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유진
[시황마감]코스피 1910대로 후퇴…코스닥은 3% 하락

6일 코스피가 1910대로 후퇴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9.48포인트(1.51%) 내린 1917.50으로 장을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 2016년 2월 29일(1916.66) 이후 3년 5개월여만의 최저치다. 지수는 전장보다 46.62포인트(2.39%) 내린 1900.36으로 출발해 장중 한때는 1891.81까지 추락, 1900선 밑까지 내려갔다. 코스피가 장중 1900선 아래로 내려간 것도 2016년 6월 24일 이후 3년1개월여 만이다. 김용구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글로벌 증시 급락에 큰 폭의 하락세로 출발했다가 저가 매수세 유입으로 일부 낙폭을 만회했다"며 "하지만 대외 불확실성에 당분간 시장의 변동성은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6074억원, 40413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기관은 1조323억원을 순매수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는 SK하이닉스(-4.51%), 현대모비스(-2.27%), SK텔레콤(-1.98%), LG생활건강(-1.84%), LG화학 (-1.74%), 현대차(-1.18%), 신한지주(-1.16%), 삼성전자(-1.02%) 등이 각각 주가가 떨어졌다. 시총 상위 10위권에서는 셀트리온(0.69%)과 NAVER(0.36%)만 상승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8.29포인트(3.21%) 내린 551.50으로 장을 마쳤다. 종가 기준 2014년 12월 30일(542.97) 이후 4년 7개월여만에 최저치다. 지수는 14.72포인트(2.58%) 내린 555.07로 시작해 540.83까지 떨어지다가 장중 한때 반등에 성공하는 등 큰 변동성을 보였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개인이 3427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2866억원, 607억원을 각각 순매수했다. 외국인의 코스닥 순매수액은 코스닥시장 개설 이후 최대치다. 시총 상위주 중에서는 휴젤(-7.05%), 케이엠더블유(-3.17%), 스튜디오드래곤(-3.05%), 펄어비스(-2.23%), CJ ENM(-1.11%) 등의 주가가 감소했다. 특히 신라젠은 3거래일 연속 가격제한폭(29.98%)까지 떨어졌다. 반면 헬릭스미스(4.27%), 메디톡스(3.43%), 셀트리온헬스케어(0.88%) 등은 상승했다.

2019-08-06 16:59:00 김유진 기자
내달 전자증권제도 시행…실물증권 21일까지 증권사에 예탁해야

한국예탁결제원은 전자증권제도가 다음달부터 시행됨에 따라 투자자들의 실물(종이)증권을 오는 21일까지 증권사에 예탁해야 한다고 6일 밝혔다. 상장증권 및 비상장 주권 중 전자등록을 신청한 주권이 오는 9월16일부터 전자증권으로 일괄전환된다. 이에 따라 투자자가 증권회사를 통해 보유하는 증권은 본인의 증권계좌를 통해 자동전환되지만 본인이 직접 실물(종이)증권을 보유하는 경우에는 특별계좌를 통해 관리된다. 특별계좌의 경우 실물증권이 효력을 상실함에 따라 투자자의 매매, 양도 등의 권리 행사가 제한된다. 때문에 투자자는 오는 21일까지 증권회사 지점을 방문해 본인명의의 증권회사 계좌에 자신이 보유한 실물증권을 예탁해야 한다. 예탁 마감기한은 증권회사별로 다를 수 있다. 증권회사 지점 방문 시 신분증과 실물증권을 지참해야 하며 본인명의 증권회사 계좌가 없을 경우 신규 개설을 해야한다. 26일부터는 명의개서대행회사(예탁결제원·국민은행·KEB하나은행)를 방문해 본인명의 증권회사 계좌로 계좌대체를 해야한다. 방문 시에는 신분증과 실물증권, 본인명의 증권회사 계좌가 필요하다. 전환 대상 실물증권을 기한 내 예탁하지 못해 효력이 상실되더라도 제도시행일부터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식 소유자는 특별계좌에 명의자로 기재된다. 명의개서대행회사를 방문해 자기명의 증권회사계좌로 계좌대체 신청이 가능하다.

