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metro 관심종목] BNK금융지주, 호실적·주주환원 기대에 주가 상승 가능성↑

BNK금융지주가 안정적인 실적을 바탕으로 주주환원 확대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증권사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BNK금융지주의 주가는 지난 17일 1만1360원으로 마감하며 이달 초(1만340원) 대비 약 10% 상승했다. 고환율 상황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실적과 주주환원 확대 기대감이 주가 상승의 동력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BNK금융지주의 2024년 연결기준 순이익은 8090억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전년 대비 26.5% 증가한 규모다. 2023년 선제적 충당금 적립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영업 축소로 인한 일시적 수수료 이익 감소를 딛고, 핵심 이익 증가와 대손비용 감소 등으로 건전성 개선을 이뤄낸 것으로 보인다. 김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경상적대손비용 증가 및 자회사 부동산PF 충당금 1600억원 적립에도 상생금융비용 소멸 및 선제적 충당금적립 축소로 대손충당금전입이 감소하면서 BNK금융지주는 지난해 역대 최대 순이익을 기록할 전망"이라며 "은행주 중 가장 높은 이익 증가율을 달성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BNK금융지주의 올해 순이익은 지난해 추정치 대비 3.3% 증가한 8350억원으로 예상된다. 정태준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자산건전성 개선 흐름이 2025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며, 대손비용률이 PF 충당금 문제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2025년 대손비용률은 59bps로 전년 대비 10bps 개선될 것"이라며 "안정적인 이익에 힘입어 보통주자본비율도 우상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NK금융지주의 안정적인 이익 성장세에 따라 주주환원 확대 가능성도 높게 평가되고 있다. 정 연구원은 "BNK금융의 4분기 보통주자본비율은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한 12.14%로 예상된다"며 "아직 분기 균등배당을 시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연말 현금 배당 지급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날 전망"이라고 했다. 이어 "그럼에도 원화 약세로 인한 자본비율 하락 영향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본비율이 유지된다"며 "2025년 주주환원율은 37.2%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5-01-19 15:11:36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네이버·카카오, AI 쇼핑 서비스 고도화로 이용자 편의·광고수익 모두 잡는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인공지능(AI)을 쇼핑 페이지에 적용하며 초(超) 개인화 서비스에 박차를 가한다. AI로 초개인화한 쇼핑서비스는 그대로 광고수익으로 이어지는 만큼 기업의 결정적 캐시카우 역할도 해 중요성이 높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네이버가 AI 기반 초개인화 쇼핑 '네이버플러스스토어'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카카오가 'AI 쇼핑메이트' 베타버전을 출시한다. 네이버는 지난해 4분기 플러스스토어를 별도 서비스로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개인화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오는 상반기 중으로 별도 앱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플러스스토어는 개인별 취향과 관심사를 분석해 상품뿐 아니라 혜택과 프로모션, 쇼핑 관련 콘텐츠까지 추천, 전시하는 초개인화 AI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 상품 스펙을 중심으로 검색·비교하는 쇼핑 사용성은 보다 개선된 카탈로그 기능을 적용한 '네이버 가격비교' 서비스로 리브랜딩하여 대응하고, 에이아이템즈(AiTEMS) 상품 추천 기능이나 포유(FOR YOU) 서비스 등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AI 추천 쇼핑 경험은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통해 전면 확대한다. 플러스스토어 출시로 이용자들은 쇼핑 경험이 개선되고 판매자는 쇼핑 데이터 수집과 분석 또한 용이해졌다는 평가다. 장기화한 소비심리 부진에도 업계에서는 네이버 쇼핑만은 계속 성장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나증권 이준호 연구원은 커머스 사업과 관련해 "4분기 국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3분기와 유사한 2% 수준의 성장 정체 확인되나 네이버는 스마트 스토어, 브랜드 스토어 중심으로 이를 상회할(+5.2%)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카카오는 18일 'AI 메이트' 홈페이지에 두 번째 메이트인 'AI 쇼핑메이트' 베타 버전을 공개했다. AI 쇼핑메이트는 웹 채팅과 카카오톡 채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카카오톡 선물하기에 특화했다. 이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본인이 구매하고 싶은 쇼핑 아이템뿐만 아니라 카카오톡 친구 생일 일정, 추천 선물도 알려준다. 카카오는 서비스 구축을 위해 쇼핑에 특화된 AI 기술을 개발했다. 선물 추천 시나리오에 맞춘 데이터 학습 쇼핑 시나리오에 맞는 데이터는 없기 때문에 발화와 시나리오를 자연스럽게 수행할 '감독학습(Supervised Fine-Tuning, SFT)' 데이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카카오는 범용적인 AI 모델을 선물 추천 시나리오에 맞게 동작시키기 위해 파인 튜닝 데이터를 내부에서 구축했다. 사용자에게 익숙한 카카오톡 채널 챗봇과 생성형 AI에 맞춰 완전히 새롭게 설계된 챗봇을 동시에 제공한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모두 AI 쇼핑 서비스를 구축, 고도화하는 데에는 이용자 경험 개선 목적도 있지만 광고 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함이다. 쇼핑 서비스를 통한 광고는 판매자의 광범위한 타깃 광고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광고를 통해 이뤄지는 구매 전환 수익으로 이뤄진다. 따라서 초개인화 서비스를 시도해 이용자의 구매가 이뤄진다면 플랫폼의 광고 수익 또한 오르게 된다. 실제로 AI 기술을 통한 소비자 쇼핑 경험은 해외에서도 입증됐다. 캡제미니 리서치 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조사에서 68%의 소비자가 AI가 추천한 제품을 실제로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의 52%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

