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서울 59㎡ 아파트 10억 시대...'국평' 기준 바뀌나

서울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전경. /뉴시스

서울 아파트의 대표 평형으로 꼽히는 전용 59㎡(약 24평)의 평균 매매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다. 실수요 중심의 매수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출 규제 강화와 자금 부담 속에서도 중형 평형의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말 기준 서울 전용 59㎡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10억5006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9억7266만원)보다 약 8% 상승한 수치로, 3년 연속 상승폭이 확대됐다.

 

구별로는 강남구(16.7%),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등 이른바 '한강벨트' 지역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강남구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해 17억8706만원에서 올해 20억8570만원으로 3억원 가까이 올랐다. 특히 개포동은 20억5302만원에서 25억2137만원으로 22.8% 급등했고, 삼성동(17.9%), 역삼동(16.5%) 순으로 뒤를 이었다. 강남권 13개 동 중 5개 동의 전용 59㎡ 평균가격이 20억원을 넘겼다.

 

마포구는 용강동(13억9316만원→17억90만원)의 상승폭(22.1%)이 두드러졌으며 'e편한세상 마포리버파크'와 '마포용강삼성래미안' 등 역세권 신축 단지의 거래가 활발했다.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중심으로 전용 59㎡ 평균가격이 13억1720만원에서 15억2588만원으로 2억원 이상 뛰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제한됐다. 도봉구는 5억3974만원에서 5억4894만원으로 1.7% 상승하는데 그쳤고 중랑구는 5억8722만원으로 변동이 거의 없었다.

 

금천구는 6억913만원으로 1.8% 하락, 종로구도 11억3978만원으로 5.5% 낮아졌다. 두 지역 모두 역세권 신축보다는 저가 단지 중심의 거래가 많아 평균 가격이 낮게 집계됐다.

 

서울 전용 59㎡, 84㎡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변동. /직방

서울 전용 59㎡의 평균 매매가격은 2023년 9억419만원→2024년 9억7266만원(7.6%)→2025년 10억5006만 원(8.0%)으로 매년 상승폭이 커졌다. 특히 신축 아파트에서 59㎡ 평면은 공간 효율성이 높고 대출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어 3040 실수요층과 3인 가구 중심으로 선호도가 높다.

 

한편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2023년 11억6597만원→2024년 12억7591만원→2025년 13억8086만원으로 올랐지만 상승률은 지난해 9.4%에서 올해 8.2%로 둔화됐다. 이미 높은 가격대와 강화된 대출 규제, 그리고 1~2인 가구 증가 등으로 인한 수요 이동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84㎡는 여전히 가족 단위 수요가 집중되는 대표 평형이지만 가격 진입장벽이 높아지면서 59㎡로 이동하는 실수요가 늘고 있다"며 "두 평형 모두 시장의 기준 역할을 이어가고 있으나 최근 흐름은 실거주·환금성이 높은 중형 평면 중심으로 굳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