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현정
기사사진
광명시,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이끄는 광명형 ESG 강화

광명시가 지역사회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한국마사회 광명지사와 환경보건기술연구원과 맞손을 잡았다. 시는 21일 오전 시청 중회의실에서 한국마사회 광명지사(이하 마사회), 환경보건기술연구원(이하 연구원)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 이행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두 기관이 '광명 ESG 액션팀(Action Team)'에 가입해 ESG 경영 실천뿐만 아니라 가용 자원과 정보를 활용한 지속적인 협력으로 지역 문제해결과 지역발전에 앞장서는 것을 골자로 한다. '광명 ESG 액션팀'은 광명시와 공공기관, 기업 등 지역 민·관 자원의 협력으로 지역자산을 활용해 부의 순환을 촉진하고, 지역사회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지역자산형 ESG 실천 민관협력 네트워크로 지난해 12월 출범했다. 이번 가입으로 액션팀 소속기관은 17개로 늘어났다. 협약에 따라 마사회는 취약계층 지원, 지역 자치 조직과 행사 참여 등 기존 전개했던 광명시와의 협력사업을 더 강화하고, 연구원은 자원 순환 촉진, 탄소중립 실현 등 광명시 주요 환경 정책 추진을 지원할 계획이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다양한 분야의 기관과 협력하게 돼 광명형 ESG 실현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주체들과 긴밀히 협력해 지속가능한발전을 견인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황규환 지사장은 "시를 비롯한 관내 다양한 단체들과 적극 협력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가치 실현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백영만 원장은 "국민의 환경보건과 삶의 질을 높이고, 기업의 친환경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연구원의 비전을 광명시와 함께 펼쳐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마사회 광명지사는 1993년 지사 설립 이후 현재까지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센터 운영, 시민 화합 행사 지원 등 지역사회를 위한 지속적인 협력사업을 전개해 왔다. 환경보건기술연구원은 2011년 설립된 환경부 소관 환경보건 분야 유일의 비영리 재단법인으로 대기, 수질, 토양, 폐기물 등 환경매체 시험분석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2025-03-22 16:45:29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소상공인·자영업자 3500개소 점포 환경개선 신청·접수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하 경상원)은 3월 21일부터~4월 3일까지, 지속되는 경기 침체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도내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경영 안정화 및 자생력 강화를 위한 '2025년 경기도 소상공인 경영환경개선 지원사업' 신청·접수 받는다. 간판 지원사업으로 널리 알려진 경영환경개선사업은 경상원의 주요 사업 중 하나로 올해 1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사전 공고(3.7~3.20)를 진행하였고 신청·접수(3.21~4.3)를 통해 도내 소상공인·자영업자 3,500개소를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자격은 공고일 기준, 도내 영업장을 보유하고 3년 이상 영업을 유지한 소상공인·자영업자로 공고일 기준 직전 2년간(23~24년) 매출 감소를 겪은 영세한 소상공인일 경우, 부과세 과세표준 증명원 등 증빙서류 제출에 따라 가산점 부여와 같이 우대사항 적용이 가능하다. 단, 직전 3년(22~24년) 내 경기도, 시·군 등에서 동일·유사 사업으로 지원을 받았거나 25년 지원을 받을 예정인 경우에는 선정에서 제외된다. 지원내용으로는 ▲점포환경개선(간판, 내부 인테리어 등) ▲간판 및 입식테이블 교체(간판, 좌식 테이블 교체 등) ▲시스템개선(POS,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스마트 CCTV 등) ▲판로개척(온·오프라인 판로, 지식재산권 출원등록 등) 분야 중 1가지 항목을 선택하여 항목에 따라 최대 300만원(공급가의 100%)까지 지원이 가능하고 분야별 세부 내용은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상원 김민철 원장은 "지속적인 내수경기 침체에 따라 도내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경영난을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올해는 지원 개소를 확대하여 더 많은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지원할 예정이며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설치비 지원 등 급변하는 정책에 발맞춰 도내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경영 안정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실제, 2024년 지원 목표는 3,400개소였으나 총 7,728개소가 신청하여 2.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는 등 도내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지원에 대한 수요가 꾸준한 사업이다. 한편, '경영환경개선사업' 관련 공고문 및 신청서 등 세부 내용은 경상원 홈페이지 또는 경기도 소상공인 종합 지원 플랫폼 '경기바로' 등을 통해 확인 및 온라인 접수가 가능하고 신청 서류를 작성하여 경상원 권역센터를 방문할 경우, 오프라인 접수도 가능하다.

