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아이 낳기 좋은 인천...출생아 수 증가율 전국 1위 기록
인천시가 올해 1분기 출생아 수 증가율 전국 1위를 기록하며 저출생 대응 정책의 실효성을 입증했다. 결혼과 출산을 아우르는 정책이 실질적인 인구 유입으로 이어지면서 인천시의 정책 기조가 확산될 전망이다.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2025년 1~3월 출생아 수가 총 4,216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국 평균 증가율 7.4%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서울(9.8%), 대구(11.5%)보다도 높은 수치로, 인천이 전국 출산율 회복세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하반기부터 두 자릿수 증가율을 이어온 인천시는 이번 통계로 저출생 극복을 위한 지역 맞춤형 정책의 지속성과 실효성을 재확인했다. 혼인 건수 역시 같은 기간 3,383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4.4% 증가했다. 여기에 지난 4월 통계청이 발표한 국내 인구이동통계에서는 인천시가 순이동률 1.0%, 순유입 인원 2,533명을 기록해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같은 증가세는 단순한 출산 장려를 넘어, 만남부터 결혼, 육아에 이르기까지 청년과 가족을 포괄하는 종합 정책의 성과로 분석된다. 정책 효과는 수치 외에도 다양한 제도 시행 현황에서 확인된다. 대표적으로 '아이(i) 플러스 1억드림' 정책은 임산부 교통비와 아동 연령별 지원금을 통해 양육 부담을 줄이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 18,091명이 '임산부 교통비' 50만 원 지원을 받았고, 1세~7세 아동에게 연간 120만 원을 지급하는 '천사지원금'은 지난해 10,548명을 지원했다. 올해는 지원 대상이 확대돼 30,401명이 혜택을 받을 예정이다. 8세~18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아이 꿈 수당'은 2024년 기준 21,097명이 수령했으며, 올해는 47,406명이 새롭게 포함됐다. 또한 취약계층 산모를 위한 '맘편한 산후조리비' 지원 사업은 지난 2월부터 시행돼 지금까지 784명이 혜택을 받았고, 연내 1,600명까지 확대 지원할 계획이다.이외에도 인천시는 '아이() 플러스 집드림', '차비드림'을 비롯해 올해 3월에는 '이어드림', '맺어드림', '길러드림' 등 신규 맞춤형 정책도 발표하며 정책 체감을 강화하고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출산·양육 정책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고 있어 매우 고무적"이라며 "앞으로도 저출생 대응 정책을 지속 발굴하고 보완해 인천이 대한민국 저출생 극복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시는 중앙정부와의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출산율 제고라는 과제에 있어 지방정부 단독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는 판단 아래 국가 차원의 지원을 끌어내는 데에도 집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