2025-01-19 15:10:33 김서현 기자
기사사진
믹솔로지 열풍에 편의점 이색 주류 열전…달콤한 혼종부터 연예인 앞세운 상품까지

새해에도 믹솔로지(Mixology) 트렌드가 이어지면서 편의점 업계가 전통주와 와인에 위스키를 섞은 이색 주류 상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최근 2~3년간 20대를 중심으로 위스키에 탄산수 또는 주스를 타 먹는 '하이볼'이 인기를 끌면서 한 단계 진화한 믹솔로지 제품이 등장한 것이다. GS리테일은 지평막걸리와 짐빔 위스키를 컬래버한 '막&스키(막걸리 앤 위스키)'를 편의점 GS25와 슈퍼마켓 GS더프레시를 통해 선보였다. 국산 쌀과 지평 누룩으로 3번 발효해 만든 지평생막걸리에 짐빔 위스키를 냉각 숙성하여, 막걸리의 달콤한 맛과 위스키의 오크 향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앞서 6일 우리동네GS앱을 통해 진행한 '막&스키 6입 박스' 사전 예약은 준비된 수량 250박스가 당일 완판됐으며, 16일까지 더현대 서울 지하 1층에서 운영한 팝업스토어에 방문객들이 몰려 문전성시를 이루기도 했다. 현재 전국 GS25와 GS더프레시에서 6만 병 한정 판매 중이며, 가격은 병당 8500원이다. GS리테일 측은 "믹솔로지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는 것이 이번 상품 출시의 배경이 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GS25의 하이볼, 와인, 양주 매출 중 하이볼 매출의 구성비는 2023년 상반기 10.8%에서 지난해 상반기 25.9%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븐일레븐은 최근 하이볼과 와인을 결합한 신개념 주류 '와인볼(와인 하이볼)'을 선보였다. 세븐일레븐에 따르면 지난해 하이볼 매출은 전년 대비 3배가량 증가하는 등 좋은 반응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매출 호조와 고객들의 니즈가 세분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하이볼 제조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맛을 첨가하는 등 하이볼이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이 선보인 와인볼은 '앙리마티스 와인볼' 2종이다. 분위기를 즐기는 와인과 시원하고 가볍게 마시는 하이볼의 장점만 모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한 주류 상품으로 프랑스에서 수입한 와인 원액 약 20%를 함유했다. 애주가로 알려진 연예인들을 앞세운 이색 주류도 꾸준히 출시되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배우 이장우와의 협업을 통해 직접 개발한 '죽산말걸리'를 선보인 바 있다. 해당 막걸리는 예능 프로그램 '시골마을이장우'에서 이장우가 직접 막걸리를 만들고 그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줘 출시 전부터 화제를 모았다. '죽산막걸리'는 전라북도 김제의 청정쌀 100%를 사용해 깔끔하고 깊은 맛을 자랑한다. 특히, 꿀을 첨가해 은은한 단맛과 향긋함을 더했으며, 톡톡 터지는 탄산감이 일품이다. GS25는 인기 프로그램 '흑백요리사'에 출연한 에드워드 리의 '이균 참외미나리주' 3500개를 사전 예약으로 판매해 1시간도 채 되지 않아 완판을 기록했다. 또 지난해 10월에는 성시경 막걸리 브랜드 '경탁주 12도'를 한정 수량 판매했다. 경탁주도 2병에 3만1000원으로, 한 병에 1만5500원 수준이지만 오픈과 동시에 품절됐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전통주나 와인, 기존 주류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 유행하는 트렌드에 따라 주류의 가능성이 확장하고 있다"며 "새로운 맛, 새로운 도전, 그리고 재미를 추구하는 2030 세대들에게 믹솔로지 트렌드는 새로운 주류 문화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

2025-01-19 15:10:00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尹 구속에, 李와 형평성 강조하는 與·법원 폭력 사태 질타한 野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전격 구속되자, 여당은 침울한 분위기인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도 똑같은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이 모든 사태의 책임은 윤 대통령에게 있으며 '법원 난동'으로 법치주의를 훼손한 극우 지지자들을 규탄했다. 국민의힘은 19일 오전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열고 윤 대통령 구속은 '법 원칙'을 무너뜨린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오늘 현직 대통령이 구속되는 헌정사상 초유의 일이 발생했다. 참담하고 비통한 마음"이라며 "우리 형사소송법은 모든 피의자를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오늘 새벽 구속영장 발부는 이런 법 원칙을 무너뜨렸다"며 법원에 유감을 표했다. 권 위원장은 "이는 단순히 한 개인에 대한 예외적 대우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법치주의 가치인 임의수사원칙, 무죄추정의 원칙을 지키는 일"이라며 "직무가 정지된 이후 대통령은 사실상 가택연금 상태에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상계엄 관련자들에 대한 수사는 이미 대부분 종료돼 중앙지법과 군사법원에 기소돼 있으며, 단순히 전화기 하나 바꿨다고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대단히 잘못된 일"이라고 강조했다. 권 위원장은 이재명 대표에 대해서도 "이 대표는 8개 사건, 12개 혐의로 5개의 재판을 받고 있다"며 "혐의가 확인되면 똑같이 구속함으로써 법적 형평성과 법 원칙이 지켜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020년 권순일 대법관의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 판결, 2023년 이재명 위증교사죄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 2024년 위증교사죄 1심 무죄 등 사법부는 결정적인 순간마다 이재명 대표에게 면죄부를 줬다"며 "이 대표는 제1야당 대표이기 때문에 증거인멸 가능성을 단정할 수 없다며 구속영장을 기각했는데, 직무가 정지돼 사실상 연금 상태에 있는 현직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된 것에 대해선 국민들께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라며 이 대표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은 구속영장을 발부한 서울서부지방법원에 극우 지지자의 폭력 사태가 발생한 것을 두고 "어떤 이유로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고 질타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비공개 최고위 후 기자들과 만나 "새벽에 벌어진 난동사태는 국가공동체의 질서를 유지하는 사법체계를 파괴하는, 민주공화국의 기본적 질서를 파괴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참 안타깝기 이를 데 없는 일이지만, 그러나 이 고통조차도 새로운 성장의 원동력으로 쓰여질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는 여당이 이재명 대표에 대해서도 사법부가 형평성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이 대표는 이미 사법 절차에 따라 재판 출석 80일, 800시간 이상의 재판 과정을 밟고 있다"고 반박했다. 조 수석대변인은 이 대표는 재판에 성실하게 출석하고 있지만, 윤 대통령은 국회의 탄핵 소추안 처리 후 관저에 칩거해 경찰의 3차례 소환 조사에 불응하고 구속영장 1차 집행시도도 저지했다는 점을 비교해 지적한 것으로 보인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오후 의원총회에서 "경찰은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정면으로 훼손한 이번 불법 폭력 사태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해야 한다"며 "불법 폭력 행위 가담자뿐만 아니라, 이들에게 폭력을 선동한 자들도 발본색원해 엄중하게 처벌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2025-01-19 15:06:27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구속된 尹, 옥중 입장문 "평화적 방법으로 의사 표현해달라"