2019-08-06 14:47:10 김유진 기자
'안전자산 선호' 채권형펀드 설정액 121조…20년만에 최대

지난달 채권형 펀드 규모가 약 20년 만에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주식형 펀드 규모는 1년 7개월 만의 최저치로 가라앉았다. 미·중 무역분쟁 악화에 일본의 한국 수출규제까지 글로벌 악재가 겹치면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뚜렷해졌다는 분석이다. 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채권형 펀드 설정액(월말 기준)은 121조3679억원에 달했다. 지난 1999년 10월(130조8091억원) 이후 19년 9개월 만의 최대치다. 채권형 펀드 설정액은 미·중 무역전쟁 우려가 증폭되며 증시가 폭락했던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늘었다. 반대로 주식형 펀드 설정액은 올해 들어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달 주식형 펀드 설정액은 79조3464억원으로 지난 2017년 12월(77조8762억원)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저치로 감소했다. 주식형 펀드 설정액은 지난 1월만 해도 88조원을 웃돌았지만 이후 꾸준하게 줄어든 것이다. 미중 무역협상 타결 기대감이 한풀 꺾이고 일본이 한국에 대해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 조치를 취하면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에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달 30~31일 중국 상하이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무역협상이 개최됐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났다. 그나마 다음 달 협상을 재개하는 데 합의해 협상의 불씨를 살려뒀다. 이어 지난달 일본이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 조치를 가했다. 일본은 지난달 4일 한국의 핵심 산업인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중 일본 시장 의존도가 높은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등 3개 품목의 수출을 규제한다고 밝혔다. 또 수출절차 간소화 혜택을 인정하는 화이트 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겠다고 위협했고 결국 지난 2일 실제로 이를 공식화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도 다시 부각되고 있다. 북한이 지난달 25일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동해로 단거리미사일 2발을 발사한 데 이어 31일 함경남도 호도반도 일대에서 신형 탄도미사일 2발을 쏘아 올렸다. 국내외 악재가 잇따르르자 지난달 코스피와 코스닥지수는 5.0%, 8.7% 각각 하락했다. 반면 채권은 국고채 금리가 계속 하락(채권값 상승)하며 강세장을 펼쳤다. 지난달 말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연 1.292%까지 급감, 1.3% 선이 무너졌고 1년~20년물은 연저점 기록을 새로 썼다. 향후에도 안전자산 선호 현상은 지속할 전망이다. 미중 무역전쟁과 일본의 수출규제와 관련된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폭되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다음 달부터 3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히며 중국을 더욱 압박하고 있다. 또 일본의 수출 규제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이어 기계와 자동차 등 다른 산업으로 영향력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편 8월 들어 전날까지 코스피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3.8%, 9.6% 급락했다. 코스피는 2000선이 무너지고 코스닥지수는 600선이 붕괴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지수 급락으로 2016년 6월 이후 3년 1개월여만에 사이드카도 발동됐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최근 국내 주식시장의 하락으로 위험자산에 편중된 투자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지고 있다"며 "연초 이후 6개월 이상 채권형 펀드로의 순유입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9-08-06 14:05:12 김유진 기자
기사사진
[기자수첩] 현명한 '반일(反日)감정'

