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인구정책위원회 개최…“실질적인 인구정책 만든다”
인천광역시가 저출산과 고령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3월 10일 인천시는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하병필 행정부시장 주재로 '2025년 제1회 인구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년 인천광역시 인구정책 시행계획' 및 '2025년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시행계획은 저출산, 고령사회, 인구 구조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인천시는 지난해 45개 세부 과제를 추진한 데 이어, 올해 18개의 신규 및 추가 과제를 포함해 총 63개 과제를 추진한다. ■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책 강화… 총 6,357억 원 투입 2025년 인천시 인구정책 시행계획은 총 6,357억 원 규모로 추진된다. 이는 전년 대비 1,480억 원 증가한 수준이다. 주요 신규 과제로는 ▲인천형 신혼부부 공공임대주택 지원사업 ▲맘편한 산후조리비 지원 ▲노인복지관 확충 등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책을 강화하고, 모든 연령층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인천형 신혼부부 공공임대주택 지원사업'은 무주택 신혼부부와 한부모 가정 등을 대상으로, 임대료를 월 3만 원 수준으로 낮춰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한, 취약계층 산모를 대상으로 1인당 150만 원의 산후조리비를 지급하는 '맘편한 산후조리비 지원' 사업도 새롭게 도입됐다. ■ 균형발전으로 인구 불균형 해소… 인구감소지역 대응 계획 추진 '2025년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도 이날 확정됐다. 이 계획은 인천시 인구감소지역대응 기본계획(2022~2026)을 바탕으로 수립됐으며, 4대 전략, 12개 실천 과제, 60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됐다. 강화군과 옹진군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이 계획은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사업을 통해 지역 간 인구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전년 대비 231억 원 증가한 총 1,767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강화 전국 유소년 축구대회 개최 ▲노인복지관 확장 ▲도서지역 응급의료체계 구축 ▲연도교 건설 등을 포함했다. 특히, 옹진군에서는 군용 응급의료헬기 상주 배치와 작은섬 여객선 현대화 사업 등이 추진될 계획이다. ■ 인천 인구 증가세 지속… 특·광역시 중 1위 기록 인천시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4년 12월 기준 총인구는 311만 명으로 전년 대비 3.2만 명 증가했다. 2025년 1월 기준 전월 대비 인구 증가율(0.09%)도 특·광역시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 증가율도 눈에 띈다. 2024년 인천시 출생아 수 증가율(11.6%)은 특·광역시 중 1위를 기록하며, 인구정책의 성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병필 행정부시장은 "저출산과 인구감소 문제 해결을 위해 실질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해 나가겠다"며 "다양한 정책이 실질적인 인구 증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