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6년 과학기술·ICT 분야에 사상 최대 규모인 23조7000억원을 투입한다. 인공지능(AI)과 차세대 전략기술을 앞세워 저성장을 돌파하고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 정면 대응하겠다는 승부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6년도 정부 예산안 및 기금운영계획안에 반영된 총 23조7000억원의 예산을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2025년 추경예산(21조원) 대비 12.9% 증가한 역대 최대 수준이다. 특히 연구개발(R&D) 예산은 11조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1.6% 늘어나, 정부 총 R&D 예산의 약 33.4%를 차지한다.
정부 총 AI 예산(10.1조원) 중 과기정통부 몫은 5.1조원으로, AI 대전환(4.5조원)과 AI 기반 과학기술 혁신(0.6조원)에 집중된다. 이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 기조인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구현하면서, 저성장과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라는 복합위기를 돌파하고 혁신경제 전환을 가속화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과기정통부는 2026년 4대 중점 투자 분야를 ▲범국가적 인공지능(AI) 대전환 ▲NEXT 전략기술 육성 ▲튼튼한 R&D 생태계 조성 ▲균형성장 강화로 설정했다.
◆AI G3 도약 위한 'AI 대전환(AX)'
2026년 예산에서 가장 큰 비중은 단연 AI다. 과기정통부는 2025년 3.44조원에서 2026년 4.46조원으로 29.7% 확대 편성하며, 국가적 차원의 AI 대전환(AX)을 본격 추진한다.
우선 국가 AI 인프라 확충이 핵심이다. 첨단 GPU 1.5만장을 추가 확보해 누적 3.7만장 규모를 달성하고,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AI 네트워크 기술 개발,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 등을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AI-RAN(인공지능 기반 무선접속망) 글로벌 선도 프로젝트, 하이퍼-AI 네트워크 기반 조성 같은 신규 사업도 시작된다.
또한 AI 반도체, 국산 NPU, 피지컬 AI 등 차세대 핵심 기술 개발과 초일류 AI 인재 양성에도 투자가 집중된다. AI 반도체 실증지원, K-클라우드 기술개발, 피지컬 AI 선도기술 개발 등이 포함되며, 'AI 중심대학'과 '스타펠로우십 지원'도 대폭 확대된다.
아울러 국민과 기업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AI 기본사회' 구현을 목표로 ▲글로벌 수준의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지역별 AX 혁신거점(광주·대구·전북·경남) 조성 ▲AI 기반 보안체계 강화 ▲정부 내 지능형 특화업무혁신 시스템 개발 등을 추진한다.
◆NEXT 전략기술 투자 확대
AI와 더불어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전략기술에도 막대한 투자가 이뤄진다. 과기정통부는 2025년 4.64조원에서 2026년 5.93조원으로 27.8% 증액, 미래 신산업 육성을 가속화한다.
주요 신규 사업에는 ▲차세대 광기반 연산 반도체 핵심기술개발 ▲차세대 융복합 프리폼 디스플레이 개발 ▲혁신형 이차전지 원천기술 개발 등이 포함된다. 첨단 바이오 분야도 3611억원에서 4343억원으로 늘어나고, 양자컴퓨팅 예산은 98억원에서 500억원으로 대폭 확대된다.
특히 다양한 원천기술에 AI를 접목해 연구 효율성을 높이고 한계를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AI 바이오 혁신거점', 'AI+S&T 혁신기술개발' 사업이 그 사례다.
아울러 정부출연연구기관 지원도 개편된다. 파편화된 소규모 과제를 대형·중장기 임무형으로 전환하고, 최우수 연구자(상위 1%)에게 성과상여금을 지급하는 제도를 신설한다.
◆연구자 중심 R&D 생태계 복원
2026년 R&D 생태계 조성 예산은 4.51조원으로 전년 대비 18.4% 늘어난다. 과기정통부는 다양성과 수월성이 공존하는 기초연구 생태계 복원을 목표로, 기초연구 과제를 1.2만 개에서 1.5만개로 확대한다.
대학 연구 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국가연구소(NRL 2.0)도 10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확대되며, 개인기초연구는 1조9000억원에서 2조6000억원으로 크게 증가한다.
또 청년 과학기술인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장학금(573억원→698억원), 연구생활장려금(600억원→830억원), 혁신인재양성(599억원→769억원) 등이 증액된다. 해외 인재 유치도 강화돼 '세종과학펠로우십 복귀트랙'(260억원)이 신설되고, 해외 우수 과학자 유치 예산도 537억원으로 늘어난다.
국제협력 차원에서는 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허브 구축, 유럽연합 다자연구프로그램 참여도 확대된다.
◆지역·계층 아우르는 균형성장
마지막 축은 균형성장이다. 지역과 계층을 가리지 않고 과학기술 성과를 고르게 나누겠다는 목표 아래 예산을 0.58조원에서 0.74조원으로 27.6% 증액했다.
지역 자율 R&D는 174억원에서 890억원으로 다섯 배 넘게 늘리고, 연구개발특구 육성 예산도 1161억원에서 1608억원으로 확대된다.
국민 안전과 직결된 사회문제 해결형 R&D도 강화된다. 재난안전혁신기술, 불법 마약류 대응 현장기술, 첨단기술 활용 사회문제 해결 실증지원 등이 새로 포함됐다.
또 국민의 과학문화 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디지털 배움터를 32개소에서 69개소로 늘린다. 정보통신보조기기 보급도 강화해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을 개선한다.
◆"역대 최대 예산, 체감 성과로 보여줄 것"
이번 예산안은 8월 29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9월 2일 국회에 제출된다. 정기국회에서는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예비심사,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본심사, 본회의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2026년 예산안은 AI와 과학기술을 혁신성장의 양대 축으로 삼아 저성장을 극복하고 혁신경제로 도약하겠다는 정부의 강한 의지를 담았다"며 "역대 최대 규모라는 숫자에 머무르지 않고,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 성과를 조속히 만들어내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