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창원시 홍남표 시장, 새해 민생 현장 탐방… 시민 소통 행보

홍남표 창원시장은 3일 ▲미래 모빌리티 기회발전특구 지정 ▲웅동 복합관광레저단지 조성 ▲산호동 옹벽 전도 복구 현장 등 주요 현안 사업 현장을 방문해 '미래 50년 혁신성장 가시화, 시민 안전 최우선 보호' 등 2025년 시정 주요 운영 방향을 여실히 보여주는 행보에 연이어 나섰다. 이날 홍 시장은 지난해 12월 27일 지정된 수소 기반 미래 모빌리티 기회발전특구 현장을 찾아 추진 현황을 보고받았다. 해당 특구는 창원 국가산업단지 일원에 수소 기반 미래 모빌리티 기업 16개 사가 총 69억 4800만원을 투자하고 982명을 신규 고용 창출을 목표로 하며 7000명 이상의 직접 고용과 1조 4000억원 규모의 생산 유발 효과와 1만 명 이상의 취업 유발 등 지역 경제에 큰 파급효과를 일으킬 것으로 전망돼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장을 둘러본 홍 시장은 이번 특구 지정으로 창원이 글로벌 수소 모빌리티 허브의 발판을 마련하고, 첨단기업 육성과 산업 혁신의 중심지로의 도약이 기대되는 만큼 정주 여건 개선 등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 기업 투자의 원활한 추진을 주문했다. 2024년 해양레저관광 거점 공모 사업 선정 대상지인 진해해양공원 일대를 찾아 앞으로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창원시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국비 215억원, 도비 100억원 등 430억원을 들여 해양공원이 들어선 음지도에 사계절 해양레저를 즐길 수 있는 '바다 블라썸 센터', 해군 군함 닻 형태의 '빅토리 스카이워크'와 조망대를 설치하는 등 관광 시설을 구축하고 명동 마리나 항만·인근 어촌계와 연계한 다양한 특화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홍 시장은 진해신항의 항만 산업과 해양레저관광산업이 시너지 효과를 내어 관광 수익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시민의 삶과 직결되는 민생 행정을 강조하는 행보도 보였다. 마산합포구 산호동 화이트빌을 방문해 지난 극한 호우에 따라 붕괴된 옹벽 전도 복구 현장을 점검했으며 최근 여러 국내 불확실성에 따른 내수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상인들을 격려하기 위해 상남시장에 방문해 다양한 목소리를 청취하고 간부 공무원들과의 식사로 전통시장 소비 촉진에 앞장서기도 했다. 홍남표 창원시장은 "현안 사업 추진에 주력해 미래 50년의 혁신 성장을 가시화하고, 해양레저 사업 활성화로 창원만의 도시 품격을 높이겠다"며 "무엇보다 시민의 삶과 직결되는 민생 행정을 최우선으로 창원시민들이 체감할 성과 창출에 집중하겠다"고 2025년 시정 운영 방향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2025-01-05 16:01:07 손병호 기자
기사사진
사천시, 농업인 농작업 편의장비 지원사업 신청·접수

사천시는 농가 소득 증대와 농작업 자세 개선 및 작업 능률 향상을 위해 오는 6일부터 21일까지 '2025년 농업인 농작업 편의장비 지원사업' 신청 접수를 받는다. 시는 ▲다용도 농작업대 ▲충전식 분무기 ▲충전 운반차 3종을 지원할 계획이며 1농가 1대를 원칙으로 1대당 50만원 한도 안에서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사천에 거주하며 도안에 농업경영정보를 등록한 농업인으로 가구당 농지 소유 면적이 5만㎡ 미만인 농업인이다. 다만 2024년 1월 1일 이후 농업경영등록한 농업인과 건강보험 직장 가입자 및 사업자 등록자는 제외 대상이다. 희망자는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사실증명 등을 구비해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면 된다. 시는 농작업 환경 개선으로 농업인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난 2022년부터 농업인 농작업 편의장비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성일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작업 능률 향상 및 농작업 여건 개선으로 농업인 영농 현장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농업인들이 편리하고 효율적인 농작업을 할 수 있도록 농작업 환경 개선 사업을 꾸준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1-05 16:00:43 손병호 기자
기사사진
SK Energy Exports Sustainable Aviation Fuel to Europe... "A First Among Korean Refiners"