19일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로 구속된 윤석열 대통령이 옥중 입장문을 내고 "새벽까지 자리를 지킨 많은 국민의 억울하고 분노하는 심정은 충분히 이해하나 평화적인 방법으로 의사를 표현해 달라"고 전했다. 이날 새벽 윤 대통령의 구속 소식에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방법원에 진입, 난동을 벌인 것에 대한 자제를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이날 윤 대통령의 옥중 입장문을 공개하며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가 국가비상사태에 준하는 국정 혼란 상황에서 오로지 대한민국 헌정질수 붕괴를 막고 국가기능을 정상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목적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음에 안타까움을 표하셨다"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은 이날 새벽 서부지법에서 발생한 상황을 전해 듣고 크게 놀라며 안타까워하셨다"며 "특히 청년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는 소식에 가슴 아파 하시며 물리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려는 것은 국가적으로는 물론 개인에게도 큰 상처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셨다"고 전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사법 절차에서 최선을 다해 비상계엄 선포의 목적과 정당성을 밝힐 것"이라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겠다"고 강조했다.

2025-01-19 14:59:54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종근당건강, 더마 화장품 '클리덤' 판매량 20만개 돌파..."출시 한 달 만에 가파른 성장세"

종근당건강은 지난해 12월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에서 처음 선보인 더마 화장품 브랜드 '클리덤'이 누적 판매량 25만개를 돌파했다고 19일 밝혔다. 종근당건강은 클리덤을 통해 '저분자 콜라겐' 기반의 스킨케어 제품들을 출시했다. 특히 '탄력 실타래 크림', '미스트 앰플', '아이 마사지 앰플', '탱글 립 세럼' 등이 다이소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에서 입점 10일만에 동시 완판됐다는 것이 종근당건강 측의 설명이다. 또 종근당건강은 '팔자주름 앰플', '탄력 마스크' 등도 품절되면서 클리덤이 브랜드 공개 한 달 만에 소비자 인기를 입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클리덤은 최근 2주간 가장 많이 판매된 제품을 소개하는 '다이소몰 SNS 화제의 신상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지난 9일에는 '팔자주름 앰플'이 다이소 전체 신상 카테고리 순위 1위에, 13일에는 '주름 채움스틱'이 다이소 뷰티 신상 카테고리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종근당건강 화장품사업부는 "지난 1년 동안 꼼꼼한 시장조사 및 제품 기획 개발을 거쳐 '클리덤'을 부담 없는 가격에도 고품질 제품으로 피부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브랜드로 완성한 것이 고객 호평을 받게 된 주된 이유"라고 분석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01-19 14:57:52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트럼프 2기 내각 '충성파'로 구성…경제는 관세론자·대중강경파 배치

2기 트럼프 내각을 한 줄로 요약하면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이행할 충성파'로 구성됐다는 평가다. 지난 1기 행정부에서 내각 인사들의 반대, 정책 간 이견으로 내홍을 겪은 만큼 관세 강화, 반이민 정책 등 본인의 공약에 우호적이고 동조하는 인물들이 대거 발탁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취임식과 함께 집권 2기를 시작한다. 이번 트럼프 내각의 가장 큰 관심사였던 외교·안보 라인에는 트럼프 대선 캠프에 참여했고, 러닝메이트로 거론됐었던 보수 성향의 충성파들이 대거 포진됐다. 우선, 국방부 장관에는 피트 헤그세스 전 보수 매체 폭스뉴스 진행자가 발탁됐다. 헤그세스 지명자는 2017년 폭스뉴스 진행자로 합류하기 전 '자유를 위한 재향군인'(VFF), '미국을 걱정하는 재향군인'(CVA) 등 2개 보수 단체의 회장을 맡았던 인물이다. '외교·안보' 투톱으로 알려진 국무부 장관과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는 마코 루비오 상원의원, 마이크 왈츠 하원의원이 각각 지명됐다. 국무부 장관 루비오 상원의원은 지난 2016년 공화당 대선 경선 당시 트럼프 당선인과 TV토론에서 각을 세웠다. 루비오 의원은 플로리다 예비 선거에서 패한 뒤 중도 하차했다. 이후, 트럼프 당선인을 지지하는 쪽으로 노선을 바꿨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부터 측근이었던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왈츠 의원은 '미국 우선주의'를 잘 이행할 인물로 내각에 참여하게 됐다. 그는 대중 강경파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에도 비판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육군 특수부대 '그린베레' 출신 왈츠 의원은 하원 중국특위에서 활동할 당시 핵심 광물에 대한 중국 의존을 줄이고, 미국 대학과 학계를 중국의 간첩 활동에서 보호하기 위한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트럼프 2기의 경제 정책은 관세·무역 전쟁을 예고한 대로 관세 강화를 옹호해온 인물들이 이끌게 됐다. 재무장관으로 지명된 키스퀘어그룹 설립자 스콧 베센트는 관세 정책을 펼 때 시장에 적응할 시간을 주고 협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전 예고(선제적 안내)가 명확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상무장관으로 발탁된 하워드 러트닉 또한, 트럼프의 관세 강화 및 제조업 기반 강화 공약을 적극 뒷받침할 만한 인물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역시 트럼프 집권 1기 때부터 대중국 고율 관세 부과 정책을 추진해왔다. 트럼프 2기 내각의 눈에 띄는 인사로 정부효율부(DOGE) 공동 수장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빼 놓을 수 없다. 트럼프 대선 캠프에 거액을 기부하며 입지를 다져온 머스크는 관료주의를 혁파하고 경제·대외·이민 등 주요 정책들을 추진할 이른바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세력으로 급부상했다. 이 밖에 에너지부 장관으로 발탁된 크리스 라이트 리버티 에너지 설립자, 내무부 장관에 더그 버검 노스다코타 주지사, 교육부 장관에 린다 맥마흔 월드레슬링엔터테인먼트 공동설립자 등도 트럼프 캠프에 후원했던 억만장자 출신들이다. 한국으로서는 공석인 주한 미국 대사로 어떤 인물이 올 지도 관심사다. 현재 주한 미국 대사로 한국계인 미셸 박 스틸 전 하원의원과 한반도 전문가인 앨리슨 후커 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선임 보좌관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스틸 의원(한국명 박은주)은 서울에서 태어났고, 1975년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 1992년 로스앤젤레스(LA) 폭동을 목도한 이후 정계에 입문했다. 2020년 중간선거로 연방하원에 진출, 한반도와 북한 문제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 왔다. 후커 전 보좌관은 외교 정책 및 국가안보 전문가로 미국 정부에서 아시아 관련 업무를 수행한 경력이 있다. 그는 트럼프 1기 당시 북미 정상회담 및 실무 협상에 깊이 관여했다. 현재 조셉 윤 전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주한 미국대사관의 '임시 대사대리'로 파견와 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2기 내각은 충성파들 위주로 구성된 탓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트럼프 1기 때 과격한 정책에 제동을 걸었던 존 켈리 전 백악관 비서실장과 렉스 틸러슨 전 국무장관, 제임스 매티스 전 국방장관 등 소위 '어른들의 축(Axis of Adults)'은 이번 내각에서 볼 수 없게 됐다. 이들 모두 트럼프 당선인과 갈등이 깊어지면서 경질됐다. 미국 의회가 트럼프 2기 내각 인사청문회에 돌입한 가운데 일부 후보자들의 자질, 도덕성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헤그세스 후보자는 과거 자금관리 부실, 성적 부적절성, 과도한 음주 등으로 비영리 단체 2곳에서 퇴출당했다는 전력이 공개되면서 부적격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국가정보국(DNI) 국장으로 발탁된 털시 개버드 전 하원의원은 과거 러시아에 우호적인 행적이 도마 위에 올랐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러시아를 지지하는 듯한 발언을 한 바 있다. 2017년에는 하원의원 자격으로 시리아를 방문해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을 만난 것도 문제가 됐다.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지명된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는 공중 보건과 백신에 대해 계속해서 음모론을 제기해 온 전력이 비판받고 있다.

