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제2금융

멧 프루삭 "트럼프는 첫 비트코인 대통령…전통 금융도 비트코인 투자"

마이크 호 아메리칸 비트코인 공동회장(왼쪽부터), 맷 프루삭 아메리칸 비트코인 대표, 재클린 멜리넥 토큰 릴레이션스 공동창업자가 기조강연을 진행하고 있다./안승진

"트럼프의 취임으로 미국은 첫번째 비트코인 대통령을 맞이했다. 그의 가족들도 비트코인에 깊게 관여하고 있고, 입법자들은 가상자산에 대한 관심을 높이며 예전보다 더 적극적인 시도를 하고 있다."

 

멧 프루삭 아메리칸 비트코인 대표는 23일 서울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에서 열린 'KBW2025: IMPACT'에서 미국 내의 가상자산 정책 변화 가속과 비트코인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기조강연에는 마이크 호 아메리칸 비트코인 공동회장과 재클린 멜리넥 토큰 릴레이션스 공동창업자,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아메리칸 비트코인 공동창업자가 함께 참여했다.

 

프루삭 대표는 "가상자산은 전통적인 기업과 금융기관들도 투자하고 싶어하는 포트폴리오가 됐고, 충분한 성숙단계에 도달했다. 충분한 결제 인프라가 확보됐고, 각국의 정책 발전도 가상자산에 보다 적합해지고 있다"면서 "사람들은 이제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묻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사람들이 블록체인에 친숙하게 만들고, 가상자산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 세계에는 하루에 거래량이 수십만달러에 불과한 증권 시장도 많다. 재무 회사의 확장속도와 상한선은 유동성으로 이어진다"면서 "이런 곳에서도 사람들이 국경을 넘어 가치를 거래할 수 있다면, 시간이 지나도 그 가치가 유지된다는 비트코인의 장점은 더 부각된다"고 덧붙였다.

 

마이크 호 아메리칸 비트코인 공동회장은 "비트코인은 현존하는 유일한 희소자산이다. 비트코인 이전에는 금이 모든 시대의 화폐였고, 금 한 온스는 어느 시점에나 높은 가치를 지녔다. 그러나 금의 헤지는 유한하지 않다. 금 가격이 상승하면 시장에는 더 많은 금이 들어오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반면에 비트코인은 최대 2100만개만 존재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비트코인은 진정한 희소자산이다. 지금까지 채굴된 비트코인은 약 2000만개지만, 그중 70%는 유통되지 않고 있다"면서 "전체 비트코인의 6%가 미국 ETF에 의해 소유되고 있고, 많은 경제 주체는 비트코인을 콜드 스토리지로 이동하고 있다. 모두가 비트코인을 원하고 있다. 이것이 비트코인이 희소한 가치를 갖는 이유다"라고 강조했다.

 

영상통화로 세션에 참여한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아메리칸 비트코인 공동창업자는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가장 큰 은행들이 비트코인이 사기라고 말했지만, 지금은 그들이 운영하는 기관들이 비트코인을 빠르게 사들이고 있다. 정말 비트코인이 사기라고 생각했다면 그러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국경이 없고 효율적이며, 기존의 비효율적인 기술들을 혁신할 잠재력을 갖췄다"라면서 "비트코인은 지금 막 본격적인 첫 걸음을 떼고 있지만, 기존의 금융환경을 민주화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이미 다음 금융 혁명을 위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다. 모든 국가와 시장이 비트코인을 활용해 다음 단계로 나아갈 준비가 된 것은 아니지만, 미국은 이를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면서 "기존 시스템은 느리고 비용이 많이들며, 배타적이다. 반면 비트코인은 투명하고 탄력적이며, 국경도 중앙 권한도 없다. 그래서 혁신은 불가피하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비트코인을 통한 금융 민주화로)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수수료를 내던 사람들도 비트코인을 통해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이는 곧 번영으로 이어지고, 번영은 곧 평화를 말한다"라면서 "금융의 민주화는 늘 결여됐던 부분이다. 비트코인은 금융 민주화를 실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기존 시스템에 머무르고 싶어하지만, 그것은 기존 시스템이 불공평하단걸 깨닫지 못했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