SK Energy became the first South Korean oil refinery to export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to Europe. SK Energy announced on the 5th that it has exported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to Europe, produced using a co-processing method. This approach involves processing bio-based materials such as used cooking oil and animal fats. As of January this year, European countries have implemented regulations requiring that at least 2% of aviation fuel must be blended with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Currently, Europe is the only global market where the use of SAF is mandatory. SK Energy, which has established a leading large-scale production system for SAF, successfully commenced exports immediately after the European Union (EU) implemented its SAF usage mandate. Previously, in September 2024, SK Energy established a production line using the co-processing method and began commercial production of SAF. Co-processing involves integrating a separate bio-feedstock supply pipeline into existing petroleum product production processes, enabling the simultaneous production of SAF, bio-naphtha, and other low-carbon products. In particular, SK Energy has secured a competitive edge in exports by establishing a large-scale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producing approximately 100,000 tons annually of SAF and other low-carbon products. An SK Energy representative stated, "Leveraging the R&D capabilities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and the engineering expertise of SK Innovation's Ulsan Complex (Ulsan CLX), we established a large-scale production system and activated commercial production lines, which proved instrumental in achieving successful exports." Previously, SK On Trading International, a subsidiary of SK Innovation, invested in a waste-resource-based feedstock company. With SK Energy successfully producing and exporting SAF, the company has completed a global value chain encompassing raw material procurement, production, and sales. Building on this foundation, SK Energy plans to expand its presence in the global SAF market while also supplying SAF domestically during the first half of this year. Lee Chun-gil, head of SK Energy's Ulsan CLX, stated, "We plan to closely monitor market conditions, including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AF policies and demand fluctuations, while actively pursuing the expansion of SAF production and export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5 15:35:3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Hyundai Glovis: Target Prices Raised by Securities Firms Following News of Major Contract Signing

Securities firms have positively assessed Hyundai Glovis' stock, raising its target price, as the company is expected to see improved performance following the renewal of maritime transportation contracts with Hyundai Motor and Kia. According to the Korea Exchange on January 5, Hyundai Glovis closed at 134,500 KRW on January 3, up 0.52% from the previous trading day. Over the past three trading days, the stock has surged approximately 15%, continuing its upward trend. This sharp rise is attributed to improved investor sentiment following the announcement on December 31 of a five-year long-term maritime transportation contract with Hyundai Motor and Kia, valued at approximately 6.7 trillion KRW. The new contract extends the previous three-year agreement to five years and significantly increases the contract value. Yang Ji-hwan, a researcher at Daishin Securities, commented, "This renewal of the long-term transportation contract is considered an exceptional outcome that exceeds market expectations." He explained, "The annualized contract value amounts to approximately 1.34 trillion KRW, which represents a 105% increase compared to the 6,550 billion KRW annual average of the previous three-year, 1.9 trillion KRW contract signed in 2021." As expectations for Hyundai Glovis' profitability improvement grow, securities firms have consecutively raised their target prices for the company. Daishin Securities increased its target price from 160,000 KRW to 170,000 KRW. Researcher Yang noted, "The proportion of Hyundai Motor and Kia's shipping volume has decreased from 60% to 50%, reducing the company's reliance on affiliates. Additionally, the five-year long-term transportation contract, reflecting the peak boom in pure car carrier (PCC) freight rates, has further strengthened performance stability." Hana Securities also raised its target price for Hyundai Glovis from 150,000 KRW to 164,000 KRW. Researcher Song Seon-jae from Hana Securities stated, "Hyundai Glovis is improving profitability by acquiring new customers, such as Chinese automakers, which has led to an increase in non-affiliate sales. Non-affiliate volumes are estimated to have grown by over 30% last year and continue to rise." He added, "Considering these factors, Hyundai Glovis' revenue from finished car maritime transportation is expected to grow by 11% this year." Alongside performance improvement, enhanced shareholder returns are also anticipated. Researcher Song emphasized, "While the growth potential of core business units is strengthening, Hyundai Glovis is also expected to expand shareholder returns, including a dividend payout ratio of at least 25% and a minimum 5% increase in dividends per share (DPS). Additionally, the company has set ambitious business goals of achieving over 40 trillion KRW in revenue and a return on equity (ROE) of more than 15% by 2030, which will further enhance shareholder valu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5 15:35:3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Domestic Auto Industry Faces Sluggish Domestic Demand… Turns to Exports for Growth