2025-01-19 14:46:18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K제약·바이오, '글로벌 성공전략'...'K신약' 상업화에 집중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급변하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섰다. 19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한국 제약바이오기업의 글로벌 성공전략'을 주제로 한 제27호 정책보고서를 공유했다. 해당 보고서에서 이효영 국립외교원 부교수, 이현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글로벌본부장 등은 우선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 대외 변수가 국내외 제약·바이오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조명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규모 및 제조 측면 모두에서 미국이 세계 의약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제약 산업을 국민 안전을 보장하는 필수 영역을 넘어 국가 안보 사항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생물보안법을 발의하는 등 중국에 대한 의약품 원료 수입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그 결과, 올해 새로 출범한 트럼프 2기 행정부도 중국 바이오 기업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을 견제하는 정책은 지속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보건의료 분야에서 정부 개입과 규제는 줄이고 민간 기업 중심의 생태계를 조성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미국 시장 진출 또한 활발하게 이뤄질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이효영 국립외교원 부교수는 "미국 주도의 글로벌 의약품 공급망 재편 성과와 영향은 반도체 및 전기차·배터리 등 다른 주요 산업에 비해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우리의 제약·바이오 의약품 공급망을 재점검해 관련 분야에서 국제 협력 체계를 공고히 하고, 원료의약품 공급 대체지를 마련하는 등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부교수는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과 기술혁신을 강조했다.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이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현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글로벌본부장도 "혁신 신약의 상업적 성공이 반드시 필요하며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는 미국에서의 성공은 곧 개도국을 포함한 글로벌에서의 성공으로 귀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 GC녹십자의 면역글로불린 혈액제제 '알리글로' 등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에서 국내 기업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 K제약·바이오 위상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다. 유한양행의 렉라자와 존슨앤존슨의 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은 지난해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품목허가 승인을 받았다. 오세웅 유한양행 부사장은 "렉라자 개발 초기 시점, 우수한 전임상 결과와 국내에서 진행한 임상에서 확보한 약물 효능 및 안전성을 근거가 뒷받침돼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사업개발(BD) 업무를 추진할 수 있었다"며 "이후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존슨과 협력해 글로벌 임상 3상 진입, 의약품 CMC(화학·제조·품질), 규제 과학 등 다양한 연구개발 분야 선진화와 노하우를 경험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GC녹십자는 생물학적제제 품목허가 신청(BLA)에서 의약품 품질 고도화(QbD) 시스템 준수의 중요성도 알렸다. 이재우 GC녹십자 개발본부장은 "QbD가 도입되면서 신약개발 시 목표 제품 특성(TPP)부터 제품의 품질 목표 사항(QTPP)까지 모든 연구 및 자료는 최종 목적에 부합되어야 한다"며 "미국 식품의약국(FDA) 미팅, 제출 서류 등에서 연구 자료의 일관성을 입증할 때 시간과 비용 절약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GC녹십자는 지난해 하반기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알리글로 물량 선적을 완료했고, 같은 해 12월 미국 현지에서 혈액원 운영 업체인 ABO 홀딩스를 인수하기도 했다. 혈액제제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해 생산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GC만의 수직계열화를 완성했다는 것이 GC녹십자 측의 설명이다. 아울러 보고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진단도 내놨다. 미국뿐 아니라 유럽, 일본 등 선진 제약 강국들은 각국의 제약바이오 의약품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정부가 앞장서 규제 완화와 투자 촉진을 이어가고 있다. 유럽은 지난 2020년 '유럽 제약산업 전략'을 발표하고 2023년에는 의약품 공급 안정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함께 '핵심의약품연합' 결성, '바이오기술법' 제정 등을 시행했다. 일본은 '바이오 전략 2019·2020', '백신 개발, 생산체제 강화 전략', '바이오경제전략', '바이오 경제전략 실행계획' 등을 잇따라 수립하며 2030년까지 최첨단 바이오경제 사회를 실현한다는 구상이다. 이효영 국립외교원 부교수는 "향후 글로벌 제약바이오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산업 육성 지원과 기업들의 활발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늘날 세계 의약품 시장은 2024년 이후 연간 5~8%의 성장률을 달성해 세계 반도체 시장의 3배를 웃도는 규모로 성장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01-19 14:36:15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Focusing on Targeting India, the World's Third-Largest Car Market… Intensifying Competition Among South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Global automakers are accelerating their efforts to target the electric vehicle market in India. The Indian electric vehicle market has high growth potential and is expected to be driven by a population of over 1.4 billion people, positioning it to become the largest electric vehicle market in the world. India aims to increase the share of electric vehicle sales to 30% by 2030, and is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such as expanding charging infrastructure and providing subsidies to support this goal.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19th, major global automakers, including South Korea's Hyundai and Kia, Japan's Suzuki, China's BYD, and the U.S.'s Tesla, are focusing on the Indian market this year. The industry expects that more than 10 new electric vehicle models will be launched in the country. Hyundai Motor Group has made a large-scale investment to develop the Indian region as a strategic export hub while targeting the Indian electric vehicle market and expanding its business into emerging markets. Last year, Hyundai sold 559,984 units and Kia sold 237,479 units in the Indian passenger car market, achieving their highest-ever sales. This year, they plan to expand sales by launching locally produced electric vehicle models. Kia has started local production of its compact SUV model, the 'Siroz.' Hyundai, on the other hand, will launch the 'Creta EV,' the first electric vehicle model to be produced at its Indian factory. Hyundai Motor will showcase not only electric vehicles but also various electrified models. On the 18th, at the Bharat Mobility Global Expo 2025 held at the Bharat Mandapam Convention Center in Delhi, Hyundai unveiled electric vehicle concepts for three-wheelers and micro four-wheelers. Micro-mobility, including electric motorcycles and ultra-compact electric vehicles, is widely used as a form of public transportation in regions such as India and the Asia-Pacific, utilizing eco-friendly power sources. In particular, Hyundai Motor plans to invest 40 billion rupees over the next six years, until 2028, while Kia intends to invest 20 billion rupees over the next five years, until 2027. Last year, Maruti Suzuki, which ranked first in sales in the Indian market, has announced its plan to develop India as an electric vehicle export hub. Suzuki will launch its first electric vehicle, the 'e Vitara,'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 company expects to leverage the growth potential and economies of scale in the Indian market to reduce electric vehicle production costs and enhance its competitiveness. Local automakers Tata Motors and Mahindra are also set to launch new electric vehicles and are actively working to expand sales in line with Indian government policies. Global electric vehicle leader, China’s BYD, will unveil the 'Sealion 7.' This vehicle is the first SUV model in BYD’s Ocean Series and is characterized by the application of the cell-to-body technology, where the battery is directly integrated into the vehicle's body. U.S.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Tesla is also pushing to enter the Indian market. Although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factory has been postponed, it is reported that preparations are underway to set up showrooms. An industry insider stated, "India is accelerating its electrification transition, expanding electric vehicle subsidies, and aiming to increase the share of electric vehicle sales to 30% of total car sales by 2030." He added, "Global automakers are focusing on targeting the market with models that offer long driving ranges and short charging time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19 14:35:0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회복하는데 18년?…'대외신인도'가 뭐길래

