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
기사사진
레이디가가부터 비욘세까지…'슈퍼볼' 하프타임쇼, 최고·최악의 주인공은 누구?

제51회 미국 프로풋볼(NFL) 챔피언 결정전 슈퍼볼이 화려한 막을 내렸다. 뉴잉글랜드 패트리어츠의 드라마틱한 역전승은 전 미국을 들끓게하기 충분했다. 그러나 매년 본경기 만큼 화제를 모으는 슈퍼볼의 명물 '하프타임' 공연 또한 빼놓을 수 없다. 슈퍼볼의 하이라이트로 꼽히는 하프타임 쇼는 단순히 전후반 사이 틈을 채우는 소모적 요소로 치부되지 않는다. 공연 자체가 하나의 '작품'으로 평가 받기 때문이다. 매년 당대 최고의 슈퍼스타들이 하프타임 쇼를 책임지는 만큼, 올해의 주인공은 누가 될 것인지도 하나의 화제거리다. 올해 하프타임을 장식한 주인공은 바로 팝스타 레이디 가가였다. 이날 약 13분간 펼쳐진 그의 공연은 경기 평균 시청률 48.8%(이하 닐슨 기준)을 뛰어 넘는 50.0%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무엇보다 최고의 하프타임 공연 중 하나로 꼽히며 화제를 모으고 있는 상황. 이에 가장 많이 회자되고 있는 하프타임 쇼를 정리해봤다.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 1993년 제27회 슈퍼볼 하프타임을 채운 주인공은 바로 '팝의 황제' 마이클 잭슨이었다. 그는 역대 하프타임 공연 주인공 중 최초로 무대 아래에서 위로 솟아오르는 등장 방식을 택하며 색다른 무대를 선사했다. 수많은 명곡도 한 몫했다. 당시 마이클 잭슨은 'Jam' 'Billie Jean' 'Black or White' 등 주옥 같은 명곡을 선사했고, 여기에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인 문워크 등 퍼포먼스를 더해 압도적인 존재감을 자랑했다. LA지역 어린이 합창단 3500명과 함께 장식한 마지막 무대도 명장면으로 꼽힌다. 그는 합창단과 함께 'Heal the World'를 함께 공연하며 1990년대 미국인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했다. #U2 U2는 지난 2002년 제36회 슈퍼볼 하프타임 무대에 올랐다. 당시 미국은 전년 발생한 9.11 테러로 인해 침체돼 있었다. U2는 테러 후 처음 열린 슈퍼볼 하프타임 쇼를 서사적인 정서로 가득 채우며 미국인들의 마음을 어루만졌다. U2는 당시 'Beautiful Day' 'Where the Street Have No Name' 'MLK'를 연주했고, 'Where the Street Have No Name'의 가사 일부를 9.11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내용으로 변경해 불렀다. 아울러 보컬 보노는 재킷 안 쪽에 그려진 성조기를 드러내 보이며 애국심을 자극하기도 했다. 이에 슈퍼볼 역사상 가장 슬픈 공연이자, 가장 의미 있는 공연으로 회자되고 있다. #비욘세 비욘세가 지난 2013년 등장했던 제47회 슈퍼볼 하프타임 공연은 마이클 잭슨, 프린스의 무대와 함께 슈퍼볼 역대 'TOP3' 공연으로 회자되고 있다. 약 1억 400만 명이 지켜본 이 쇼에서 비욘세는 데스트니 차일드 시절 함께 했던 켈리 로우랜드, 미셸 윌리엄스와 함께 공연을 펼쳤다. 이날 블랙 가죽 코르셋을 입고 무대에 오른 그는 'Crazy in Love'로 무대의 포문을 연 뒤, 'End of Time' 'Baby Boy', 'Bootylicious', 'Independent Woman', 'Single Ladies' 등 주옥 같은 명곡들을 열창했다. 당시 그는 오바마 대통령의 두 번째 취임식 축하무대에서 립싱크 논란에 휩싸이며 몸살을 앓고 있던 상황. 그러나 하프타임 공연 이후 논란은 씻은 듯 사라졌다. #자넷 잭슨&저스틴 팀버레이크 최고의 공연이 있었다면 최악의 공연도 있다. 마이클 잭슨의 동생 자넷 잭슨이 그 주인공이다. 잭슨은 2004년 제38회 슈퍼볼에 그룹 엔싱크 출신 저스틴 팀버레이크와 컬래버레이션 공연을 펼쳤다. 당시 'Rock your body'를 열창하던 중 팀버레이크가 잭슨의 상의를 잡아당겼고, 결국 잭슨의 가슴이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노출은 약 9초간 전파를 탔다. USA 투데이 등은 이 사건을 두고 "슈퍼볼 역사상 필드 안팎으로 가장 유명한 순간"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이후 슈퍼볼 생중계는 지연 중계로 바뀌었다. 이 밖에도 에어로 스미스, 브리트니 스피어스, N'Sync, 넬리& 메리 J. 블러지 등 역대 가장 많은 스타가 무대에 올랐던 제35회, 브루노마스와 레드 핫 칠리 페퍼스가 무대를 펼친 제48회 등이 있으며 폴 매카트니, 마돈나, 케이티 페리, 프린스 등 수많은 스타들이 하프타임 쇼의 주인공으로 무대에 올랐다.

