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협회, 대만·아세안 국가들과 협력회의…통상마찰 사전억제 활동
한국철강협회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철강수입규제 움직임이 고조되는 가운데, 지난 20일(현지시간) 한·대만 철강협력회의, 22일 제3차 한국철강협회&아세안철강위원회(AISC) 협력회의를 각각 개최하고, 대만과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채널 강화를 통한 철강수입규제 사전 억제 활동에 적극 나섰다. 20일 타이페이에서 개최된 대만과의 회의에서 대만철강협회 황효신 사무총장과 드래곤스틸, 퉁오스틸 등 대만 철강업계 관계자들은 최근의 한국산 철강제품 수입이 급증한데 심각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한국철강협회 오일환 상근 부회장을 대표로한 우리측 대표단은 대화를 통한 통상마찰 해결 원칙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 양국 철강업계간 대화채널을 정례화하고 모든 통상현안을 동 채널을 활용하여 해결해 나갈 것을 제안하고 대만측도 이에 동의, 2015년중 한·대만 철강협력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이어 2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3차 한국철강협회-아세안철강위원회(AISC) 협력회의를 통해 오일환 상근 부회장 및 포스코,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업계와 아세안 철강업계는 대화를 통한 통상문제 해결의 원칙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냈다. 이날 한국 대표단은 최근 아세안 각국이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해 수입규제조치를 남발하고 있는데 대해 우려를 표시하고, 대화를 통한 통상마찰 해결의 원칙을 강조했다. 특히 실효적인 수입규제 사전억제를 위해 전체 국가별 수출순위 4위인 태국과는 개별 접촉을 통해 양국 철강업계간 협력회의를 정례화 할 것을 제안해 2015년 첫 번째 한·태국 철강협력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국내 철강업계의 대아세안 철강재 수출은 지난해 61억달러를 기록, 전체 철강수출의 19%를 차지하는 최대 수출시장이지만, 올해 11월 현재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규제조치 및 조사 건 수 역시 21건으로 한국산 철강제품의 최대 수입규제지역이기도 하다. 철강협회 오일환 상근 부회장은 "대만은 최근 다수의 철강품목에 대한 수입규제가 임박해 있었다는 점, 그리고 태국 등 아세안은 최대 철강수입규제지역이라는 점에서 금번 대화를 통해 철강수입규제를 사전에 억제할 수 있었던 것은 우리 철강수출시장의 안정적 관리에 상당한 성과로 생각된다"고 평가하며 "앞으로도 한국철강협회는 주요 수출시장별 특성에 맞춰 통상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이를 통해 국내 철강수출 지원에 더욱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은 중국, 일본과는 2001년부터 정부와 철강업계가 공동으로 철강협력회의를 개최해오고 있고, 아세안철강연맹(AISC)과는 2012년부터 협력채널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대만, 태국 등과 민민 대화채널을 마련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