The domestic automobile industry faced a significant blow to local sales last year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and high-interest rates. However, increased export volumes helped mitigate the impact on overal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utomobile industry on January 5, Hyundai Motor and Kia Motors failed to meet their combined sales target of 7.44 million units last year, largely due to the sluggish domestic market. Meanwhile, Korea GM (GM Korea) and KG Mobility (formerly SsangYong Motor) experienced their worst domestic sales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Renault Korea Motors maintained a positive trajectory, buoyed by the success of new model launches. Last year, Hyundai Motor sold 705,000 units domestically, a 7.5% declin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ile Kia managed 540,000 units, down 4.2%. However, both Hyundai and Kia successfully offset the domestic downturn by leveraging strong export growth to stabilize their overall sales volumes. Notably, Kia achieved its highest-ever global sales record last year, selling 3,089,457 units. The decline in domestic sales was offset by overseas sales, which reached 2,543,361 units—a 1% increase compared to 2023. For this year, Kia has set a global sales target of 3,216,000 units, representing a 4.2% growth compared to last year’s performance. Hyundai Motor and Kia are focusing on penetrating global markets to overcome challenges. They are targeting the North American eco-friendly vehicle market by ramping up operations at their Georgia plant, while also expanding sales in emerging markets through localization strategies in India and Indonesia. Hyundai plans to launch the large electric SUV Ioniq 9 in the U.S. this year. Kia, meanwhile, aims to drive innovation in the automotive industry with its purpose-built vehicle (PBV) PV5 and expand its presence in emerging markets. The company is set to introduce the compact SUV Siroce and the pickup truck Tasman, targeting markets in India, the Asia-Pacific region, Latin America, and Africa. Mid-sized domestic automakers experienced mixed fortunes in domestic and export markets. Notably, Korea GM (GM Korea) and KG Mobility (formerly SsangYong Motor) recorded their worst domestic sales figures. Korea GM sold 24,824 units, a decline of approximately 35% year-over-year, while KG Mobility sold 47,000 units, a 25.7% drop. Korea GM's domestic sales last year were its lowest since 1982, when it sold 22,184 units. However, both Korea GM and KG Mobility saw notable increases in export volumes. Korea GM recorded 474,735 units in overseas sales, a 10.6% year-over-year increase, marking its highest export figure since 2014. KG Mobility achieved a significant 18.2% rise in exports, with 62,378 units sold abroad. KG Mobility aims to boost both domestic and export sales in 2025 with the launch of new models such as the Torres Hybrid and O100. These initiatives highlight the company's strategy to strengthen its market presence globally and locally. In contrast, Renault Korea Motors, which had struggled with declining sales for an extended period, experienced a resurgence thanks to the popularity of its first new model in four years, the Grand Koleos. Renault Korea achieved a total of 106,939 units sold last year, comprising 39,816 units domestically and 67,123 units for export. Notably, its annual domestic sales rose by an impressive 80.6% year-over-year. Buoyed by the success of its new model, Renault Korea aims to maintain its upward momentum through additional launches. Domestically, the company will focus on boosting Grand Koleos sales, while expanding export volumes with the Arkana. The Grand Koleos is also expected to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export performance. Additionally, Renault Korea plans to strengthen its presence in the domestic electric vehicle market by introducing the compact electric SUV Renault Scenic E-Tech next year, targeting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s. An official from the automobile industry stated, "Last year, the domestic market faced significant challenges due to the economic downturn caused by high interest rates and inflation." They added, "This year, the focus will be on increasing sales volumes by addressing the sluggish domestic market while also intensifying localization strategies to penetrate emerging markets, including the U.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5 15:35:22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제주항공 희생자 179명 인도 마무리…정부 "유가족, 장례 후에도 지원"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 179명 전원의 시신 인도 절차가 마무리됐다. 정부는 희생자 유가족들에게 장례 후에도 지원을 지속하기로 했다. 또, 유가족 명예를 훼손하는 악성 게시물 총 99건과 관련 수사에 착수했다. 5일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 시신과 유류품을 수습하기 위한 대규모 수색 작업이 이날 마무리됐다. 수사 당국은 의미 있는 유류품이나 시신 일부 등이 발견되지 않았고, 추가 발견 가능성도 크지 않아 대대적 인력을 투입한 수색 작업을 종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국은 사고 발생 이후 7일간 동체와 활주로, 갈대밭 등 사고 현장과 주변에서 시신과 유류품 등 수습 작업을 진행했다. 사망한 179명의 희생자를 모두 수습했고, 소유주가 명확한 유류품은 유족들에게 전달했다. 179명 희생자 전원의 시신은 절차를 거쳐 이날 유가족들에게 모두 인도됐다. 희생자들의 유류품도 인도됐는데 소유자를 확인할 수 없는 유류품은 유가족이 확인해 찾아갈 수 있도록 안내 중이다. 아울러, 정부는 희생자 유가족들에게 장례 후에도 지원하기로 했다. 이한경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장례 후에도 유가족을 세심히 살피고, 필요한 지원을 계속할 것"이라며 "희생자의 명복을 빌며 애도와 추모를 이어갈 수 있도록 광주와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합동분향소를 연장 운영하고, 2차 합동 위령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또,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심리 지원, 상속과 보상 등 법률상담, 유가족 긴급 돌봄 등 세심하고 충분한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유가족의 서류 제출 편의를 위해 각종 증명서류를 간소화했고, 장례부터는 전담 공무원이 증명 서류 발급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유가족 명예를 훼손하는 악성 게시물 총 99건과 관련 조사 중이다. 전날 유가족을 모욕하는 내용의 악성 게시글을 올린 피의자 1명이 검거됐다. 이 본부장은 "경찰청 전담수사단에서 수사력을 집중해 엄정 대응하고 있다"며 "총 99건을 입건 전 조사 및 수사에 착수했고, 전날엔 유가족을 모욕하는 악성 게시글을 올린 피의자를 검거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악성 게시물에 대한 처벌을 촉구하는 고소·고발을 순차적으로 접수할 예정이다. 현재 유가족 의견을 반영해 무안공항 2층에 현장 신고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한편, 상당수 유가족이 장례 절차를 밟기 위해 흩어지면서 공항 대합실에서 진행되던 정부 브리핑은 이날 이후로 종료됐다. 다만 공항에 각 정부 부처 관계자가 모여 있는 유가족 통합지원센터는 현재 위치에서 유지하고, 전담 공무원 지원 체계도 이어 나갈 방침이다. 정부는 유가족들이 쉴 수 있도록 마련한 임시텐트 역시 일부는 철거하고 약 100여개만 남겨두기로 했다. 유가족 대표단은 장례 절차가 대부분 마무리되는 오는 11일 유가족 전체 회의를 열어 향후 대응 방향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2025-01-05 14:37:29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서울시 기술교육원, 올 상반기 직업 훈련생 2106명 모집

