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韓 정부·기업 AI 전환 가속에도…美·中과 규모 격차 뚜렷

美 아마존·MS·알파벳, 수백억달러 규모 AI 투자…中도 기업-정부 총력전
韓 정부·기업 GPU 조달·데이터센터 확충 나서고 있으나 규모 제한적

/ChatGPT

국내 기업과 정부가 인공지능(AI)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미국·중국과의 규모 격차를 좁히는 것에는 힘겨워하는 모습이다.전 세계적으로 AI 산업의 패권을 잡기 위한 총력전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미·중은 주요 기업과 정부가 수백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투자를 퍼붓고 있다.

 

14일 시장 분석업체 코베이시레터 등 업계에 따르면 연산량 급증에 따른 GPU와 전력 부족 현상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AI 경쟁의 중심축은 '인프라 확충'으로 이동하고 있다. 코베이시레터는 소셜미디어 엑스(X·전 트위터)를 통해 "AI 컴퓨팅 수요가 무어의 법칙(반도체 성능이 약 18개월마다 두 배로 향상된다는 경험칙)이 예측하는 성장 속도의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현재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매년 약 5000억달러(약 720조원) 규모의 데이터센터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AI향 투자규모 선두인 미국은 민간 빅테크의 자본력에서 절대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아마존은 올해 IR 콜에서 AI 중심 설비투자가 1000억달러(약 141조원)를 웃돌 수 있다고 언급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800억달러, 알파벳은 85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픈AI와 엔비디아 역시 10GW급 슈퍼컴퓨팅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초대형 AI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격적인 투자에 힘입어 당분간 엔비디아, AMD, 구글은 GPU·가속기 생태계를 주도하며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전망이다.

 

중국 역시 중앙정부와 빅테크 기업이 동시에 대규모 투자를 밀어붙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동수서산' 프로젝트를 통해 2025년까지 총 컴퓨팅 파워 300엑사플롭스(EFLOPS)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 말 기준 이미 280 EFLOPS에 도달했으며, 이 중 AI 전용 지능형 컴퓨팅만 90 EFLOPS에 달한다. 알리바바는 3년간 3800억 위안(약 74조원) 투자 계획을 밝히고도 증액 가능성을 시사하며 1조 파라미터급 모델 'Qwen3-Max'까지 공개했다. 바이두는 ERNIE 시리즈를 고도화하고 자체 가속기 '곤륜' 생태계를 확대해 자급률을 높이고 있다.

 

전체 글로벌 AI 시장 역시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시장 조사 기관 마켓앤마켓츠에 따르면 글로벌 AI 칩 시장은 2024년 약 1230억달러(한화 약 173조4000억원)에서 2030년 약 3100억달러(한화 약 437조1000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시장의 70~80%를 점유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지배력은 브로드컴·AMD 등 신규 업체들의 진입으로 일부 분산될 것으로 점쳐진다.

 

국내 기업·정부도 AI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글로벌 빅테크에 비해 투자 규모에서는 여전히 격차가 존재한다. 정부는 국가 주도의 AI 컴퓨팅 센터 확충 계획을 추진하며 AI 인프라 확충에 나서고 있으나 총 1조5000억원 규모 예산을 투입해 2025년까지 GPU 1만대, 2028년까지 1만5000대(약 15엑사플롭스 수준)를 조달한다는 계획에 그쳤다. SK텔레콤과 AWS가 함께 건설 중인 7조원 규모 울산 AI 데이터센터도 2027년 41MW, 2029년 103MW까지 확장해 장기적으로 1GW급 전력 처리를 목표로 한다. 국내에서는 최대 규모임에도 미·중의 투자 규모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이같은 규모 격차를 일부나마 극복할 방안으로는 적극적인 인재 교류·양성과 지방 정부 간의 협업이 지목됐다. 남은영 동국대 글로벌무역학과 교수는 "규모 경쟁에서 한국이 현실적으로 미·중을 따라잡긴 어렵지만 지방정부 간 실무협력과 인재 교류·양성으로 돌파구를 만들 수 있다"며 "특히 지방 정부 간 협업이나 인재 교류는 중앙 정부 간 협력보다 정치적 리스크가 적어 운신의 폭이 넓기 때문에, 부족한 교육 재원과 앞선 경험·제도를 타국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