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유진
기사사진
[IPO기자간담회] 닭고기 기업 마니커 코스닥 노크

닭고기 가공 브랜드로 성장한 '마니커에프앤지'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기존에 튼튼하게 사업 역량을 쌓아온 B2B 시장을 기반으로 B2C 시장까지 사업영역을 확대, 회사의 성장 모멘텀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마니커에프앤지는 31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사업 전략 및 향후 성장계획을 밝혔다. 마니커에프앤지는 8월 1~2일 양일간 수요예측을 거쳐 7~8일 청약을 진행한다. 신주발행 되는 공모 주식 수는 260만주이며 공모가 희망 밴드는 주당 3400~4000원이다. 상장 주관사는 유진투자증권이며 8월 20일 매매가 개시될 예정이다. 2004년 설립된 마니커에프앤지는 육류를 가공해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육가공 식품 전문 기업이다. 사료 및 농축산 밸류체인을 갖춘 이지바이오 그룹 계열사로 팜스토리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는 15년 업력을 통해 쌓아온 육가공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튀김류, 햄버거 패티류, 구이류, 육가공류, 훈제류, HMR 제품군 등 260종 이상의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췄다. 특히 회사는 B2B 채널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 자체 시장조사를 거쳐 제품을 기획하고 개발해 기업에 제품을 제안하는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 대표적이다. 그 결과 국내 3대 패스트푸트(롯데리아·맥도날드·버거킹) 프랜차이즈 기업과 3개 급식기업(현대그린푸드·CJ프레시웨이·삼성웰스토리)을 고객사로 두고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지난해 마니커에프앤지는 매출 994억원, 영업이익 62억원을 달성했다. 2017년 대비 각각 15.8%, 272.9% 성장한 수치다. B2B 시장을 기반으로 B2C 채널 구축도 완료했다. 편의점과 온라인, 대형마트 등 국내 주요 유통채널에서 마니커에프앤지의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가정간편식(HMR) 시장 성장세에 맞춰 닭고기 가공 분야 간편식 사업도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마니커에프앤지는 튀김, 구이, 훈제, 삼계탕 등 다양한 조리법 기반의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회사는 HMR 삼계탕 카테고리에서 '녹두 삼계탕', '전복 삼계탕', '누룽지 백숙' 등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해 업계 최고 수준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했다. 이 외에도 지난 5월 국내 최초로 에어프라이어 전용 브랜드 '에어프렌즈'를 런칭, 제품 라인업을 지속 확장해 3년 내 회사의 스테디셀러 브랜드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마니커에프앤지는 이번 상장을 통해 모인 공모자금으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차입금 상환(64억2500만원)에 우선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어 기계장치 매입과 구축물 및 시설보수 등 설비투자에 11억5200만원, 원자재구매 등의 운영자금에 11억4600만원을 각각 투자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윤두현 마니커에프앤지 대표이사는 "B2B 사업에서는 프랜차이즈와 급식업체를 위주로 고객을 늘려나가고 B2C에서는 가정간편식, 특히 에어프라이어 전용 제품을 늘릴 계획"이라며 "현재 진출한 해외 국가에서도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현지에 맞는 신제품을 지속 생산해 수출규모도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2019-07-31 14:43:56 김유진 기자
기사사진
키움증권, 삼성전자 기초자산 ELS 등 2종 출시

키움증권은 삼성전자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주가연계증권)등 2종을 출시했다고 31일 밝혔다. '키움 제1069회 ELS'는 만기 3년, 예상수익률 세전 연 8%이다. 기초자산은 삼성전자 보통주와 EUROSTOXX50지수, HSCEI지수다. 스텝다운 조기상환형 ELS로 모든 기초자산이 최초기준가격의 90%(6·12개월), 85%(18·24개월), 80%(30개월), 75%(36개월) 이상이면 세전 연 8%의 수익률로 상환된다.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투자기간 동안 기초자산이 최초기준가격의 60%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다면 세전 24%(연 8%)의 수익률로 만기 상환된다. '키움 제19회 뉴글로벌 100조 ELS'는 만기 6개월의 월지급식 ELS로 예상수익률은 세전 연9.51%이다. 기초자산은 미국 주식인 넷플릭스(Netflix)와 엔비디아(Nvidia) 보통주다. 세전 수익률은 연 9.51%로 매월 세전 0.7925%의 수익을 총 6회 지급한다. 6개월간 기초자산이 최초기준가격의 65%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다면 만기지급일에 원금을 전액 돌려받고 기초자산이 최초기준가격의 65%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있다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청약 마감은 8월 2일(금) 오후 1시다. 키움증권 ELS 청약자를 추첨하여 1만원을 지급하는 '키움증권 ELS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다.