2025-03-22 16:44:39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울산시, 제19회 울산 화학의 날 기념식 개최

울산시는 21일 오후 3시 롯데호텔 울산에서 김두겸 울산시장, 이성룡 시의회 의장, 산업부 관계자, 조영신 울산테크노파크 원장, 화학업계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9회 울산 화학의 날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매년 기념식을 개최해 화학 산업 발전 유공자 표창 등 화학 산업 종사자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울산의 주력 산업인 화학 산업의 인지도 향상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해 왔다. 이날 행사는 화학 산업 유공자 표창에 이어 석유화학 산업 위기 대응 토론회 등으로 진행된다. 유공자 표창에는 ▲씨엠원 장종원 대표이사 등 3명이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후성 송근 부사장 등 5명이 울산시장 표창을 각각 수상할 예정이다. 기념식에 이어 최근 대두되고 있는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석유화학 산업 위기 대응 토론회도 개최된다. 토론회는 한국화학산업협회 최홍준 본부장의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 울산테크노파크 첨단화학기술 지원단장을 역임한 김일환 박사의 '울산 석유화학 산업의 방향'을 주제로 한 강연이 진행된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석유화학 산업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위기 극복을 위한 논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의 화학 산업은 울산 경제의 핵심이자 한국 화학 산업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해 왔다"며 "최근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혁신을 통한 성장을 이뤄야 하며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새로운 기술 도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관련 기반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울산 화학의 날은 1968년 3월 22일 석유화학단지를 기공한 역사적인 날을 기념하기 위해 지정됐다.

2025-03-22 16:44:24 박기선 기자
기사사진
안성시, 200억원 규모 '주민참여예산 사업' 공모

안성시는 오는 8월 31일까지 주민이 직접 예산편성에 참여하는 '2026년 주민참여예산사업 제안 공모'를 진행하고, 주민참여예산제도 이해를 돕기 위한 '주민참여 예산학교' 참여자도 함께 모집한다고 밝혔다. 주민참여예산사업 제안 공모는 안성시 예산편성에 주민의 의견을 반영해 실질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제도로, 안성시민 누구나 제안이 가능하다. 공모 대상은 2026년도에 안성시가 추진하길 바라는 사업이며, 총 2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 대상으로 삼는다. 제안 접수는 8월 31일까지 진행되며, 안성시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제출하거나, 시청 전략기획담당관실에 방문해 직접 신청할 수 있다. 한편, 주민참여예산에 대한 이해와 실효성 있는 제안을 돕기 위해 '주민참여 예산학교'도 함께 운영된다. 예산학교는 3월부터 8월까지 열리며, 5인 이상의 단체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단체는 안성시 누리집에 게시된 신청서를 작성해 전략기획담당관에 직접 방문하거나 전자우편, 팩스로 접수하면 된다. 주민참여 예산학교는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목적과 추진 배경에 대한 기본 이론부터 사업 제안서 작성 방법까지 실무 중심의 맞춤형 교육으로 진행된다. 교육을 통해 주민은 예산 구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업을 직접 기획하고 제안할 수 있게 된다. 안성시는 이번 제안 공모와 예산학교 운영을 통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고, 지역 주민의 행정참여를 확대함으로써 행정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일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예산학교와 제안 공모를 통해 주민들이 예산편성 과정에 쉽게 참여하고, 지역에 필요한 다양한 사업을 직접 제안하길 바란다"며 "주민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정책을 만들어 시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2025-03-22 16:44:09 김대의 기자
기사사진
한국공항공사 김해공항, 지상안전사고 예방 간담회 개최

