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학교(총장 이윤재)가 국내 대학 최초로 전 교직원과 재학생에게 글로벌 생성형 AI 유료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이번 정책은 9월 1일부터 시행됐으며, 대학 차원에서 구성원 전체에 AI 인프라를 지원한 첫 사례로 평가된다.
숭실대 구성원은 수업·연구·창업·행정 등 전 분야에서 ChatGPT-5, Claude 4, Gemini 2.5, Llama 4 등 다양한 글로벌 AI 모델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학교 측은 모델 비교 실험과 멀티에이전트 활용 환경을 마련해 실무 역량과 데이터 기반 사고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숭실대는 이번 정책의 활용 현황과 효과를 정기 점검하고, 오픈소스 모델과 온프레미스 연동을 검토해 데이터 보안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산학 협력 프로젝트와 인턴십 기회를 확대하고, 학과별 특화 커리큘럼을 개발하기 위한 'AI 활용 라운드테이블'을 2026학년도 2학기 중 개최할 예정이다.
숭실대는 생애 주기별 'AI 통합 교육 모델'을 구축하고 국제 공동연구 및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AI 시대의 표준 대학'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윤재 총장은 "AI는 모든 학문 분야에서 활용해야 할 핵심 도구"라며 "구성원의 AI 활용 능력을 높여 교육과 연구 혁신 속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김주영 총학생회장도 "학생들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라고 환영했다.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지난 2일 본관 5층에서 '오뚜기함태호 첨단e+강의실' 개관식을 진행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에 조성된 첨단강의실은 재단법인 오뚜기함태호재단(이사장 함영준)의 지원으로 만들어진 공간으로, 최신 교육 기자재와 쾌적한 학습환경을 갖췄다.
첨단강의실에선 인하대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이 수업을 들을 예정이다. 인하대는 첨단강의실 개관으로 식품영양학과 학생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심화한 학습 기회를 누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개관식에는 인하대 조명우 총장, 백성현 교학부총장, 조동규 자연과학대학장, 신다연 식품영양학과장 등 교내 주요 인사·교수진, 식품영양학과 학생 대표와 함영준 오뚜기 회장·재단 이사장이 참석해 첨단강의실 조성을 축하했다.
재단법인 오뚜기함태호재단은 고(故) 함태호 명예회장의 '식품 발전은 곧 국민 복지'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1996년 설립된 장학·학술재단이다. 현재까지 1천361명의 학생에게 약 92억원의 장학금을 지원했으며, 전국 22개 대학의 25개 첨단강의실과 실습실 구축을 지원하는 등 교육환경 개선에도 앞장서고 있다.
인하대는 교육환경 개선과 장학 사업을 통해 대학 발전에 아낌없는 지원을 해준 오뚜기함태호재단에 감사패를 전하기도 했다.
함영준 오뚜기 회장·재단 이사장은 "오뚜기함태호재단은 미래 식품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들이 좋은 환경에서 공부하면서 성장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명우 인하대 총장은 "오뚜기함태호재단의 뜻깊은 지원 덕분에 학생들이 보다 나은 배움의 환경에서 학문을 익힐 수 있게 됐다"며 "꾸준한 산학협력과 인재 양성을 통해 대학이 가진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덕성여자대학교(총장 김건희)는 지난달 28일 서울 도봉구 덕우당에서 서울RISE 사업단 '지역현안 문제해결 단위과제 협의체'를 구성하고 1차 회의를 열었다고 3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강북구청 시장지원팀, 백년시장상인회, 장미원골목시장상인회, 강북문화재단, 도봉문화재단, 도봉문화원 등 민·관·학 관계자들이 참석해 서울 동북권 지역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덕성여대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이번 과제는 서울 동북권 지역 문제를 진단하고 여성·역사·문화 등 인문사회 특화 역량을 기반으로 주민 참여형 정책 개발과 연구를 추진한다.
특히 강북구 장미원골목시장과 백년시장, 도봉구 백운시장 등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서로 돌봄의 시장(Mutual Market)' 모델을 제안해 지역공동체 회복을 목표로 한다. '동네 주민·상인 배움터', '거북배송', '자부심 상회' 등 주민 참여형 상권 모델을 운영해 고령화와 상권 공동화를 겪고 있는 동북권 재생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주희 교수(사학전공)는 "이번 과제를 지역공동체 회복의 테스트베드로 삼아 지역문제 해결 인재 양성과 사회 기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삼육대학교(총장 제해종)는 내년 개교 120주년을 앞두고 기념 슬로건 공모전을 개최하며, 본격적인 120주년 기념 사업을 시작한다.
