장르 특화와 성인물 비중 확대, 자체 제작 강화로 틈새 수요를 공략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등록 웹툰의 18세 이상 등급 비중은 63.4%, 신작 기준으로도 59.5%에 달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금 웹툰 시장은 제작비 부담과 수익성 한계로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밀리의서재가 후발 주자임에도, 성공하려면 단순히 가격 경쟁력에 머무르지 말고 메가 IP 발굴이나 장르 특화 같은 뚜렷한 차별화 전략을 내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작가와의 수익 배분 문제를 어떻게 풀어내느냐도 관건이 될 것"이라며 "구독제의 장점을 살리되 창작자와 상생할 수 있는 모델을 마련하지 않으면 이용자 유입과 장기적 안착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