2019-07-31 11:08:27 김유진 기자
기사사진
삼성자산운용, 누버거버먼이머징국공채플러스 펀드 1천억 돌파

삼성자산운용은 '삼성 누버거버먼이머징국공채플러스 펀드' 수탁고가 1000억원을 돌파했다고 31일 밝혔다. 지난해 말 설정액 591억원, 6월말 698억원 7월 30일 기준 1024억 원으로 연초 후 약 400억원이 몰렸다. 안정적인 성과가 이어지며 자금유입 속도가 증가하고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해당 펀드 환노출형은 연초후 수익률 17.66%, 환헤지형은 11.37%다(A클래스 기준·에프앤가이드). 이는 해외채권형 펀드 평균 수익률인 7.64%, 신흥국채권 펀드 평균인 10.51%를 상회하는 성과다. 펀드는 이머징 국가에서 발행하는 연6% 수준의 달러표시통화 채권에 투자해 자본차익과 인컴(Income)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다. 아르헨티나, 멕시코, 러시아 등 전세계 66개국 300여개 채권에 분산 투자한다. 6월말 기준으로 아르헨티나 5%, 멕시코 4.56%, 러시아 채권 4.38% 등을 보유하고 있다. 국채 비중이 약 64.5%, 정부보증채나 지방채 등 준정부채가 21.3%이며 그 밖에 일부 회사채를 편입한다. 견조한 경제성장률, 안정적인 환율 및 물가수준, 자금유입 등 경제와 체력이 개선되고 있는 이머징국가의 국공채는 선진국 채권 대비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자산이다. 특히 달러표시 국공채는 지역통화가 아닌 달러에 영향을 받게 되며 환율위험 없이 이머징국공채 투자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는 환헷지형을, 원달러 환율에 따른 추가 손익을 기대하면 환노출형을 선택해 가입할 수 있다. 한편 펀드의 하위펀드를 운용하고 있는 미국 누버거버먼은 1939년에 설립, 약 350조원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는 글로벌 자산운용사다. 최근 10년간 수탁고 중 주식 자산의 88%, 채권 자산의 94%가 벤치마크 대비 초과성과를 기록하는 등 안정적인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삼성자산운용 관계자는 "올해 이머징 채권시장은 경제 펀더멘털이나 수급, 정부의 금리정책 등 우호적인 환경 측면에서 여전히 유효하다"며 "다시 찾아오는 금리 인하 싸이클에 이머징국공채 펀드가 투자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9-07-31 11:08:12 김유진 기자
하반기 정제마진 개선 가능성↑…정유·화학주 주목

올 상반기 정제마진 하락, 시황 악화 등의 이유로 어닝쇼크 실적을 내놓고 있는 국내 정유·화학기업의 주가에 하반기 변수가 주목된다. 최근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경유마진이 소폭 상승한 점, 가솔린 재고감소 등으로 하반기 정제마진의 개선이 예상되면서 정유·화학주가 증권가의 관심종목으로 떠올랐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국내 정유·화학기업들이 올 2분기 '어닝쇼크'실적을 발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하반기 개선 여지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앞서 지난 24일 에쓰오일은 905억원의 영업손실을, LG화학은 전년보다 62%나 줄어든 2675억원의 영업이익을 각각 발표했다. 이어 SK이노베이션이 4975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놨다. 전년 동기보다 41.6% 감소한 것이다. 이지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최근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경유 마진이 0.5달러 상승한 점이 긍정적"이라며 "2분기 대비 3분기 높아진 정제마진 수준으로 정유업종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백영찬 KB증권 연구원도 "싱가폴과 중동지역의 제품재고가 감소하고 있어 향후 정제마진 하락이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백 연구원은 관심종목으로 SK이노베이션과 에쓰오일을 꼽았다. SK이노베이션은 정유부문 서프라이즈로 증권가 컨센서스보다 상회한 실적을 내놨다. 1분기에서 이연된 재고평가이익을 포함해 총 2000억원의 평가이익이 발생했으며 트레이딩 이익이 620억원 추가 개선되면서 전사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이에 회사측은 상반기보다 이익 수준이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간 배당을 1600원으로 발표하며 지난해 배당 수준을 이어갔다. 반면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하면서 적자를 시현한 에쓰오일은 보수 장기화, 윤활기유 정기보수 등 전사적으로 가동률 문제가 발생한 것이 상대적인 실적 부진을 가중시켰다. 하지만 부진했던 요인들이 하반기를 기점으로 개선될 것으로 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한승재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정제마진의 추가가능성 등으로 SK이노베이션, 에쓰오일 양 사 보두 하반기 영업이익이 상반기 부진했던 체력을 회복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2019-07-29 15:37:35 김유진 기자
기사사진
상반기 외화증권 결제금액 99조4177억원…직전반기比 60.3%↑

