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노동/복지/환경

성인 4명 중 1명 ‘디지털 소외’…여성·고령층·저소득층에서 취약

교육부/메트로신문 DB

우리나라 성인 4명 중 1명은 지도 앱 길 찾기, 키오스크 주문 등 일상적인 디지털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는 19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한 '제1차 성인 디지털 문해능력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성인의 디지털 활용 수준을 처음으로 국가 차원에서 파악하기 위해 시행됐다.

 

조사 결과 성인의 25.9%(약 1109만 명)가 일상생활에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기 어렵다고 응답했다. 이 가운데 ▲기본적 이해와 조작조차 힘든 '수준 1'은 8.2%(350만 명) ▲활용이 미흡한 '수준 2'는 17.7%(758만 명)였다. 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 3'은 21.4% ▲능숙한 활용이 가능한 '수준 4'는 52.8%로 집계됐다.

 

특히 여성, 고령층, 농산어촌 거주자, 저학력·저소득층에서 취약 비율이 높았다. 60세 이상 성인의 23.3%, 중학교 졸업 이하 34.6%, 월 소득 300만원 미만 가구 25.9%가 기본적인 디지털 이해 부족으로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8~39세 청년층에서는 '수준 1' 비율이 0.8%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40.4%는 디지털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이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성인의 29.9%는 디지털 문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그중 62.1%는 참여 의향을 밝혔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AI·디지털 평생교육 지원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한글햇살버스' 등 찾아가는 교육을 통해 고령층과 저소득층을 지원하고, 민간·공공기관과 협력해 현장 실습을 강화할 계획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못한 성인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