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의 대표 평형으로 꼽히는 전용 59㎡(약 24평)의 평균 매매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10억원을 넘어섰다. 실수요 중심의 매수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대출 규제 강화와 자금 부담 속에서도 중형 평형의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말 기준 서울 전용 59㎡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10억5006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9억7266만원)보다 약 8% 상승한 수치로, 3년 연속 상승폭이 확대됐다.
구별로는 강남구(16.7%), 마포구(15.9%), 송파구(15.8%), 강동구(13.9%), 성동구(13.7%), 광진구(11.0%) 등 이른바 '한강벨트' 지역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강남구의 전용 59㎡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해 17억8706만원에서 올해 20억8570만원으로 3억원 가까이 올랐다. 특히 개포동은 20억5302만원에서 25억2137만원으로 22.8% 급등했고, 삼성동(17.9%), 역삼동(16.5%) 순으로 뒤를 이었다. 강남권 13개 동 중 5개 동의 전용 59㎡ 평균가격이 20억원을 넘겼다.
마포구는 용강동(13억9316만원→17억90만원)의 상승폭(22.1%)이 두드러졌으며 'e편한세상 마포리버파크'와 '마포용강삼성래미안' 등 역세권 신축 단지의 거래가 활발했다.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중심으로 전용 59㎡ 평균가격이 13억1720만원에서 15억2588만원으로 2억원 이상 뛰었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은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제한됐다. 도봉구는 5억3974만원에서 5억4894만원으로 1.7% 상승하는데 그쳤고 중랑구는 5억8722만원으로 변동이 거의 없었다.
금천구는 6억913만원으로 1.8% 하락, 종로구도 11억3978만원으로 5.5% 낮아졌다. 두 지역 모두 역세권 신축보다는 저가 단지 중심의 거래가 많아 평균 가격이 낮게 집계됐다.
서울 전용 59㎡의 평균 매매가격은 2023년 9억419만원→2024년 9억7266만원(7.6%)→2025년 10억5006만 원(8.0%)으로 매년 상승폭이 커졌다. 특히 신축 아파트에서 59㎡ 평면은 공간 효율성이 높고 대출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어 3040 실수요층과 3인 가구 중심으로 선호도가 높다.
한편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2023년 11억6597만원→2024년 12억7591만원→2025년 13억8086만원으로 올랐지만 상승률은 지난해 9.4%에서 올해 8.2%로 둔화됐다. 이미 높은 가격대와 강화된 대출 규제, 그리고 1~2인 가구 증가 등으로 인한 수요 이동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84㎡는 여전히 가족 단위 수요가 집중되는 대표 평형이지만 가격 진입장벽이 높아지면서 59㎡로 이동하는 실수요가 늘고 있다"며 "두 평형 모두 시장의 기준 역할을 이어가고 있으나 최근 흐름은 실거주·환금성이 높은 중형 평면 중심으로 굳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