1997년 1월 한보그룹이 무너졌다. 한보주택과 한보철강 등 사업확장을 위해 무리하게 대출을 일으킨 결과였다. 한보그룹의 부도는 기아, 쌍방울, 해태그룹의 부도로 이어졌고, 금융업계는 손 쓸새 없이 손실을 입었다. 신용평가기관인 S&P에 이어 무디스(Moody's) 등은 줄지어 신용도(대외신인도)를 내렸고, 환율은 끝없이 올랐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의 시작이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지난 17일 열린 거시경제·금융 현안간담회에서 "대외신인도에 한 치의 흔들림이 없도록 한국경제설명회(IR)를 개최하는 등 각 기관에서 국제사회에 우리 경제의 견고한 펀더멘털(fundamental·전반적인 경제상황)을 적극적으로 설명해 달라"고 당부했다. 거시경제·금융 현안간담회는 경제와 금융, 통화당국 수장들이 모이는 자리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정치적 불안정이 대외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 달라는 설명이다. ◆ 대외신인도 회복까지 18년 최 권한대행이 대외신인도에 민감한 이유는 한 번 떨어질 경우 회복하는데 최소 10년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현재 S&P, 무디스, 피치 등 3대 글로벌 신용사는 우리나라를 선진국 수준인 AA, Aa2, AA-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 등급을 받은 기간은 10년이 채 되지 않는다.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신용등급(피치 기준)은 AA-에서 B-로 12단계 하락했다. 이후 한국은 2001년 IMF 구제금융조치를 졸업했지만, 신용등급은 2015년 회복됐다. 회복되기까지 약 18년이 걸린 셈이다. 대외신인도는 외부에서 우리나라의 기업 또는 국가를 신뢰하는 수준을 말한다. 대외신인도를 평가하는 대표적 척도는 국가신용등급이다. 개인의 신용을 평가하듯 S&P, 무디스, 피치 등 글로벌 신용평가사가 국가의 재정 등을 바탕으로 신용도를 평가한다 대외신인도가 떨어지면 자금조달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마치 개인이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못하게 돼 채무를 상환할 것이라는 신뢰를 잃을 경우, 신용평가점수가 떨어져 은행에서 고금리로 대출을 받거나, 대출을 받지 못하는 것과 같다. 통상 정부의 수입은 주로 세금 및 기타 공공수입으로 충당되지만, 정부의 지출이 수입을 초과할 경우, 정부는 국채를 발행해 부족한 자금을 조달한다. 이때 신용평가사가 평가한 신용등급이 낮아지면 금리가 높아져 국채상환부담이 증가한다. 이 경우 원화 가치가 떨어지고 수입 비용이 증가해 물가가 오르고 기업 부담도 가중될 수 있다. 경제 악순환이 이어지면서 심각한 경제위기도 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 ◆ 금리도 동결시킨 '대외신인도' 한국은행도 새해 첫 금통위에서 대외신인도를 우려해 기준금리를 연 3.00%로 동결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6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여러 가지 정치적인 불확실성으로 우리나라를 보는 상황이 불안해 대외신인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 고민 끝에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불확실성이 어떻게 변화할지를 살펴보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불과 한달 전 이 총재는 과거 노무현 사태와 박근혜 전 대통령 등 2번의 탄핵정국의 사례로 들며 "당시 데이터를 보면 단기적인 영향도 없었고 중장기적인 영향도 크게 없었다"며 "경제성장률이나 중장기적인 경제 부분에 주는 영향이 제한적이었으며, 과거가 반드시 반복된다는 보장은 없지만 영향은 제한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12월 3일 비상계엄사태는 민주주의 프로세스가 원활이 돌아가 6시간 만에 해제로 완화됐지만, 이후 대통령 탄핵안 가결 이후 지속되고 있는 정치적 리스크가 기업의 투자심리와 국민의 소비심리를 위축해 경제성장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3대 신용사 중 무디스는 "정치적 위기가 지속되면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피치는 "정치적 교착 상태에서 재정지출을 늘리라는 요구가 증가할 수 있다면서 한국의 재정적자와 부채를 악화시켜 중장기적으로 신용등급 하방 압력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치적 위기로 현재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가치는 지난 17일 기준 1454.70원이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사태 당일(1402.00원)보다 52.7원 올랐다. 정치적 위기로 원화가치가 하락한 상태에서 금리를 내릴 경우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벌어져 더 하락할 수 있어 금리를 동결했다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환율에 더 가중치를 두고 금리동결을 결정한 것은 대내 결정보다는 대외상황이 주는 대외신인도 등 여러가지 불확실성을 고려해 결정한 것이 사실"이라며 "두번의 탄핵과 같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면 정치적 위기로 올라간 환율이 내려가지(원화 가치 상승) 않을까 보고 있다"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5-01-19 14:27:41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10대 증권사, 에코프로 빼면 지난해 매도 리포트 '0건'...투자 의견 쏠림 심화

