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초거대 AI ‘믿음’ 공개…1조달러 기업시장 정조준
KT가 2000억개 규모의 파라미터(매개변수) 초거대 인공지능(AI) '믿음'을 공개했다. KT는 기업간거래(B2B) 시장을 집중 공략해 3년 내 1000억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31일 KT는 온라인 기자설명회를 열고 거대언어모델(LLM)AI '믿음(Mi:dm)'의 출시 계획을 발표했다. 믿음 모델은 총 4종으로 경량 모델부터 초대형 모델에 이르기까지 기업의 규모와 사용 목적에 맞게 완전 맞춤형(FFT)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최준기 AI·빅데이터 사업본부장은 "믿음으로 B2B 시장을 공략, 초거대 AI 대중화 시대를 열겠다"며 "시장 조사 과정에서 수렴한 '나만의 모델 구축', '쉬운 구축 과정', '저렴한 비용' 등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했다"고 강조했다. KT는 믿음의 강점으로 AI풀스택을 앞세웠다. AI 풀스택은 AI 반도체, 클라우드 등 인프라부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AI 응용 서비스까지 모두 구축 비용을 낮추고 기업별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KT클라우드와 믿음의 기업전용 AI 클라우드팜(Mi:dm CloudFarm)을 패키지로 제공해, 별도 개발 및 학습 인프라가 없어도 합리적인 비용으로 초거대 AI를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 ◆조(兆)단위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개방 KT는 초거대AI 활용을 원하는 모든 기업에게 믿음 파운데이션 모델(AI 기초모델)을 개방한다. 조(兆)단위 데이터의 사전 학습을 완료한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이라는 점이 차별점이다. 파운데이션 모델이란 방대한 데이터셋으로 학습한 초거대 AI 핵심 기반 모델을 말한다. 오픈 AI사의 자연어 처리 모델 GPT가 대표적이다. 공개된 파운데이션 모델이 있다면 누구나 미세조정(Fine-Tuning)을 거쳐 원하는 AI 응용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KT는 '믿음 스튜디오'를 열고 기업 고객이 자사 수요에 맞춰 AI 모델을 미세조정(파인튜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 본부장은 "몇 변의 클릭만으로 원하는 거대언어모델(LLM)을 배치하고 자사의 데이터를 가지고 파인 튜닝을 할 수 있다"며 "전문 모델을 원하는 기업은 풀 파인 튜닝까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배순민 AI2XL 연구소장은 "KT가 자체 LLM을 통해 다양한 사업 영역에 파운데이션 모델 믿음을 업데이트한 결과, 생산성이 빠르게 향상됐다"며 "기존에할 수 있는 일이 몇십가지였다면, 몇백가지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 비용 30% 가량 저렴…환각도 27% 줄여 특히 믿음의 장점은 타사 모델 대비 30% 이상 비용을 절감했다는 점이다. 그래픽처리장치(GPU) 학습 비용을 약 27% 줄인 KT클라우드의 하이퍼스케일 AI 컴퓨팅 서비스, 추론 비용을 50% 절감한 리벨리온의 신경망처리장(NPU) 인프라 등 AI 풀스택을 효율적인 AI 개발 환경을 위한 맞춤형 통합 패키지로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또 기업의 부담을 덜기 위해 요금체계도 기존의 토큰 단위의 과금이 아닌 '인스턴스' 과금 체계를 적용한다. KT는 신뢰성을 높이는 데에도 주력했다. KT는 생성형 AI의 가장 큰 문제점인 '환각 답변(할루시네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신뢰 패키지(Reliable Package)'를 제공한다. 3가지 기술이란 ▲도식화된 복합한 문서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변화하는 '다큐먼트 AI(Document AI)' ▲목표 도메인과 문서에 최적화된 최신 정보르르 찾아내는 딥러닝 기술 '서치 AI(Search AI)' ▲원문에 근거한 응답만 생성하도록 강화학습을 적용한 '팩트가드 AI(FactGuard AI)'를 적용했다. 믿음은 이를 통해 환각 현상을 일반 생성형 AI 서비스 대비 최대 70% 줄였다. ◆B2B시장 집중…3년 후 9000억 성장 전망 KT는 이번 믿음 출시를 계기로 65만 기업고객 대상으로 한 B2B 사업에 집중한다. 이후 글로벌·제조·금융·공공·교육 5대 영역으로 초거대 AI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업스테이지·콴다 등 스타트업과 개방 생태계를 구축해 글로벌 시장 공략도 본격화한다. 현재 국내 프라이빗 LLM 시장 규모는 3000억원 수준으로 3년 후에는 9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KT는 믿음을 통해 3년 후 프라이빗 LLM 영역에서 매출 1000억원 이상을 거둔다는 목표다. 기업 전용 LLM 사업화에서는 업스테이지, Math-GPT와 협력한다. 교육 영역에서는 콴다, 에누마와 기업용 업무 개인비서 영역에는 비아이매트릭스 등 다양한 AI 스타트업들과 믿음을 활용한 AI 사업 모델을 공동 개발해 서비스를 제공한다.목표는 3년 뒤 프라이빗 LLM 시장에서 연 1000억원 이상의 매출 달성이다. 실제 출시 이전부터 금융권, 지자체, 기업솔루션 등 100개 이상의 기업과 기관에서 믿음을 활용하기 위해 KT와 논의 중이다. 이날 설명회에선 KT가 기업은행에 믿음을 적용해 만든 신뢰도 높은 전문 상품지식 제공 서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콴다를 운영하는 매스프레소의 이용재 대표는 "KT와 함께라면 글로벌 확장에 자신이 있다"며, "매스 지피티(Math-GPT) 구축을 통해 글로벌 교육 생태계를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KT는 동남아 시장을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도 공략한다. 지난 22일엔 태국 자스민 그룹과 함께 국산 초거대 AI 믿음을 활용한 태국어 대형언어모델 구축및 동남아 공동 사업화 협력 추진을 밝히며 글로벌 시장 확장 가능성을 증명했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KT 인프라를 활용한 비용절감과 최적화 측면에서 B2B 확장에 경쟁력이 있다"며 "KT와 함께 기업 전용 LLM시장을 개척하겠다"고 말했다. 최준기 KT AI·빅데이터사업본부장은 "B2B의 경우 기업고객 니즈를 정확히 이해하는 컨설팅 과정, 기존 레거시 시스템과 연계해 완결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딜리버리 과정이 필수"라며 "KT는 자체 LLM과 노하우를 갖고 종합적으로 가장 나은 품질의 B2B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한편, KT는 믿음 출시를 계기로 AICC와 지니TV, AI통화비서 등 기존 AI 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또 무선서비스, 차량용인포테인먼트(IVI), 로봇 등에도 초거대 AI를 적용한 사업화를 계획하고 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