한국공항공사 김해공항은 지난 20일 김해국제공항에서 지상안전사고 예방 간담회를 개최했다. 김해공항은 공항 내 항공기 운항 안전 강화와 실질적인 사고 예방 대책 논의를 위해 이번 간담회를 마련했다. 간담회에는 공사, 국적 항공사, 지상 조업사 등 17개 사 지점장 등이 참석했으며 2024년 안전 관리 활동 리뷰와 2025년도 지상 안전 사고 예방 대책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국내외 공항에서 발생한 다양한 지상 안전 사고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김해공항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동 지역 합동 점검 실시 등 각 사 간 협력을 강화해 안전 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 공항 이동 지역 안전 확보를 위한 항공 안전 결의 서약식도 개최했다. 김해공항은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앞으로 김해공항의 안전 운영 정책에 반영해 공항 이용객과 항공 종사자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남창희 한국공항공사 김해공항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지상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도출하고, 보다 안전한 공항 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5-03-22 16:43:53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한국수산자원공단-농어촌공사, 바다숲 블루카본 협력위한 협약 체결

한국수산자원공단과 한국농어촌공사가 '바다숲 블루카본 협력을 통한 탄소 중립 실현과 지속 가능한 바다 생태계 보전'을 위한 상호 협력을 목적으로 지난 20일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공단은 국내 유일의 수산자원조성관리 전문 기관으로서 2009년부터 현재까지 347.2㎢의 바다숲 조성을 통해 자동차 약 4만 9000대의 탄소 배출량에 맞먹는 연간 11만 7000톤의 이산화탄소 흡수 기반을 마련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최근에는 다수의 민간 기업 참여를 통해 바다숲 사업 협력을 더 확대해 가고 있다. 해양 수산 분야 탄소 중립 실현의 핵심 요소인 바다숲의 해초·해조류는 탄소를 흡수·저장하는 '블루카본'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바다숲 블루카본을 통한 탄소 중립 실현 및 바다 생태계 보전의 ESG 경영 실천 ▲바다식목일 대국민 인식 제고 및 대국민 캠페인 실행 등의 협력을 추진한다. 또 양 기관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실무자 중심의 협의체 운영을 정례화하고 어촌 수산 분야의 블루카본 확충을 위한 계획 수립 공동 참여 등 사업 연계 강화, 내수면 수산 자원 관리 방안 모색, 수산 자원 관리 워크숍 개최 등 협력 분야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수산자원공단 임한규 본부장은 "농어촌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힘써온 한국농어촌공사와의 협력은 해양 생태계 보전과 탄소 흡수원 확대에도 연계 시너지가 발휘돼 큰 성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번 협약으로 우리나라가 글로벌 탄소 중립을 선도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ESG 경영의 중심 역할을 구축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농어촌공사 하태선 농어촌계획이사는 "기관 간 협력을 통해 농어촌 경제 활성화와 바다 생태계 보호를 함께 이뤄낼 기반이 마련됐다"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두 기관이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22 16:43:36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춘해보건대, 제1회 글로벌 학생 IPE 리더 캠프 참가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부와 작업치료과는 17일부터 21일까지 5일간 제주도 삼달다방에서 일본 군마대학 세계보건기구협력센터(WHOCC)인 다직종연계교육연구센터(IPERC)에서 주최하는 '제1회 글로벌 학생 IPE 리더 캠프'에 참가했다. IPE은 보건의료복지기관에서 종사하는 다양한 직종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최상의 환자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취지로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IPE 리더 캠프는 국내외 보건의료계열 대학생들이 참여한 첫 회 IPE 리더 캠프로 춘해보건대를 포함한 국내 대학인 제주한라대학교, 강원국립대학교, 인제대학교와 국외 대학인 일본 Gunma University(GU), 말레이시아 Universiti Malaysia Sarawak(UNIMAS), 몽골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MNUMS)와 총 7개 대학의 학생 28명과 교수 및 석·박사생 22명으로 총 50여 명이 참여했다. 특히 국내외 각 대학에서 의학, 작업치료학, 간호학, 응급구조학 등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참여해 ▲각 대학의 IPE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 ▲보건의료전문가로서 역할 ▲사례 분석을 통한 팀별 토론 및 발표 ▲한국 문화 탐방 및 제주한라대학 투어 등으로 진행됐다. 춘해보건대간호학부 장윤서 학생은 "세계의 대학생들과 학문, 문화를 함께 공유하며 교류할 수 있는 시간은 큰 경험이 됐다"며 "간호 전공 공부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과의 전공을 융합해서 배우며 나누는 경험이 앞으로 보건의료인으로 복합적 사고를 하는 데 기반이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WHOCC(World Health Organization Collaborative Center)는 WHO의 프로그램을 지지하고 활동하는 국제적인 공동 네트워크로 현재 80여 개국 800여 개 기관이 각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 일본 군마대학은 다직종연계교육(IPE)의 교육 연구를 위한 WHO 협력 센터로 지정돼 활동하고 있다.