2017-02-07 15:28:34 김민서 기자
남산예술센터, 사회의 날선 화두 동시대 연극으로 다룬다

남산예술센터, 사회의 날선 화두 동시대 연극으로 다룬다 민간극단과 협업 시스템 강화…올해 시즌 프로그램 10편 공개 남산예술센터가 한국사회의 날선 화두를 정면으로 다룬다. 남산예술센터는 7일 오후 서울문화재단에서 주철환 대표이사를 포함해 시즌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연출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올해의 시즌 프로그램 10편을 공개했다 주 대표는 이날 "지난해 남산예술센터는 동아연극상을 비롯해 많은 평단의 호평을 받았고, 극장을 찾는 관객수도 많이 증가했다. 이는 동시대 주제를 작품 속에 녹여 많은 공감을 이끌어낸 거라 생각한다"며 "올해도 지난해에 이어 동시대성을 담은 작품을 발굴해 관객분께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선보이는 작품들은 예술 검열, 블랙리스트, 예술계 성폭력, 사회적 소수자, 전체주의, 박정희 등 한국사회와 문화예술계를 둘러싼 날선 사회적 화두를 다룬다. 먼저 눈여겨봐야할 두 작품은 지난해 선보인 초연작 ▲모든 군인은 불쌍하다(연출 박근형)와 ▲파란나라(연출 김수정)다. 두 작품의 재공연 이유는 작품이 갖고 있는 주제가 2017년 현대 한국사회에서도 여전히 유용하다는 것이다. '모든 군인은 불쌍하다'는 월간 한국연극 '2016 연극 베스트 7', 제53회 동아연극상 작품상과 시청각디자인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각기 다른 시공간에서 벌어지는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국가와 전쟁의 거대한 담론 아래 실종된 '국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또 다른 작품 '파란나라'는 학교 폭력을 전체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작품이다. 많은 청소년이 주체적인 삶을 살겠다고 목소리를 내는 요즘, 실제 고등학생이 작품에 참여해 현대사회가 강요하는 질서와 집단주의의 모순에 돌직구를 날린다. 남산예술센터는 두 편의 대학로 소극장 작품을 남산예술센터로 옮겨오는 것을 시작해 젊은 창작자들의 활동이 지속될 수 있게 적극적으로 힘을 싣는다. 올 시즌 프로그램의 문을 여는 ▲2017 이반검열(연출 이연주)은 지난해 '이반검열'을 확대한 작품이며 ▲창조경제 공공극장편(연출 전윤환)은 2015년 혜화동 1번지 6기동인 가을페스티벌 '상업극'에서 주목받은 작품을 확대한 버전이다. 우연 남산예술센터 극장장은 "지난해는 민간극단과 현장 예술가들의 자생적인 작품 생산이 두드러졌던 한해"라며 "젊은 연극인들과 극단에 존경을 표하며, 올해는 더욱 협업과 연대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공공극장은 과연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해 많은 반성과 성찰을 했다. 젊은 작가와 연출들과 움직임을 같이 하는 것은 상당히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청년 예술가의 생존에 대해 함께 고민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시즌 프로그램에 창작초연으로 선보이는 작품들은 주제와 형식 측면에서 '동시대성'에 집중했다. ▲가해자 탐구-부록:사과문 작성 가이드(연출 구자혜) ▲국부(연출 전인철) ▲에어콘 없는 방(연출 고영범) 등 세 편이다. 각각의 작품은 예술계 화두에 올랐던 성폭력 문제와 우리사회를 여전히 지배하고 있는 남북의 국가적 우상, 현대사 속 난파된 디아스포라 인생을 다룬다. 이밖에 ▲천사(가제/연출 서현석) ▲십년만 부탁합니다(연출 이주요, 김현진) ▲당신도 알지 못하나이다(연출 박해성) 등 기존 서사구조를 벗어나 동시대 현대연극의 확장성을 보여주는 작품들도 만날 수 있다. 끝으로 우연 남산예술센터 극장장은 "연극이라는 장르를 통해 한국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화두를 다룸으로써 동시대 공공극장의 역할을 충실히 할 것"이라고 전했다. 시즌 프로그램들은 남산예술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7-02-07 15:15:02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김준수 입대 전 무슨 난리? 제주토스카나호텔 매각 논란