국내 투자자의 올 상반기 외화증권 결제금액이 약 840억6000만달러(99조4177억원)로 직전 반기(524억3000만달러·62조89억달러) 대비 6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달. 2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외화주식 결제금액은 180억7000만달러(21조3786억원)로 직전 반기(146억1000억달러) 대비 23.6% 증가했다. 외화채권 결제금액은 659억9000달러로 직전 반기(378억2000달러) 대비 74.4%나 늘었다. 전체 시장 중 결제금액 비중이 가장 높은 시장은 유로시장이었다. 유로시장은 총 비중 가운데 62.2%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했다. 결제금액 상위 5개시장(유로시장·미국·홍콩·중국·일본)의 비중은 전체의 98.8%에 달했다. 종목별 외화주식 결제금액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가 직전 반기(2억4800만달러·2934억5840만원) 대비 56.8%, 중국 상해·심천 주식 ETF(홍콩 상장)인 CSI 300 Index ETF가 직전 반기(5억7900만달러·6850억7280만원) 대비 55.0% 증가했다. 한편 국내투자자의 올 상반기 말 외화증권 보관금액은 398억4000달러(47조1466억원)로 직전 반기 말 대비 9.8% 증가했다. 외화주식 보관금액은 123억1000만달러(14조5675억원)로 직전 반기 말 대비 25.2%, 외화채권 보관금액은 275억3000달러(32조5462억원)로 직전 반기 말 대비 4.1%가 각각 늘었다. 종목별 외화주식 보관금액 상위종목은 아마존(미국) 6억3400만달러(7503억3900만원), GOLDWIN INC.(일본) 5억3200만달러(6296억2200만원), 장쑤 헝루이 의약(중국) 3억6500만달러(4320억1400만원)가 순을 이었다. 마이크로소프트(미국)는 2억1400만달러(2532억9040만원)를 기록하며 상위 10개종목에 들었다.

2019-07-29 15:26:30 김유진 기자
삼성자산운용, KODEX 종합채권액티브 ETF 순자산 1조원 돌파

삼성자산운용은 KODEX 종합채권(AA- 이상)액티브 ETF 가 순자산 1조 원을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26일 종가 기준으로 순자산은 1조30억원이다. 해당 ETF는 연초 이후에만 4000억원의 자금이 몰리며 2017년 6월 상장 이후 약 2년여 만에 순자산 1조원을 달성했다. 국내 상장된 총 435개 ETF중 순자산이 1조원 이상인 ETF는 총 8개다. 회사측은 단기채 중심의 업계 채권형 ETF 상품 대비 긴 듀레이션으로 운용하면서 국채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수익을 거둘 수 있는 회사채에도 고루 투자해 투자자들의 선택지를 넓힌 결과라고 설명했다. 액티브ETF는 지수 성과를 그대로 추종하는 일반 ETF와 다르게 지수 대비 초과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다. KODEX 종합채권 액티브ETF는 국내 최초의 액티브 채권ETF로, 한국의 우량채권시장을 대표하는 채권 4000여 종목을 바탕으로 구성된 KAP 한국종합채권지수 (AA-이상, 총수익)를 기초지수로 하고 있다. 김남기 ETF운용1팀장은 "KODEX 종합채권 액티브ETF가 따르는 한국종합채권지수는 주식시장으로 비유하면 코스피200 지수와 같은 국내 채권시장 대표지수" 라며 "그 동안 채권시장에는 MMF 대용의 단기채권형 ETF가 주로 거래 되면서 다양성 측면에서 아쉬움이 있었다면 기관투자자들 중심으로 KODEX 종합채권 액티브ETF를 통해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9-07-29 14:23:43 김유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