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약정·혜택 다 뺀다” SKT, 신규 브랜드 ‘에어’ 공개

5G 6단계 요금제… 무약정·위약금 없음
앱에서 부가서비스 가입·해지 간편화
포인트로 요금 할인·상품권 교환 가능
자급제 고객 맞춤, 알뜰폰 잠식은 부인

이윤행 SK텔레콤 air기획팀장이 1일 서울 성수동 T팩토리에서 자급제 전용 디지털 통신 서비스 '에어(air)'를 소개하고 있다. /SKT

SK텔레콤이 2030세대 자급제 단말기 사용자를 정조준한 새로운 디지털 통신 브랜드 '에어(air)'를 오는 13일 공식 선보인다. '통신 미니멀리즘'을 기치로 내건 에어는 복잡한 약정과 부가 혜택을 덜어내는 대신, 전용 애플리케이션(앱) 하나로 가입부터 해지까지 모든 과정을 처리할 수 있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표방한다.

 

SK텔레콤은 1일 ICT 복합문화공간 T팩토리 성수에서 SK텔레콤 신규 서비스 출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규 서비스 에어를 소개했다.

 

에어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함과 실용성이다. 기존 통신 서비스의 상징과도 같았던 T멤버십, 유무선 결합 할인, 장기 고객 혜택 등을 과감히 없앴다. 대신 자급제 고객 선호도가 높은 5G 데이터 구간 6개로 요금제를 간결하게 구성했다. 요금은 월 2만9000원(7GB)부터 최대 5만8000원(무제한)까지이며, 데이터 소진 후에도 추가 요금 없이 제한된 속도로 계속 이용할 수 있다. 무약정이라 위약금 부담도 없다.

 

기존 혜택을 덜어낸 자리는 '에어 포인트'라는 새로운 보상 체계로 채웠다. 사용자는 전용 앱에 탑재된 만보기, 밸런스 게임('오늘의 픽') 등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며 포인트를 쌓을 수 있다. 이렇게 모은 포인트는 매월 최대 5000원까지 통신요금을 차감하는 데 쓰거나, 앱 내 '포인트샵'에서 네이버페이 포인트, 편의점·백화점 상품권 등 1000여 종의 상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를 '앱테크'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고객의 지속적인 앱 참여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

 

에어는 서비스 경험 전반을 디지털에 최적화했다. 복잡했던 개통 절차를 대폭 간소화해 1분 30초면 가입 준비를 마칠 수 있으며, 즉시 개통이 가능한 이심(eSIM)을 우선 지원한다. 전산 마감 시간 이후에는 '예약 가입'을 통해 다음날 오전에 자동으로 개통될 수 있도록 했다.

 

고객센터 역시 365일 24시간, 전문 상담원이 1:1 채팅 상담을 제공한다. 향후 AI 챗봇 도입도 계획 중이다. 보안 문제에 대해서도 "화이트해커 검증을 거쳤으며, 외부 기관과 협업해 명의도용 등 보안 사고가 없도록 만반의 준비를 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부가서비스는 고객 수요가 높은 실용적인 상품으로 구성했다. 로밍 서비스를 포함해 ▲컬러링, 콜키퍼와 같은 통화 편의 ▲문자스팸 필터링, 유심보호서비스와 같은 보안상품 등으로 구성되며, 고객이 필요한 부가서비스는 앱에서 직접 선택해 가입하고 해지도 앱에서 클릭 한 번으로 쉽게 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에어가 알뜰폰 시장을 잠식하기 위한 서비스가 아니냐는 질문에는 선을 그었다. SK텔레콤 이윤행 에어기획팀장은 "알뜰폰과 경쟁을 생각해 만든 서비스가 아니다"라며 "기본적으로 자급제 단말을 쓰는 고객에게 통신 품질 외에 일상 속 혜택을 연결하는 새로운 선택지를 주자는 고민에서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이 알뜰폰 도매제공 의무사업자인 만큼, 에어 요금제를 알뜰폰 도매대가보다 높은 수준으로 책정했다는 점도 덧붙였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에어는 2030 고객들이 기존 통신 서비스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꼼꼼히 살펴 개통부터 해지까지 모든 통신 경험을 새롭게 구성한 서비스"라며 "디지털 세대의 특화된 요구를 충족시키는 틈새 전략과 혁신적 시도를 통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