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에스티팜, "제2올리고동, 생산·신약 투 트랙 전략 강화"

지난 4일 경기 안산 소재 에스티팜 반월캠퍼스에서 열린 '제2올리고동 준공식'에서 임진석 에스티팜 생산본부장(왼쪽부터), 김민영 동아쏘시오홀딩스 사장, 성무제 에스티팜 사장, 강정석 동아쏘시오위원회 위원장, 정재훈 동아에스티 사장, 백상환 동아제약 사장, 박윤이 아벤종합건설 사장 등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동아쏘시오그룹.

동아쏘시오그룹의 에스티팜이 대규모 생산 시설인 '제2올리고동'을 완공하고 자체 신약개발에 속도를 내는 등 신성장동력을 다지고 있다.

 

7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에스티팜은 '올리고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생산 능력을 강화한다. 지난 4일 경기 안산에 위치한 반월캠퍼스에서 열린 '제2올리고동' 준공식을 열고 에스티팜은 2023년 8월에 착수한 신축 공사를 마무리한 것이다.

 

에스티팜은 제2올리고동을 약 3300평, 높이 60m, 9개 층으로 설계했다. 특히 중·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생산 라인을 구축해 대형 생산 중심의 기존 제1올리고동과 차별화했다. 또 상위 2개층에는 '퓨처 아리아' 공간을 마련하는 등 임상 초기 단계부터 상업화까지 폭넓은 고객사 요구에 유연하게 충족하기 위한 설비를 갖췄다.

 

공정 제어 자동화 시스템(PCS) 등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위한 시설도 도입했다. 폐열을 난방으로 재사용하는 등 친환경 신기술을 적용한 것도 특징이다.

 

이러한 제2올리고동은 지난 7월부터 생산을 시작했고 상업화용 배치 생산은 올해 4분기부터 본격화된다. 오는 2028년 이후까지는 단계적인 증설도 이뤄진다. 에스티팜은 제2올리고동 신축 및 증설에 총 15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혀 온 가운데, 올해 상반기까지 집행된 금액은 1075억원 수준이다.

 

에스티팜은 향후 제2올리고동을 통해 '올리고 뉴클레오타이드' 생산 규모를 연간 14mol(최대 7t)까지 확장해 글로벌 CDMO 시장에서 기업 경쟁력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현재 미국, 유럽 등의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텍과 파트너십을 맺으며 수주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RNA 기반 치료제, 저분자 합성 신약 등의 원료의약품을 공급하는 데 중점을 둔다.

 

에스티팜은 생산 역량과 함께 mRNA 플랫폼 기술도 활용해 종합 유전자치료제 CDMO 영역으로 기업 입지를 넓힌다.

 

에스티팜의 '스마트캡' 기술은 백신 등에서도 응용 가능하다. 스마트캡은 유전자 염기서열 말단 부위의 안정성을 높이는 국산 캡핑 기술이다. 에스티팜은 mRNA 약물 전달 기술 '에스티엘엔피'도 보유하고 있다. mRNA 약물을 체내에서 안전하게 전달하는 것이 핵심이다.

 

신성장동력으로는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2개의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해 글로벌 임상 단계에 진입해 있다. 이후 기술수출과 원료공급권 독점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에스티팜이 에이즈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STP0404'의 경우, 오는 10월 임상 2a상 중간 분석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STP0404'는 알로스테릭 인테그라제 억제제라는 작용 기전으로는 세계 최초로 임상 2상 단계에 돌입한 바 있다.

 

성무제 에스티팜 대표는 "제2올리고동 준공을 기점으로 에스티팜은 다양한 시장의 요구에 더욱 긴밀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고객 중심의 사고방식을 한층 강화할 것"이라면서 "개신창래(開新創來, 새로운 길을 열어 미래를 창조한다) 정신을 바탕으로 모든 임직원이 생명을 살리는 혁신 기업이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