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모평 난이도’ 입시업계, 국어·수학 평 엇갈려…영어는 ‘평이’ 입모아
1일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대비 6월 모의평가가 전국에서 치러진 가운데, 1교시 국어와 2교시 수학은 난이도를 두고 입시업계의 평이 엇갈렸다. EBS 연계 강화로 국어 독서 파트는 접근이 쉬웠다는 데 이견이 없지만, 문학에서는 평이하다는 평가와 다소 어렵게 출제됐다는 분석으로 엇갈렸다. 영어는 평이한 수준을 보였다고 입을 모았다. 올해 6월 모평은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으로 이날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2107개 고등학교와 463개 지정학원에서 동시에 치러졌다. ■ 국어 난이도 '쉬웠다''어려웠다'…입시업체 평 엇갈려 6월 모평 1교시 국어 영역 출제 문제를 두고, 입시 업계에서는 지난해 수능만큼 평이한 수준이라는 평가와 다소 어려웠다는 평가가 엇갈렸다. 종로학원은 "이번 모평도 지난해 쉽게 출제된 수준으로 쉽게 출제됐다"며 "EBS 연계 체감도도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진학사도 "독서 지문 길이가 다소 짧고, 지난해 수능과 문항 유형이 유사하게 출제돼 지난해 수능과 유사한 난이도를 보인다"며 "문학도 출제 작품과 문항의 난이도가 다소 평이한 점을 고려하면 졸업생 및 N수생들이 재학생보다 무난하게 풀어낼 것"이라고 예측했다 18~34번 문학 영역은 어렵게 출제됐다는 게 입시업계 중론이다. 출제에 활용된 여섯 작품 중 세 작품이 EBS 교재에서 연계됐다. 이투스교육은 "고전 소설 '상사동기', 고전 시가 '한거십팔곡', 현대시 '맹세'가 EBS 수능 특강과 연계돼 총 여섯 작품 중 세 작품이 연계됐다"면서도 "최명익의 '무성격자'를 지문으로 4문항 출제된 현대소설 접근은 다소 어려울 수 있다"고 봤다. 종로학원은 "문학 파트에서 평소보다 어려워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29번, 30번, 33번, 34번 등이 고난도로 지목됐다. 특히 독서 파트에서 EBS 연계율이 높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종로학원은 "(독서 이론 제외) 세 지문 모두 EBS 교재에 수록된 내용"이라고 밝혔다. ■ 수학도 엇갈린 평가…영어는 "평이했다" 입 모아 수학도 난이도를 두고도 입시 업계마다 분석이 엇갈리는 양상이다. 메가스터디교육은 지난해 수능 대비 '약간 어렵다'고 평가했지만, 진학사는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봤다. 대성학원과 이투스교육, 종로학원은 '쉬웠다'고 진단했다. 특히 다소 어려웠다고 진단한 메가스터디 측은 이번 시험에서 수Ⅱ에 비해 수Ⅰ 과목이 더 까다롭게 출제됐다고 봤다. 남윤곤 메가스터디교육 입시전략연구소장은 "등차수열을 활용해 교집합의 원소를 찾아내는 12번, 삼각함수 그림이 복잡한 13번 문제를 어렵게 느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종로학원은 "지난해 6월 모평과 수능에서는 수학 난도가 다소 높았지만, 올해 6월 모의평가는 이보다 쉽게 출제됐다"며 "공통과목에서 기존 킬러 문항인 객관식 15번, 주관식 21번, 22번 모두 고난도 킬러 문항으로 특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쉽게 나왔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상위권 변별력은 쉽지 않아 보인다는 게 종로학원 측 분석이다. 이투스도 "기존 기출 문제에서 익숙하게 등장했던 배열들과 다르게 문제들이 배열됐고, 익숙하지 않은 표현의 문제들이 출제돼 학생들이 다소 당황했을 것"이라면서도 "14번 문항에 속도와 위치의 변화량 관계를 묻는 다소 평이한 문제가 출제됐다"고 말했다. 영어 영역은 평이했다는 게 중론이다. 종로학원은 "2~3등급대 중위권 학생들도 무난한 수준으로 출제됐다"며 "전체적으로 지문의 길이가 짧아 충분한 시간 확보가 가능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진학사도 "전체적으로 지문 주제나 문장 난이도, 어휘 등이 쉬웠다"며 "문단의 논리적 전개구조가 명확해 학생들이 힘들어할 만한 까다로운 선지가 많이 보이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킬러문항으로는 33,34,39번을 꼽았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언어 영역은 교과서를 통해 학습한 지식과 기능을 다양한 담화나 글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을 중점적으로 측정하고자 했다"며 "수학 영역도 복잡한 계산보다는 사고력을 요구하도록 문제를 출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