2025-03-22 16:41:35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부산아이파크, 국대 출신 ‘베테랑 DF’ 오반석 영입

부산아이파크가 국가대표 출신 베테랑 수비수 오반석을 영입해 무게감을 더한다. 2011년 제주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해 올해 프로 15년 차를 맞이한 오반석은 190㎝의 큰 키를 바탕으로 뛰어난 제공권 장악 능력을 보여주며 정확한 태클과 투지 넘치는 몸싸움 능력도 탁월하다. 강릉제일고와 건국대를 졸업하고 드래프트를 통해 2011년 제주에 입단한 오반석은 입단 첫해에는 부상으로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재활에 매진한 오반석은 이듬해 데뷔하며 주전 수비수로 꾸준히 출전해 리그 25경기, 코리아컵 4경기에서 활약하는 등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이후 제주의 주전 수비수로 매 시즌 리그 30경기 이상 출전하고, 2015 시즌에는 주장으로 선임되는 등 팀의 중심으로 맹활약했다. 특히 2017년에는 시즌 베스트 11 수비수 부문을 수상하고, 2018 러시아 월드컵 국가대표로 발탁되는 등 최고의 한 해를 보내기도 했다. 2018년 여름에는 UAE의 알 와슬로 이적하고, 이듬해 태국의 무앙통UTD에서 뛰는 등 해외 무대를 경험한 오반석은 2020년에는 전북으로 이적해 국내로 돌아왔다. 그해 여름에 임대로 인천에 합류한 오반석은 후반기 맹활약하며 인천의 중심으로 자리 잡아 2021년에 완전 이적하며 2024년까지 활약했다. 오반석은 지난해까지 K리그1에서 298경기 10골 1도움을 기록해 통산 300경기 고지를 눈앞에 뒀다. 부산에서 300경기 금자탑을 쌓을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오반석은 조성환 감독의 애제자로도 유명하다. 조성환 감독과 오반석은 제주에서 6년, 인천에서 5년으로 총 11년 동안 같은 팀에서 사제로 함께했다. 부산은 서로를 잘 아는 만큼 오반석이 새로운 팀에 빠르게 녹아들어 베테랑으로서 젊은 선수단의 중심을 잡아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렇듯 화려한 이력을 보유한 베테랑 수비수 오반석을 영입함으로써 부산은 젊은 선수진에 베테랑의 경험과 안정감을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오반석은 입단 소감으로 "신인 같은 자세로 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조금 늦게 합류했지만, 팀에 빠르게 녹아들어서 팀이 가고자 하는 방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5-03-22 16:40:34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부경대, 학부생 논문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선정

