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선박 인도량' 5년만에 중국 추월…"앞으로 LNG선 발주 늘어 격차 벌어질 것"
한국 조선업계가 선박 인도량에서 2009년 이후 5년만에 처음으로 중국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제 해운·조선 시황분석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까지 한국의 누적 선박 인도량은 1002만7000CGT(표준화물선환산톤)으로, 중국의 978만4000CGT을 제쳤다. 한국은 2009년에만 해도 1320만CGT로 중국(1091만6000CGT)을 앞섰으나 2010년 1423만2000CGT로 중국(1662만8000CGT)에 뒤지기 시작했다. 2011년(한국 1407만8000CGT, 중국 1722만9000CGT)과 2012년(한국 1260만1000CGT, 중국 1780만3000CGT)에는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하지만 지난해(한국 1121만2000CGT, 중국 1156만7000CGT) 다시 차이를 좁히기 시작해 올해 결국 역전에 성공했다. 조선소별 인도량을 보면 현대미포조선이 올들어 지난달까지 61척으로 1위, 일본 이마바리 조선과 현대중공업이 각각 50척과 45척으로 2,3위를 기록했다. 중국 조선소는 상하이와이가오차오 조선소가 25척으로 9위에 이름을 올렸다. 박무현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선박 수주보다 더욱 중요한 것이 인도 실적"이라며 "인도 실적이야말로 조선소의 실력을 판단하는 가장 명확한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한국 조선소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익성을 고려, 선별 수주를 하는 반면 중국은 여전히 선가를 낮춰 수주량을 늘리고 있다"며 "중국은 기술력이 부족해 선박 인도 실적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관련 국내 조선업계 관계자는 "클락슨의 자료는 선박 인도량의 기본적인 데이터로 참고할 수는 있지만, 해양 플랜트 등 기록에서 누락된 량이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한국 조선업계는 선박보다는 해양 플랜트에서 매출의 상당 부분을 기록했다. 하지만 중국은 기술력이 별로 필요하지 않고 가격이 저렴한 벌크선 등에서 절대적인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과의 인도량 차이는 앞으로 '셰일가스 붐'으로 인한 LNG선 물주량 증가로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이라며 "아직 중국은 LNG선, 컨테이너선 등 고도 기술력이 필요한 선박에서는 한국과 격차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