8월 둘째 주를 시작하며 체감한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영향은 막강했다. 이날은 지난 2일 금요일, 일본이 전략물자 수출 간소화 혜택을 주는 27개국의 목록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개정안을 결의한 뒤 다시 시작한 한 주다. 본격적으로 금융시장이 출렁이기 시작했다. 미·중 무역분쟁 고조에 이어 일본의 2차 경제보복까지 이어지자 주식시장과 원화 가치가 그야말로 나락으로 떨어졌다. 코스피는 2년 9개월 만의 장중 저점을 찍었고 코스닥은 6%대까지 급락하면서 금융위기 분위기가 조성됐다. 이에 따라 한국거래소는 향후 5분간 프로그램 매도호가의 효력이 정지(사이드카 발동)된다고 공시하기도 했다. 코스닥에서 지수 급락에 따른 사이드카 발동은 약 3년 1개월만이다. 애국주는 이미 지난주부터 상승세다. 국민들이 주로 이용했던 일본 제품들의 국내 경쟁업체에 관심이 쏟아졌다. 이와 궤를 같이하는 일제 불매운동은 제2의 독립운동으로 퍼지고 있는 양상이다. 나라경제가 이 같은 위기에 몰리자 오히려 더 침착할 때가 왔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한일전은 가위바위보도 이겨야한다는 이야기는 한낱 우스갯소리가 아니었다. 하지만 과도한 민족주의가 비합리적인 칼날을 세워서는 안된다. 이미 구입한 일본 제품을 마저 사용하고 있는데 욕을 한다거나, 일본산 차에는 기름을 넣어주지 않는다는 식의 대응은 현명하다고 볼 수 없다.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경제력, 인구수 등에 많이 뒤쳐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의 성난 민심이 모여 일본의 경제를 흔들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기에는 충분하다고 본다. 그간 일제가 주류였던 제품들의 국내산 대체품목을 찾는 분위기 또한 성난 민심에서 비롯돼 잠깐 주식시장에서만 뜨는게 아니라 국산품 산업 활성화까지 확대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국민들의 인식이 여론으로 잠깐 들끓는 냄비로 전락해 우리의 노력이 허사로 돌아가는 일은 절대 없기를 기대해 본다.

2019-08-05 15:33:14 김유진 기자
기사사진
삼성증권, 해외주식 공개 특강 전국 주요 도시로 확대

삼성증권은 지난 7월 현대백화점 압구정 본점에서 진행된 해외주식 공개 특강 행사를 전국으로 확대한다고 5일 밝혔다. 이달 8월 해외주식 공개 특강 '애널리스트가 간다'에서는 삼성증권 대표 애널리스트 10명이 강사로 출연해 글로벌 주식시장의 테마별 핵심 투자 전략을 전달할 예정이다. 부산, 대전, 서울 등 3회에 걸쳐 진행될 이번 행사는 Tech, 미래산업, 유통, 온라인 결제 등 유망 종목 소개와 시장 전망, 투자자들의 질의응답 시간 등으로 꾸며질 예정이다. 행사는 평일에 증권사를 찾기 힘든 직장인 투자자들을 위해 주말에 열릴 예정이다. 오는 10일 오후 1시 '부산MBC드림홀'에서 진행될 첫 행사에 이어 17일과 31일에는 각각 대전 '믹스페이스',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오후 1시에 행사가 진행된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7월에 개최했던 행사 때 사전 신청 고객보다 훨씬 많은 내방객들이 몰려 일부 참석자가 서서 강의를 들을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다"며 "이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반영해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행사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강연은 매회 선착순 5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으로 삼성증권 고객이 아니어도 사전 신청만하면 무료 참석이 가능하다. 문의 및 신청은 삼성증권 홈페이지 또는 패밀리센터를 통해 가능하다.