국립부경대학교는 전자공학전공 윤지원 학생과 유혜임 학생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연구가 SCI급 국제학술지 'ACS Applied Nano Materials'(IF: 5.3) 표지논문(Volume 8, Issue 10)으로 지난 2월 실렸다고 21일 밝혔다. 이들은 표지 논문으로 실린 'Plasmonic Nanolamination for High-Performance SERS Substrates Based on Vertically Stacked 3D Multiple Nanogaps'에서 나노 적층 공정을 활용해 균일성과 재현성이 우수한 3차원 수직 다중 나노갭 구조를 구현하는 데 성공하며 3D 고성능 표면증강라만분광(SERS) 센서의 새로운 가이드를 제시했다. SERS는 극미량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강력한 차세대 분광 분석 기술이지만, 신호의 재현성과 균일성이 낮아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의 수평 배향된 나노갭 구조는 10 nm 이하 정밀 제어의 한계와 핫스팟 밀도를 높이는 데 제약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금속-절연체-금속(MIM) 적층 구조를 이용한 나노 적층 기법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수직 방향의 다중 나노갭을 형성해 고밀도의 균일한 핫스팟을 확보했다. 연구팀은 선택적 습식 식각을 통해 절연층을 제거, 나노갭 핫스팟을 분석 분자에 노출해 SERS 신호 증강 효과를 극대화했다. 실험 결과, 최적의 식각 조건에서 SERS 신호 증강 계수는 최대치에 도달했으며 400픽셀 이상의 넓은 영역에서 상대 표준 편차(RSD) 11%로 높은 균일성을 입증했다. 또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해 16 ㎝²의 대면적 기판을 저비용으로 재현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국립부경대 남원일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SERS 기판의 균일성과 재현성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에 제작한 나노 적층 SERS 기판은 환경 분석, 바이오 센서, 식품 안전 및 폭발물 탐지 등 다양한 실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윤지원 학생과 유혜임 학생은 국립부경대 전자공학전공 남원일 교수의 나노플라즈모닉스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으로 연구하는 가운데 이번 성과를 거뒀다. 윤지원 학생은 SERS를 통한 환경 센싱 관련 연구를, 유혜임 학생은 디지털 SERS 연구와 SERS를 활용한 암세포 다변량 분류 연구를 수행 중이다.

2025-03-22 16:40:22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경상국립대, 제31기 최고수산업경영자과정 입학식 개최

경상국립대학교 해양과학대학은 지난 19일 해양과학대학 해양누리관 1층 합동강의실에서 제31기 최고수산업경영자과정 입학식을 개최했다. 이번 입학식에는 입학생을 비롯해 경상남도 수산정책과장, 한국수산업경영인경상남도연합회장, 최고수산업경영자과정 총동창회장, 제30기 동기회장, 그리고 해양과학대학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입학식은 내빈 소개, 국민의례, 식사, 축사, 기념 촬영 등의 순서로 30분간 진행됐다. 최고수산업경영자과정은 경상남도 내 우수한 수산업 경영인과 종사자들을 선발해 교육하는 프로그램으로, 변화하는 수산업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과정은 수산업 전문 기술과 경영 능력을 갖춘 전문 수산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매년 40명을 정원으로 어업 관리, 양식 어업, 수산 가공 등 3개 전공을 교육하며 이론 교육과 현장 견학 및 실습을 병행한다. 이 과정은 도 및 국비 지원 90%, 자비 10%로 운영된다. 1995년 첫 개설 이후 매년 40명 내외의 수료생을 배출하고 있으며 이들은 수산업 분야의 리더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정석 해양과학대학 학장은 축사에서 "경상국립대학교는 1917년에 개교한 이후, 수산 교육의 중심으로서 최고수산업경영자과정을 비롯한 다양한 수산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경남 지역 수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경상남도 최고의 수산 전문 인력 교육 기관으로서 수산 인재를 양성하고 배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최고수산업경영자과정에 참여한 교육생들이 해양 수산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경남 지역의 해양 수산 리더로 성장해 나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2025-03-22 16:39:19 이도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