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게임

'GXG 2025', 게임문화 메카로 재탄생하는 판교...'한국판 SXSW' 꿈꾼다

이의준 성남산업진흥원장이 2일 성남산업진흥원에서 개최된 GXG 2025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현정 기자

성남 판교가 '한국판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이하 SXSW)'로 깨어난다. 매년 봄,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개최되는 SXSW는 기술·음악·영화·게임·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융합한 세계적인 예술 축제다.

 

SXSW를 벤치마킹해 게임문화재단이 오는 19~20일 판교역 일대에서 선보이는 '게임, 문화로 즐기다! GXG 2025'는 게임·음악·아트·컨퍼런스·마켓을 아우르는 도심형 종합 페스티벌이다. 해당 기간 판교 일대는 '게임문화'를 체험하는 거대한 무대로 변신한다.

 

올해 3회째를 맞은 GXG는 지난해 3만명을 끌어모으며 단숨에 국내 대표 게임문화축제로 부상했다. 주최 측은 올해 3만5000~4만명의 관람객을 예상하며, 산업 전시 중심의 지스타와 달리 시민 참여와 문화예술 결합을 전면에 내세운다.

 

이의준 성남산업진흥원장은 2일 열린 GXG 2025 기자간담회에서 "고등학교·대학·박사과정도 3년이면 큰 전환점을 맞듯이, GXG 역시 세 번째를 기점으로 성남을 '게임문화의 메카'로 거듭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SXSW가 대규모 컨벤션에 갇히지 않고 도시 전체에서 개최되는 도심형 축제이듯, GXG도 성남 전역을 무대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행사 프로그램은 판교역 중앙·북측·서측 광장, 테크원 타워, 그래비티 조선 판교 등에서 진행된다. 주최 측은 "부산 지스타가 산업·B2B 성격이라면, GXG는 시민이 참여하고 문화를 창조하는 '생활형 게임문화축제'"라고 차별성을 부각했다.

 

올해 GXG 프로그램은 ▲다양한 장르·형태의 게임 음악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 '더 스테이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게임문화를 즐기는 참여 프로그램 '더 플레이' ▲게임문화를 예술적 요소들로 풀어낸 전시 '더 아트' ▲게임을 매개로 다양한 인사이트가 모이는 컨퍼런스 '더 포커스' ▲게임문화의 확장성을 보여주는 GXG 2025 콜라보레이션 '더 페스타' 총 5개 테마로 구성됐다.

 

행사 기간 참여자들은 브랜드 체험존에서 글로벌 게임사의 인기작을 체험할 수 있다. 호요버스 어반 판타지 액션역할수행게임 '젠레스 존 제로' 속 도시 분위기로 꾸며진 곳에서 플레이를 즐기거나 인기 게임 '클래시 오브 클랜'과 '클래시 로얄', '브롤스타즈'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슈퍼셀 타운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된다.

 

오는 19일 오후 7시 판교역 중앙광장 메인 스테이지에서는 게임 음악 경연대회인 'GXG 사운드트랙' 경연 본선에 진출한 7개팀 ▲P의 거짓(네오위즈) ▲메이플스토리(넥슨코리아) ▲리그오브레전드(라이엇게임즈) ▲브롤스타즈(슈퍼셀) ▲트릭컬 리바이브(에피드게임즈) ▲모바일 한게임 포커(엔에이치엔) ▲검은사막(펄어비스)의 공연이 무대에 오른다.

 

같은 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래비티 조선 서울 판교 페이스 볼룸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AI 부문, 깃허브 소속 전문가 등이 연사로 나서 미래 게임 산업을 이끌 AI 인사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성남산업진흥원의 이양구 콘텐츠 사업부장은 "작년에는 사운드트랙을 론칭하면서 음악 쪽에 치중된 프로그램을 선보였으나, GXG가 지향하는 바는 게임문화 축제"라며 "게임은 음악, 영상, 스토리, 아트, 테크 등 복합적인 예술 요소를 갖고 있어, 올해에는 프로그램 축을 다변화하기 위한 노력을 많이 했다"고 설명했다.

 

주최 측은 코스플레이어 지원 공간(지하 휴게실, 탈의실)과 포토존을 마련해 현장 편의를 높였다. 안전 관리도 강화했다. 이 원장은 "자원봉사자 100명을 비롯해 소방서, 경찰서와 협력해 안전하고 즐거운 게임문화 축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기업 참여도 확대됐다. 올해는 작년 190여개보다 늘어난 250개 게임사가 참가한다. 인디 개발자 발굴 무대인 인디크래프트에는 약 300개 팀이 지원했으며, 최종 선발된 70개 작품이 관객과 만난다.

 

게임문화재단 조수현 사무국장은 "게임문화축제는 산업 전시가 아니라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 속에서 문화예술적 가치를 구현하는 것"이라며 "GXG가 성남을 대표하는 축제를 넘어 세계적인 게임문화 브랜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