서울시는 올 상반기 기술교육원에서 직업 훈련을 받을 시민 2106명을 내달 14일까지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시는 서울의 산업 수요에 맞는 인력을 양성하고 구직을 희망하는 시민의 기술 교육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중·남부, 동부, 북부에 3개 기술교육원(4개 캠퍼스)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기술교육원 입학생 3485명 중 68.4%가 취업에 성공했다고 시는 덧붙였다. 올해 시는 디저트 브런치, 에너지 진단 설비, 전기 공사 등의 교육 과정 정원을 늘리고, 모집률 100%로 인기를 끌고 있는 중부캠퍼스의 산업 안전 산업 기사를 비롯해 SW 테스트 전문가, 요양 보호사 과정의 연간 훈련생 모집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번 상반기에는 ▲정규 과정(주간5·10개월, 야간 6개월) 72개 학과, 1882명 ▲단기 과정 8개 학과, 224명 등 총 80개 학과에서 2106명을 모집한다. 15세 이상 서울시민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지원 희망자는 각 기술교육원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하면 된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기술교육원은 대표적인 직업 훈련 기관으로 서울의 산업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해 왔다"며 "현장 수요와 산업 변화를 반영해 다양한 직업 교육과 훈련을 마련했으니 기술 인재를 꿈꾸는 시민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2025-01-05 14:09:06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서울시, 11일 헌릉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 개통

강남대로부터 내곡 지역을 잇는 중앙 버스 전용 차로 축이 완성돼 수도권 시민들의 출퇴근길이 더욱 편리해질 전망이다. 서울시는 강남대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의 끝부분인 영동1교에서 헌릉로 청계산 입구 교차로까지 약 1.5km 구간에 중앙 버스 전용 차로를 설치하고, 오는 11일 개통한다고 5일 밝혔다. 헌릉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는 서울 동남권(내곡, 세곡 지구) 개발에 따른 교통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2023년 7월 개통한 1구간(청계산 입구 교차로~내곡IC) 약 3.2km에 이어 올해 강남대로 영동1교까지 2구간이 뚫리면서 총 4.7km가 연결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2구간 개통으로 약 20여년 만에 강남대로와 헌릉로를 잇는 중앙 버스 전용 차로가 하나로 연결됐다"며 "신사역부터 내곡IC까지 총 9.5㎞가 직결되면서 동남권을 잇는 버스축이 탄생했다"고 말했다. 시는 버스 통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통 구간 내 중앙 정류소 4곳을 신설했다. 광역 버스 통행이 많은 매헌 시민의 숲 앞 구간에서는 가로변 정류소와 중앙 정류소를 각각 운영한다. 이를 통해 시는 버스와 일반 차량의 동선이 엇갈리는 문제를 완화하고, 교통 정체를 개선한다는 목표다. 향후 3구간(내곡IC~복정역 교차로, 5.0km)까지 중앙 버스 전용 차로 설치가 완료되면, 강남대로와 송파대로를 동서 방향으로 연결하는 버스길이 조성돼 동남권 대중교통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시는 강조했다. 헌릉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 3구간은 내곡IC~헌릉IC(1.46km) 확장 공사를 마친 뒤에 추진할 예정이며, 현재 도로 확장을 위한 토지 보상을 진행 중이라고 시는 전했다.

2025-01-05 13:49:56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