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외유·이념 등 논란 산적…박근혜 정부 2기 내각 '청문회 벽' 통과할까
13일 개각과 원포인트 국방장관 교체로 박근혜 정부 '2기 내각' 입성을 앞둔 8명의 장관 후보자들이 높아진 인사 검증의 '벽'을 무사히 넘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이번 개각과정에서 청와대는 국회 인사청문회 통과에 우선순위를 두고 후보자들에 대해 엄격한 사전 검증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지난해 정부 출범초 4명의 장관 후보가 줄줄이 낙마한 최악의 사태까지는 재연되지 않을거라는 관측들이다. '관피아(관료+마피아)' 논란에 휘말릴 수도 있는 정통 관료 출신이 단 1명에 불과하고 교수(3명), 정치인(2명), 군인(1명), 언론인(1명) 출신 후보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점도이런 이유에서다. 그럼에도 전반적인 정치 상황과 후보자 개개인의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순조로운 통과를 낙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문 총리 후보자의 부적격 논란과 결부시켜 '현미경 검증'을 다짐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미 사의를 표명한 정홍원 현 총리와 문 후보자의 협의로 행사된 국무위원 제청권의 절차적·법적 문제를 제기하면서 시작부터 호락호락 물러설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정치인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2009년 9월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자로 인사청문회를 치를 당시 제기된 고액후원금 대가성 의혹, 증여세 탈루 의혹, 배우자의 이중소득공제 의혹, 강남 아파트 투기 의혹 등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해 5월 선주협회 후원으로 새누리당 동료 의원들과 함께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 항만 시찰을 다녀온 것이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 장관 겸 사회부총리로 내정된 김명수 후보자는 역사와 교육 문제에 관해 보수적인 시각을 뚜렷하게 드러낸 바 있어 야당의 집중 타깃이 될 것이 유력하다.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는 2012년 한나라당 공직자후보추천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일했고, 이명박·박근혜 정부 산하의 각종 위원회에 몸담은 적이 있다는 점을 야당이 물고 늘어질 태세다.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는 박근혜 대선 캠프 공보위원이자 새누리당 당협위원장 출신이다. 정종섭 후보자는 삼성생명 사외이사를,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는 삼성그룹이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미래과학기술 육성을 목표로 설립한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초대 이사장을 각각 지냈다는 점에서 대기업과의 관계에 대한 날카로운 추궁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학계와 언론계 출신 후보자들의 경우에는 행정 경험이 전무하다는 점에서 부처 장악력과 전문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군 출신인 한민구 국방부 장관 후보자도 합참의장 퇴임 후 산하기관에서 1억원대 자문료를 받은 의혹 등이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