지난해 10대 주요 증권사가 작성한 상장사 분석 리포트 중 '매도'나 '비중축소' 의견은 단 1건으로, 에코프로를 제외하고는 전무했다. 국내 증시가 2024년 하반기부터 하락세를 보였던 만큼 상장사의 70% 이상이 연초보다 주가가 떨어졌지만, 증권사들은 '매수'만 고집한 셈이다. 19일 금융투자협회·에프앤가이드 등에 따르면 지난해 자기자본 기준 상위 10개 증권사에서 발간된 '매도' 혹은 '비중축소' 의견 기업분석 리포트는 1건으로 집계됐다. 하나증권이 에코프로에 대해 비중축소를 제시했을 뿐이다. 다만 하나증권도 매수 의견 비중이 94.6%를 차지했다. 중소형사 중에서도 매도 리포트를 발간한 증권사는 유진투자증권, 신영증권, iM증권, 한화투자증권, BNK투자증권 등 5곳에 불과하다. 게다가 5곳의 9건 중 7건은 에코프로비엠에 쏠려 있다. 에코프로의 경우 지난 2023년초 주가가 11만원에서 시작했으나, 같은 해 7월에 종가 기준 100만원을 넘기면서 '황제주'에 등극했었다. 다만 약 2개월 후인 9월 8일을 마지막으로 100만원대에서 내려온 뒤 하락세를 지속하며 현재는 6만원대에 머물고 있다. 에코프로의 주가 과열 흐름이 지속되자 하나증권에서 처음으로 매도 리포트를 냈고, 이후 다른 중소형사들도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매도 의견을 차례로 제시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증시에서 주가가 하락한 종목은 2073개이며, 이는 전체 종목(거래 정지 종목 등 제외·2724개)의 76%에 해당한다. 주가가 오른 종목은 605개(22%)에 그쳤다. 그럼에도 국내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의 리포트는 '매수'에 쏠리고 있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이러한 리포트 관행을 개선하고자 2023년 3월 '리서치 관행 개선 태스크포스(TF)'를 발족했지만, 그해 10월 뚜렷한 결과물이 나오지 못한 상태로 활동이 종료됐다. 이후 현재까지 별다른 방안이 나오지 않고 있다. 증권사들의 리포트 신뢰성 문제가 반복되고 있지만, 동시에 리서치 업무의 독립성·공정성을 해칠 우려가 상존하는 만큼 합의점을 찾는 것에 난항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지난해 국내 증시는 코스피는 9.6%, 코스닥은 21.7% 하락할 만큼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금융(IB) 업무가 중요한 증권사들이 매도 리포트를 내는 것은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 주식시장의 경우 '자기책임 원칙'이라는 인식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매도 리포트를 낼 경우 애널리스트에게 오는 피해가 큰 편"이라며 "리서치 업무뿐만 아니라 법인 영업 등 비즈니스적인 측면까지 고려한다면, 각 기업에게서 오는 압박이나 불이익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01-19 14:21:06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SKT, 설 앞두고 협력사에 1230억원 대금 조기 지급

SK텔레콤은 설 연휴를 앞두고 비즈니스 협력사들의 재정 부담 완화와 내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약 1230억원 규모의 거래 대금을 조기 지급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이번 대금 조기 지급에는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 SK스토아 등 정보통신기술(ICT) 패밀리가 함께 참여하며, 명절을 앞둔 협력사들의 자금 수요를 고려해 설 연휴 시작 전까지 순차 지급할 예정이다. 조기 지급 대상은 네트워크 공사 및 유지보수, 서비스 용역 등을 담당하는 1450여개 비즈니스 협력사와 전국 250여개 유통망 등이다. SK텔레콤은 이번 조기 지급이 국내외 경제 상황 불안정으로 인한 지속적인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등 재정부담에 취약한 비즈니스 협력사들의 유동성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사는 중소 비즈니스 협력사들의 원활한 자금 운용을 지원하기 위해 매년 명절 전 거래 대금 조기 지급을 시행하는 등 동반성장에 앞장서고 있다. 2003년 업계 최초로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 전담 부서를 신설하고, '동반성장펀드', '대금지급바로' 등 금융지원을 비롯해 중소 협력사들의 경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다양한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제공해 오고 있다. 이 밖에도 ▲ESG 경영 지원 ▲생성형 AI 과정 등 임직원 무상교육 제공 ▲임직원 복리후생 지원 ▲비즈니스 협력사 온라인 전용 채용관 운영 등 다양한 상생 프로그램을 지속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상생노력을 바탕으로 SK텔레콤은 2024년 동반성장지수평가(동반성장위원회 주관)에서 12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김양섭 SK텔레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금번 대금 조기 지급이 중소 협력사들의 경영 안정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며 "SKT는 AI컴퍼니로 진화하는데 있어 중요한 동반자인 중소 비즈니스 협력사를 위한 다양한 상생 프로그램을 지속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1-19 14:17:34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삼성전자, '월 5900원' 뉴 갤럭시 AI 구독클럽 시작