2019-08-05 13:48:35 김유진 기자
日경제보복 후 반사이익 수혜株 '손바뀜'…모나미 1위

일본정부가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를 공식화한 뒤 약 한달간 주식시장에서 반사이익이 거론된 각종 수혜주의 '손바뀜' 현상이 자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 손바뀜은 특정 기간 거래량을 상장주식 수로 나눈 주식 회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회전율이 100%라면 해당 종목의 주식은 주인이 평균 1회 바뀐 것이다. 이같이 비정상적인 높은 회전율은 투자자에 각별한 주의를 요구한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7월 1일부터 8월 2일까지 유가증권시장 종목 가운데 모나미의 회전율이 2362.19%로 가장 높았다. 이어 화천기계(870.02%), 후성(559.00%) 순이었다. 공작기계 전문 기업 화천기계는 일본의 수출규제가 공작기계(장비)로도 확산할 수 있는 데 따른 국산화 기대감에 주목을 받았다. 후성은 이미 일본이 수출을 규제한 반도체 소재 품목인 불화수소를 제조하는 업체다. 이 외에도 신성통상(494.33%·5위), 경인양행(438.12%·6위), 남영비비안(220.94%·17위), 쌍방울(180.08%·19위) 등 기업의 반사이익 수혜주도 회전율 20위 안에 순위를 올렸다. 모나미와 신성통상, 남영비비안, 쌍방울은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일제 불매운동이 필기구와 의류, 속옷 등으로 확산하면서 국산품 수요가 증가할 것이란 기대감에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 품목인 포토레지스트(감광액) 관련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경인양행은 지난달 26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방문하면서 주목을 받기도 했다. 이들 종목은 가격도 급등했다. 지난 2일 기준 남영비비안의 주가는 6월 말 대비 313.24%나 올랐다. 같은 기간 모나미(150.10%), 경인양행(37.22%), 신성통상(37.04%), 후성(34.17%), 화천기계(12.82%), 쌍방울(4.65%) 등의 주가도 눈에 뛰게 뛰었다. 한편 일본 경제산업성은 지난 7월 1일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의 수출관리를 강화한다고 발표하면서 수출규제를 공식화했다. 이에 국내에서는 일제 불매운동이 확산되면서 기존에 쓰던 일제품을 대체한 국산품을 찾는 국민들이 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 2일 한국을 '백색 국가 명단'(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내용으로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의결, 2차 경제보복을 강행했다.

2019-08-04 15:01:59 김유진 기자
[주간증시전망]日 화이트리스트 배제, 韓 정부대응에 주목

이번주 국내증시는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수출간소화우대 대상) 배제에 따른 영향과 이에 대한 한국 정부 대응에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지난 2일 한국의 화이트리스트 제외가 결정, 일본의 경제적 보복이 '점입가경'으로 치닫으면서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4일 국내 다수의 증권사들이 낸 주간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이번주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는 NH투자증권 1980∼2070, 한국투자증권 1960~2040, 하나금융투자 1980∼2030 등이다. 화이트리스트 배제를 담은 일본 정부의 개정 수출무역관리령은 오는 28일 시행 예정인 만큼 그 영향이 당장 증시에 반영되진 않는다. 하지만 일본의 도발이 확대될 수 있다는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투자자들의 불안감 등이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 정부가 일본의 경제보복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표한 만큼 향후 어떻게 대응할 지도 관심을 끈다. 장기화되고 있는 미중 무역협상도 난제다. 지난 1일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부터 중국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한국투자증권 김대준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추가 관세 발언과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결정으로 무역 리스크는 더욱 심화됐다"며 "증시 시장에 완전하게 보수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2019-08-04 14:38:16 김유진 기자
기사사진
한국예탁결제원, 인권경영 선언식 개최

한국예탁결제원은 부산 본사에서 사람을 최우선으로 인권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인권경영 선언식'을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선언식에는 이병래 사장을 비롯해 임직원, 노동조합 및 자회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KSD 인권경영 선언문' 낭독 및 전 직원 선서를 통해 인권경영을 통한 사회적 가치 구현을 다짐하는 시간을 가졌다. 선언식 후에는 인권경영관련 외부 전문강사를 초청해 인권의식 함양을 위한 특별강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KSD 인권경영 선언문은 ▲인권중심의 경영활동 실시 ▲적극적인 피해자 구제 노력 추진 ▲차별 금지 ▲강제·아동노동 금지 ▲노동조합 활동 보장 ▲안전한 근무환경 제공 ▲협력업체 인권존중 ▲지역주민 인권존중 ▲환경경영 실시 ▲고객 인권존중 등 10대 인권경영 실천원칙을 담고 있다. 예탁결제원은 이번 선언식을 계기로 내부적으로 인권존중 경영을 더욱 확산시키고 외부적으로 증권회사 등 고객사 관계자들의 인권을 존중하고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병래 사장은 "인권경영 실현을 통한 인권가치에 대한 임직원 인식을 개선하고 이해관계자의 인간적 존엄성을 보장하여 기관운영 및 사업운영 전반에 있어서 사회적 가치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2019-08-01 13:16:00 김유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