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가계부채 시달리는 시민 3만여명 도와
최근 3년간 채무조정 서비스를 받은 서울 시민 3224명 중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이하인 이들의 비율이 9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복지재단 내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센터)는 2013년 7월 개소 후 시민 3만여명에게 10만704건(지난달 말 기준)의 상담을 실시했다고 23일 밝혔다.
센터는 금융 관련 어려움을 겪는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가계부채 확대 예방(재무상담, 금융교육) ▲가계부채 규모 관리(채무조정 서비스 제공) ▲금융복지서비스 연계 등을 지원한다.
금융 상담 유형은 개인파산이 6만8018건(67.5%)으로 가장 많았다. 개인회생 7636건(7.6%), 워크아웃 4621건(4.6%), 금융복지서비스 연계 2292건(2.3%), 재무설계 1785건(1.8%) 순이었다.
채무조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5379명은 개인파산면책(5166명)과 개인회생(213명)의 형식으로 센터의 지원을 받았다.
특히 2016년부터 3년간 채무조정 서비스를 받은 3224명 중 월평균 소득이 100만원 이하라고 밝힌 시민의 비율은 90%에 육박했다. 센터는 "도저히 빚을 갚을 수 없는 한계상황에 다다른 시민이 채무 조정상담을 요청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부채발생 사유로는 주거·의료·교육비 등의 지출로 인한 생활비 마련(45.56%) 비중이 가장 높았다. 사업자금 마련(29.18%), 보증채무(9.05%)가 뒤를 이었다.
센터의 지원으로 이뤄진 채무조정신청액은 올해 4월 말 기준 1조2812억원을 돌파했다. 센터는 채무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금융복지상담관을 통해 신청서 작성을 안내한다. 대한법률구조공단이나 변호사에게 채무조정 신청서를 제출할 때 동행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채무독촉에 시달리는 신청자를 위해 채무자대리인제도도 운영 중이다. 채무자대리인제도는 채무자를 보호하기 위해 변호사를 선임해 추심을 대신하는 제도다.
상담 희망자는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현재 성동, 마포, 도봉, 금천, 영등포, 양천, 송파, 중랑, 구로, 성북, 관악, 노원센터 등 14개 지역센터가 설치돼 있다.
박정만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 센터장은 "악성부채는 마치 '암'과도 같아 사회와 가정 곳곳을 병들게 한다"며 "부채 문제를 복지적 해법으로 접근한 서울의 혁신이 전국으로 확대되는 추세 속에서 더 이상 빚을 목숨으로 갚는 시민이 없도록 가계부채 비상구로서 소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