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신규보다 이탈 방지…KT·SKT·LGU+, 멤버십 경쟁 불붙었다

모델들이 KT멤버십 9월 혜택인 영화 '어쩔수가 없다' 시사회와 '태양의 서커스 쿠자' 초청 이벤트를 소개하는 모습 /KT

통신 3사가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기존 멤버십 혜택을 대폭 강화하고, 다양한 요금제를 선보이며 고객 붙잡기에 나서고 있다. 통신 3사의 마케팅 기조가 신규 가입자 유치에서 기존 가입자 이탈 방지로 이동하면서 멤버십 혜택 제공을 위한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는 것이다.

 

1일 <메트로경제 신문> 취재를 종합해보면 KT는 9월 가을 시즌을 맞아 멤버십 고객을 위한 '케이티 멤버십 페스타(케멤페)' 혜택을 강화했다. 지난 8월 처음 선보인 케멤페는 한 달 만에 이용 건수가 100만 건을 돌파하며 고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Y워터페스티벌, 보야지 투 자라섬(Voyage to Jarasum) 초청 등 차별화된 문화 혜택과 굽네치킨 9000원, 파파존스 60% 할인 등 기존에 없던 수준의 할인 혜택이 인기를 끌었다.

 

KT는 올리브영, 다이소, 네이버페이, 스타벅스 무료 쿠폰 지급을 9월 말까지 연장하고, 태양의 서커스 쿠자 초청, 영화 시사회 등 문화 콘텐츠와 함께 배달의민족×호식이두마리치킨, 샐러디, 푸라닭, 매드포갈릭 등 외식 브랜드 최대 50% 할인 혜택을 준비했다.

 

또 8월부터 1인 가구를 위한 전용 혜택 프로그램 '따로 살아도 생활혜택 Plus'를 새롭게 선보이고, 가족 결합 신청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셀프 결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로 살아도 생활혜택 Plus는 부모 등 가족과 떨어져 거주하는 고객도 가족 결합에 가입하면, 기본 통신비 할인에 더해 실질적인 생활 혜택을 추가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SK텔레콤도 장기 고객 혜택을 강화했다. 지난 8월 장기 우수 고객 프로그램 '스페셜T'가 론칭 1년 7개월 만에 누적 참여 20만 명을 돌파했다. 10년 이상 고객 대상 공연·전시 최대 60% 할인, 에버랜드 포레스트캠프 숲캉스, ICT 체험관 티움 관람, 프로농구 SK나이츠 홈경기 관람 등이 대표적이다.

 

5년 이상 고객에게는 이용 연수만큼 데이터를 추가 지급하고, 30년 이상 고객에게는 가입 요금제와 관계없이 T멤버십 VIP 등급을 부여한다. NOL티켓과 제휴한 공연·전시 할인 이벤트도 월 평균 4000명 이상이 이용 중이다.

 

LG유플러스는 대표 멤버십 프로그램 '유플투쁠'을 통해 혜택을 대폭 확장했다. 지난 8월 제휴사는 올해 최대 규모인 52개로 확대됐으며, 여름 휴가철에 맞춰 테마파크·체험형 혜택을 강화했다. 오션월드, 부산 롯데월드, 서울랜드, 아쿠아필드, 아일랜드 캐슬, 뽀로로파크, 원더파크 등 가족 단위로 즐길 수 있는 제휴처에서 최대 66%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생활 밀착형 혜택도 눈에 띈다. 배달의민족×자담치킨, 파파존스, 다운타우너, 오뚜기몰, 베어유 온라인 강의, 메디코치 헬스케어 서비스 등 음식·쇼핑·교육까지 아우르는 다채로운 제휴가 추가됐다. 특히 구글 AI 프로 3개월 이용권 제공 이벤트는 디지털 구독 서비스와 연계한 새로운 시도라는 평가다.

 

LG유플러스 장준영 마케팅전략담당은 "기존에 반응이 좋았던 혜택을 강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LG유플러스만의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전달하기 위해 새로운 제휴사도 추가했다"며 "항상 고객 입장에서 고민해 최고의 고객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늘 변화하고 노력하는 LG유플러스 멤버십이 되겠다"고 말했다.

 

통신 3사의 소비자 전략은 신규 가입자 유치 경쟁보다는 기존 고객 이탈 방지로 방향을 전환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멤버십 혜택 강화, 가족 결합을 통한 요금 할인, AI 등 신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편의 증대가 대표적인 변화다. 이미 5G가 보편화 하면서 신규 가입자 유치를 통한 대대적인 매출 수익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LG유플러스의 휴대폰 전체 회선 수는 1118만347개, 이 중 5G 회선 수는 892만9629개로 전체의 79.86%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KT는 휴대폰 전체 회선과 5G 회선 수가 각각 1366만1813개, 1086만6475개로 5G 보급률은 79.53%다. 가입자가 가장 많은 SK텔레콤은 휴대폰 전체회선 2235만670개, 5G 회선 수 1702만2365개로 3사 중 상대적으로 낮은 76.16%다. 9월 현재 5G 이용자 수는 전체의 80% 전후로 예측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통신 3사가 공격적인 혜택 경쟁에 나서는 건 사실상 신규 가입자 확보가 한계에 다다른 상황에서 기존 고객 충성도를 높이려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