김준수가 9일 입대를 앞두고 호텔 매각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7일 제주 한라일보에 따르면 지난 2014년 제주투자진흥지구로 지정된 가수 김준수 소유의 제주토스카나호텔이 최근 매각됐다. 그동안 제주토스카나호텔은 투자진흥지구 지정으로 법인세 3년간 100% 면제, 2년간 50% 감면, 취득세 100% 감면, 재산세 10년간 100% 감면, 농지전용부담금 50% 감면, 대체산림자원조성비 50% 감면, 하수도원인자부담금 50% 감면 등의 혜택을 받았다. 하지만 해당 일보 취재결과 제주토스카나호텔은 지난달 2일 매매가 이뤄져 부산 소재 모회사로 소유권이 이전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각종 세금 감면 혜택만 챙긴 뒤 프리미엄을 붙여 만 2년여 만에 팔아넘기면서 투자진흥지구를 등에 업은 먹튀 논란의 선상에 놓이게 됐다. 호텔측은 90억 원 가량의 부채와 함께 이자도 제대로 내지 못하는 등 경영 압박에 결국 매각 수순을 밟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 노컷 뉴스에 따르면 제주도는 조만간 종합계획심의위원회를 열고, 토스카나 소유자가 김준수일때 투자진흥지구로 지정한 만큼 소유자가 바뀌면 투자진흥지구 지정기준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보고 투자진흥지구 해제절차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투자진흥지구가 해제되면 감면 혜택을 받았던 취득세와 재산세, 법인세 등은 모두 반환해야 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김준수는 오는 9일 충남 논산훈련소로 입소해 의경 생활을 시작할 예정이다.

2017-02-07 13:56:00 신정원 기자
기사사진
손학규 국민의당 통합, 썰전 유시민 '정계 복귀' 예언 재조명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이 국민의당과 조건없는 통합을 선언한 가운데 유시민 작가의 과거 발언이 새삼 눈길을 끈다. 유시민 작가는 지난해 3월 방송된 JTBC '썰전'에서 '손학규 전 의원 정계 복귀 신호탄?'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당시 유시민 작가는 "(손학규 의장) 은퇴한 게 아니다. 은퇴하면 나처럼 아파트에 산다"며 "강진에 토굴 오래된 기와집에 산다고 하더라"라고 언급했다. 이어 "사모님도 계시고 연세도 많은데 왜 불편한데 가서 사냐"며 "정계를 은퇴했다면 좋은 이미지 만들 필요없다. 평범한 시민으로 자유롭게 살면 된다"고 생각했다. 또 "지방에 내려가 그렇게 산다는 것 자체가 언제든 다시 정계로 돌아오기 위한 포석"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은 7일 오전 11시 국회 정론관에서 국민의당과의 통합을 공식 선언했다. 이날 통합선언에 대해 "개혁세력을 하나로 모아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을 건설하기 위해서이다"며 "무능하고 어리석은 대통령이 나라를 절단내기까지 여야 기득권 정치세력은 한없이 무기력하고 무책임했지만, 국민은 위대한 시민혁명을 시작했다. 이제 국민은 정치권에 시민혁명을 완수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고 밝혔

2017-02-07 13:33:08 신정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