삼육대는 1906년 개교 이래 전인적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사회와 인류에 기여하는 인재를 양성해왔다. 이번 공모전은 지난 120년의 역사를 돌아보고, 미래를 향한 새로운 비전을 담아내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참가 대상은 삼육대 재학생, 교직원, 동문, 성도 등이다. 슬로건에는 ▲대학의 교육이념과 정체성 ▲사회공헌적 메시지▲미래지향적 메시지가 반영돼야 한다. 슬로건은 20자 이내로 국·영문 혼용이 가능하다.
응모 기간은 오는 12일 오후 5시까지이다. 포스터에 안내된 큐알(QR) 코드 또는 네이버폼을 통해 접수할 수 있다.
시상은 대상(1명) 50만원 상품권, 최우수상(2명) 각 20만원, 우수상(5명) 각 10만원, 입선작(30명) 2만원 등으로 마련됐다. 결과는 오는 19일 삼육대 홈페이지와 개별 연락을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삼육대 정성진 브랜드전략본부장은 "개교 120주년은 대학의 지난 발자취를 돌아보고, 미래 발전을 준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삼육대의 정체성과 비전을 함축적으로 담아낸 창의적이고 상징성 있는 슬로건이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 세종뮤지엄갤러리 1관은 3일부터 14일까지 'Going Home'을 주제로 집에 담긴 의미와 삶의 형태를 상징적 조형언어로 풀어내는 이경애 작가의 개인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에는 '집'을 소재로 한 회화 작품 40여 점이 선보인다.
이경애 작가는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후 동 대학원 서양화과를 수료했다. 이후 프랑스 뚜르 보자르와 프랑스 파리 국립 고등장식미술학교를 졸업했다. 개인전 27회와 단체전 120여 회를 진행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집'을 소재로 삶과 기억, 꿈을 상징적 조형 언어로 풀어내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작가에게 집은 단순한 물리적 건축물이 아니라, 정신적 본향이자 삶의 출발점이며 귀환의 장소다. 화면 속 집들은 단순화된 형태와 밝고 다채로운 색감으로 표현돼 관람객에게 따뜻함과 치유의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대표 연작인 'Going Home' 시리즈를 통해 희망과 꿈, 그리고 인간 본연의 내적 안식을 회복하려는 메시지를 표현한다.
세종뮤지엄갤러리 관계자는 "집은 누구에게나 돌아가고 싶은 본향이자 기억의 자리"라며 "이번 전시는 집이라는 상징을 통해 삶과 기억, 희망의 의미를 되새기는 자리로, 관람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성신여자대학교(총장 이성근)는 이세현 청정신소재공학과 교수가 환경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 and Energy(응용 촉매 B: 환경과 에너지)에 교신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저널은 2025년 기준 영향력지수(IF) 21.1을 기록했으며, 환경공학·화학공학 분야 상위 0.6% 학술지로 평가된다. 이번 논문은 성신여대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이 공동 연구한 결과로, 성신여대 청정신소재공학과 이지연(Lee Ji-Yeon) 연구생과 KIST 박재현(Park Jae-Hyun) 박사과정이 제1저자로 참여했다.
논문은 pH 조절을 통해 전구체(precursor)의 환원 전위를 제어해 코발트(Co)를 금(Au)으로 치환하는 합성 기술을 개발한 연구다. 연구팀은 갈바닉 치환(galvanic replacement) 기법을 활용해 금을 촉매 표면에 1~2% 수준으로 도입해 백금(Pt) 기반 나노입자의 내구성을 높였다. 실험 결과, 3만 사이클 열화 과정에서도 전기화학적 활성 면적(ECSA)이 20%만 감소해 미국 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의 수소연료전지 상용차 기술 목표를 충족했다.
이번 연구는 고부하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성능을 유지하는 촉매 합성법을 제시했으며, 수소연료전지 상용차 개발과 다양한 나노입자 촉매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