삼성전자가 오는 24일부터 갤럭시 스마트폰을 구매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뉴(New) 갤럭시 인공지능(AI) 구독클럽'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공개하는 갤럭시 S시리즈부터 가입 가능하다. 이 서비스는 ▲기기 반납 시 최대 50% 잔존가 보장 ▲'삼성케어플러스 스마트폰 파손+' 제공 ▲모바일 액세서리 할인 등과 같은 혜택을 제공한다. '최대 50% 잔존가 보장' 혜택은 가입 고객이 12개월간 제품을 사용 후 반납하면 삼성닷컴 기준가의 50%, 24개월간 사용 후 반납하면 기준가의 40% 보장 혜택이 주어진다. '최대 50% 잔존가 보장' 혜택을 받게 되면 최신 갤럭시 스마트폰을 반값에 구매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가입 기간은 12개월과 24개월 중 선택할 수 있고, 월 구독료는 5900원이다. 제품 보상 기준도 대폭 완화했다. 전원 미작동, 외관상 파손, 계정 미삭제를 제외하면 흠집이 있는 단말기도 모두 반납 가능하고, 반납 후 신규 단말기 재구매 조건도 없다. '삼성케어플러스 스마트폰 파손+'는 ▲가입 기간 동안 파손 보상 ▲수리비 즉시 할인 ▲방문 수리 서비스 ▲배터리 교체 서비스와 같은 혜택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케이스, 배터리팩 등 정품 '모바일 액세서리 할인' 혜택도 제공한다. 임성택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은 소비자들이 부담 없는 가격으로 1년마다 최신 갤럭시 제품을 마음껏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한 서비스"라며 "가전에 이어 모바일 제품의 구매 패러다임도 변화시킬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으로 신제품을 가장 먼저 경험해 보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은 자급제 모델을 구매한 고객이 가입할 수 있으며, 삼성닷컴, 삼성스토어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독 신청할 수 있고, 이동통신사 모델은 삼성전자와 협업해 이동통신사 정책에 따라 운영될 예정이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1-19 14:16:01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LG U+, 대학생 앰배서더 '유쓰피릿' 15기 모집

LG유플러스는 Z세대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마케팅 활동을 펼치는 대학생 앰배서더 '유쓰피릿' 15기를 모집한다고 19일 밝혔다. 유쓰피릿은 Z세대를 대표하는 대학생들이 LG유플러스의 20대 전용브랜드인 '유쓰(Uth)'를 비롯해 다양한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고 외부에 알리는 대외활동 프로그램이다. '유쓰의 정신(spirit)으로 도전하는 20대'라는 의미를 담았으며,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모집 및 운영된다. 올해 선발된 유쓰피릿 15기는 ▲SNS 콘텐츠 제작 ▲국내외 디바이스 및 인공지능(AI) 기술 체험 ▲상품·서비스 자문 ▲20대 전용 브랜드인 '유쓰' 캠페인 ▲브랜드 모델 및 상품서비스 광고 출연 등 활동에 참여하며, 약 5개월간 LG유플러스의 대학생 앰배서더로 활약할 예정이다. 유쓰피릿은 국내외 대학 재학생과 휴학생, 유학생 등 인스타그램 공개 계정을 가진 20대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디지털 콘텐츠 기획·제작 역량을 보유하거나 마케팅·IT·테크에 관심이 많은 지원자는 선발 과정에서 우대받을 수 있다. 유쓰피릿 15기 모집 인원은 총 50명이다. 참여를 원하는 대학생은 다음달 2일까지 LG유플러스의 유쓰 공식 인스타그램 내 유쓰피릿 모집 게시글에 첨부된 온라인 지원서 링크를 통해 사전미션 과제물을 제출하면 된다. 유쓰피릿으로 선발된 대학생 전원에게는 매월 소정의 활동비와 콘텐츠 제작 교육, 브랜드 모델 참여 기회 등이 제공된다. LG유플러스는 대학생 앰배서더들이 크리에이터로 성장할 수 있도록 SNS 계정 전환 및 채널 운영 교육 등을 지원한다. 또한, AI 콘텐츠 전문 크리에이터의 멘토링을 통해 대학생 앰배서더의 AI 활용 역량도 강화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유쓰피릿 우수 활동자에게는 추후 LG유플러스 신입채용 지원 시 서류전형 면제 및 1차 면접 시 인성 영역에서 가산점을 부여하는 혜택이 주어진다. 활동이 종료된 후에는 앞서 유쓰피릿으로 활동했던 선배들과 함께 20대 자문단 활동에 참여할 수도 있다. 김다림 LG유플러스 IMC 담당은 "유쓰피릿은 Z세대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또래인 20대와 소통하는 대학생 참여 프로그램"이라며 "앞으로도 꾸준한 유쓰피릿 활동을 통해 고객의 소리를 청취하고 Z세대 고객의 눈높이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발굴하며 참여 대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5-01-19 14:10:28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함영주 회장, 베인캐피탈과 국내 투자 확대 위한 소통 나서

