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나기자의 인도 네팔 여행기] 인도, 욕하지 마라, 너도 곧 같게 되리라

갠지스강을 가기위해 싸이클릭샤를 타고 가는 모습. 주변에 사람들이 있고, 앞에는 교통 체증이 일어나고 있다./나유리 기자

"아니, 여기는 길 가운데에 화단이 있는데 왜 역주행을 해요? 저 앞에서 마주 오는 오토릭샤를 봐요. 이거 경찰들이 통제해야 하는거 아니에요?"

 

인도 바라나시에서 갠지스강을 보러가는길. 싸이클 릭샤, 오토릭샤, 오토바이, 자동차, 사람으로 가득찬 도로 맞은편에서 오토릭샤가 달려왔다.

 

싸이클 릭샤는 자전거 인력거, 오토릭샤는 인력거를 대체한 삼륜차로, 태국이나 캄보디아에서는 툭-툭스(Tuk-Tuks)로 불린다.

 

"내 허벅지는 튼튼해서 어디든 갈 수 있어요"

 

내가 놀라 손가락으로 지목하자 나를 태운 싸이클 릭샤 아저씨는 허벅지를 두드리며 말했다.

 

그 말이 '걱정 말아요, 괜찮아요'라는 위로였는지,'이 정도쯤은 아무 일도 아닙니다'라는 자부심이었는지는 모르겠다.

 

잠시 뒤, 마주 오던 오토릭샤가 스쳐 지나갔다.

 

'이게...되네?'

 

그리고 갠지스강에서 숙소로 돌아가는 길. 나는 역주행을 했다.

 

고의는 아니었다.

 

싸이클 릭샤 아저씨는 앞만보며 페달을 밟았고, 나는 왜 차들이 나에게 조명을 비추는지 의아했을 뿐이다.

 

그때 문득 깨달았다.

 

인도 사람들이 역주행을 봐도 화내지 않는 이유를.

 

'나도 언젠가 역주행할 수 있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인도의 도로가 막히는 이유는 많다.

 

자전거 인력거, 오토바이, 자동차가 한꺼번에 쏟아지고, 인도가 없어 사람들까지 도로 위를 걷는다. 여기에 역주행 차량까지 섞이니 정체는 필연이다.

 

이 혼돈 속에서 가장 조심해야 할 건 '손'이다.

 

차량 간 거리는 1cm도 채 되지 않는다. 괜히 손을 내밀었다간 그대로 낄 수 있다. 조심, 또 조심.

 

인도에서 가장 먼저 버려야 할 건 '질서에 대한 기대'다.

 

인도를 욕하지 마라.

 

너도 곧 같게 되리라.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