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제조업 부문 세계 최상위, 노동·사회 분야 취약"
[메트로신문 정문경 기자]지난해 우리나라는 휴대폰·반도체·선박·자동차 등 제조업 분야에서 세계 최상위권을 차지한 반면, 노동·사회 분야에서는 선진국과 상대적 격차가 존재하고 에너지 자립도는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우리나라 제조업은 휴대폰 출하량(1위), 반도체 매출액(2위), 선박수주·건조·수주잔량(2위) 등의 부문에서 세계 최상위권을 유지했다. 자동차 생산대수(5위), 조강생산량 (6위) 등에서도 선두 그룹에 속했다. 반면 서비스수출(1070억달러)과 서비스수입(1150억달러)은 지난해 기준 각각 16위, 13위를 차지해 제조업에 비해 미흡한 수준을 보였다. 또 포천(Fortune) 500대 기업에 우리나라 기업 16개가 포함돼 세계 7위를 차지했고, 글로벌 브랜드가치 분야에서는 삼성이 전년보다 한 단계 높아진 7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노동과 사회부문 등 삶의 질과 관련된 부분은 선진국과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경제활동 참가율(57.0%, 30위), 출산율(1.26명, 169개국 중 166위), 국민 1인당 연간 노동시간(2124시간, 3위), 삶의 질(5.40, 40위) 등은 낮은 수준에 머물면서 경제적인 성취가 삶의 질 향상으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부문도 석유 소비량 8위, 원유 수입 5위 등으로 에너지 자립도 면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한편 무역부문에서는 2014년 기준 수출은 세계 7위, 무역규모는 9위, 무역흑자 규모는 13위로 세 분야 모두 2013년과 동일한 순위를 차지했다. 국제무역연구원은 매년 170여개의 경제, 무역, 사회지표 기준 한국의 세계 순위를 정리한 '세계 속의 대한민국'을 발간하고 있으며, 관련 내용은 국제무역연구원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