하나금융그룹이 글로벌 최상위 사모펀드 운용사인 베인캐피탈(Bain Capital)과 최고경영자 미팅을 가졌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베인캐피탈의 존 코노턴(John Connaughton) 글로벌 CEO와 데이비드 그로스(David Gross) 공동대표, 이정우 한국대표를 직접 만나 국내 투자 확대를 위한 전방위적 소통에 나섰다. 함 회장은 국내 경제의 굳건한 펀더멘탈과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또한, 대한민국 대표 금융그룹인 하나금융은 최근 불확실성이 확대된 국내 금융·외환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기업이 경제활동을 안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하나금융그룹과 베인캐피탈의 주요 경영진은 이번 미팅을 통해 ▲글로벌 거시경제 상황 ▲국내 신규투자 계획 ▲미래 신사업 전망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으며, 양사는 국내 투자 부문의 핵심 파트너로서 전략적 협업의 범위를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함영주 회장은 "베인캐피탈과의 우호적 관계를 바탕으로 국내 시장에서는 협업 사업을 한층 더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는 신규 비즈니스의 기회를 창출할 계획이다"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금융그룹으로서 양사의 시너지가 다방면에서 실현될 수 있도록 그룹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5-01-19 14:09:56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KT, AX시대 실무형 AI인재 양성 '에이블스쿨 7기' 모집

KT는 내달 10일까지 청년 디지털 인재 양성 프로그램 KT 에이블스쿨의 7기 교육생을 모집한다고 19일 밝혔다. 에이블스쿨은 KT와 정부가 함께 기업 실무형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고 인공지능(AI) 및 클라우드 분야 인재를 필요로 하는 기업의 일자리와 연계해 국가 디지털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이번 7기 교육은 산업계 수요에 맞춰 AI와 클라우드 과정 커리큘럼을 강화하고, AI 및 클라우드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과 제안 영역의 실무 역량을 갖추는 데 중점을 두고 진행된다. 이번에 모집하는 7기 신규 교육생은 3월 중순 입교해 약 6개월 간의 교육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34세 이하 미취업자 중 4년제 대학 6학기 이상 수료자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또 7기부터는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 뿐만 아니라 재학생들도 지원 가능하다. 특히 이번 7기 모집에서는 타 소프트웨어 인재양성 프로그램 수료자와 Java 사용자 대상으로 서류심사 및 코딩테스트에서 가점을 부여한다. 에이블스쿨 교육 수료 후 KT 채용에 지원할 경우 우수 수료생 우대 혜택도 주어진다. 에이블스쿨 교육생들은 교육 기간 총 840시간의 이론 및 실습 교육을 받으며 기업의 실전형 프로젝트 수행에도 참여하게 된다. 또 서울과 분당 등의 수도권을 비롯한 대전, 광주, 대구, 부산 등에 교육장을 마련해 운영 중이다. 교육은 전액 무상으로 제공되며 KT 현직 전문가들이 학습 방법 외에도 실무 현장에서 일하는 방식까지 직접 코칭한다. 교육생에게는 KT가 개발한 국가공인 인공지능자격증 AICE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분석기사를 비롯해 클라우드 등의 분야 자격증 취득 기회를 부여한다. 에이블스쿨은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K-디지털 트레이닝 해커톤'에서 네 차례 연속으로 대상을 수상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내며 국내 대표 디지털 인재양성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고충림 KT 인재실장 전무는 "KT 에이블스쿨을 통해 우리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실무형 인재를 지속 배출하며 대한민국의 AI 경쟁력과 저변 확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5-01-19 14:08:54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2025 공공기관 채용박람회’, 마지막 날에도 인파 몰려

"주변에 공기업 현직자가 없어 조언을 구하기 어려웠는데, 이번 박람회가 큰 도움이 됐다. 상담 중 궁금한 점들을 질문했을 때, 구체적인 답변을 주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지난 16일 서울 서초구 양재 aT센터 1, 2전시장 열린 '공공기관 채용박람회'는 대학생, 군인 등 청년 구직자들로 붐볐다. 이번 박람회는 역대 최초로 3일간 개최돼 구직자들의 참가 기회를 확대했으며, 143개 공공기관이 참여해 채용 정보와 취업 비결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며 공공기관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줬다. 1전시장(1층)에 위치한 공공기관 부스는 고용·보건·복지, 문화·예술·체육, 연구·교육, 외교·법무, 산업진흥·정보화, 금융 분야로 구성됐으며, 분야별로 색깔로 구분돼 참가자들이 쉽게 찾을 수 있었다. 2전시장(3층)에 위치한 공공기관 부스는 에너지, 농림·수산·환경, 사회간접자본(SOC) 분야로 구성됐고, 메인 무대에서는 기관별 공개 모의면접이 진행돼 많은 관심을 끌었다. 강원랜드 부스에서 상담을 받은 A씨는 "형식적인 내용이 아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조언을 들을 수 있어 박람회에 오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인터넷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한정적인데, 직접 박람회에 참가해 기관 설명과 채용 관련 새로운 정보를 많이 알게 돼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강조했다. 강원랜드는 상담부스를 운영하며 취업준비생들에게 직무별 주요 업무와 채용 프로세스를 설명하고, 인재상, 인사제도, 복리후생 등 다양한 회사 정보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특히, 카지노, 호텔, 사무행정 등 직무별 신입 직원들이 직접 멘토링 상담을 진행하며 최신 채용 트렌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필기시험, 면접 전형 등 공공기관 취업 성공을 위한 실전 경험과 노하우를 전달했다. 또한, 테이블 게임 시연을 통해 강원랜드의 상징이자 '관광산업의 꽃'으로 불리는 카지노 딜러 직무를 생생하게 선보이며 참가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기관별 채용설명회와 인성검사 체험 등 기존 인기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고졸 채용 전용 상담 부스, 리버스 공개 모의면접, 인공지능(AI) 면접 체험관 등 구직자들의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입장권 팔찌에 인쇄된 QR코드를 통해 박람회장 내 참여 기관 부스의 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채용 정보 안내책자에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참가자들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군복을 입고 박람회에 참가한 B씨는 전역 후 희망 직군에서 기간제 근무나 인턴으로 경력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자소서나 면접 준비가 부족해 박람회 참가를 고민했지만, 결과적으로 매우 좋은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또한, 부스 내에 비치된 QR코드를 통해 상담 예약을 하면 대기 현황을 확인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동선을 관리할 수 있었다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정부는 청년층을 비롯한 고용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며, 올해 공공기관 신규채용을 2만4000명 이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공공기관 청년인턴 채용은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인 2만1000명으로 계획됐으며, 특히 청년들의 수요가 많은 6개월 인턴은 1만2000명, 채용형 인턴은 4000명으로 확대해 정규직 채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징검다리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5-01-19 14:02:49 김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