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승용
기사사진
IBK기업은행, '2024 더 아트프라자 : 워키토키 by IBK' 개막

IBK기업은행은 오는 11월 3일까지 신진작가의 창작 및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한 대안적 아트 페스티벌 '2024 더 아트프라자 : 워키토키 by IBK(이하, 더 아트프라자)'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올해 3회째를 맞이한 '더 아트프라자'는 기업은행 본점, 기업은행 본점 인근 선큰가든 및 지하아케이드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입장료, 참가비, 수수료가 없는 3무(無) 시각예술 축제이다. 특히 이번 행사는 신진작가를 지원하기 위해 ▲작품 수익 전액 작가지급 ▲아티스트 토크 및 멘토링 운영 ▲전문도슨트 상시 운영 ▲을지로 소재 갤러리 연계 전시 등을 추진했다. 또한 더욱 풍성한 축제를 만들기 위해 ▲을지로 소상공인이 참여하는 TAP 마켓 ▲문화강연(김창옥 대표, 양정무 교수, 정우철 도슨트, 이소영 작가) ▲음악공연(타이거디스코, 지소쿠리 클럽, 박문치, 데이브레이크) ▲체험형 프로그램·이벤트 등도 마련했다. 이 밖에도 IBK카드(신용·체크)로 전시작품을 구입하는 고객에게는 건당 50만원 이상 결제 시 5% 현장 할인(최대 5만원) 및 6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한다. 행사에 참여하는 소상공인을 위해 모바일 POS앱 'IBK BOX POS'도 지원할 예정이다. 김성태 은행장은 개막식 행사에서 "이번 더 아트프라자가 시민 누구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되도록 정성껏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문화예술계 발전을 지원하고 지역 상권과도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등 기업시민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4-10-30 15:47:30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농협금융, 3분기 누적 순이익 2조3151억…'역대 최대'

농협금융지주가 올 3분기 누적 순이익 2조3151억원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3분기 누적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3분기 누적 기준 이익을 항목별로 보면 이자이익은 순이자마진(NIM) 하락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비이자이익이 개선됐다. 이자이익은 6조408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조3554억원) 대비 0.8% 늘었다. 3분기 NIM은 1.91%로 지난해 3분기(1.96%)와 전 분기(1.96%)보다 하락했다. 은행 NIM 역시 1.77%로, 지난해 3분기(1.82%)와 전 분기(1.83%)보다 축소됐다.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1조3932억원) 대비 11.7% 증가한 1조5563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비이자이익 중 수수료이익(1조3392억원)이 6.6%, 유가증권운용이익(1조846억원)이 10.7% 늘었다.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수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각각 0.64%, 10.09%로 전 분기보다 0.09%포인트(p), 1.48%p씩 하락했다. 자산 건전성 지표도 나빠지면서 3분기 기준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64%로, 전년 동기(0.49%)와 전 분기(0.59%)보다 높아졌다.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은 6813억원, 충당금적립률은 176.99%를 기록했다. 주요 자회사 실적을 살펴보면 농협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조6561억원을 시현했다. 은행의 신용손실충당금전입액은 5262억원, 대손충당금적립률은 215.38%, 고정이하여신비율 0.48%를 기록했다. BIS비율은 18.64%로 전분기 대비 0.01%p 하락했다. NH투자증권의 당기순이익은 5766억원, 농협생명 2478억원, 농협손해보험 1518억원, 농협캐피탈 709억원이다. 농협금융지주 관계자는 "올 4분기 이후에도 국내외 경제금융환경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사고예방과 리스크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주요 지표를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 나감으로써 지방소멸 위기 등으로 점점 어려워지는 농업·농촌을 지원하고 미래를 위한 성장기반 안정화를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4-10-29 17:09:24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고팍스 존폐여부’…바이낸스-메가존 매각협상 난항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인 고팍스가 매각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어 가상자산사업 지속여부가 불투명해지고 있다. 이른바 '고파이' 사태로 인해 부채만 1000억원이 넘는 상황에서 채권단과의 협상이 결렬되자 바이낸스와 메가존 간의 매각협상도 어려워지고 있다. 29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고팍스는 지난 24일 가상자산사업자(VASP) 자격 변경 신고를 위해 관련 서류를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제출했다. 금융당국은 바이낸스의 지분율을 10% 미만으로 낮출 것을 신고 수리 조건으로 제시했지만 지난 24일이 마감 기한이었던 탓에 충족하지 못하고 서류 제출부터 마쳤다. 현재 고팍스의 지분 67.45%를 보유하고 있는 바이낸스는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메가존'에게 지분 매각(58% 이상)을 진행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바이낸스의 대주주 적격 문제를 지적하며 1년 넘게 답보 상태에서 메가존이 바이낸스 지분 인수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면서 지난 7월 투자확인서(LOC)를 작성했다. 다만 바이낸스와 메가존은 지난 6월부터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약 5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제자리걸음이다. 고팍스의 '고파이' 부채 때문이다. 고파이는 고팍스 회원들이 보유한 코인을 일정 기간 동안 고팍스에 예치하고 이자를 받는 상품이다. 지난 2022년 11월 FTX 거래소의 파산 영향으로 출금 정지를 당해 이용자들의 돈이 묶였다. 고파이 사태로 인한 고팍스의 부채규모는 566억원(2022년 말 기준)이지만 이는 당시 가상화폐 가격을 반영해 산정된 것으로 현재 부채규모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그 당시 비트코인은 2800만원대로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9900만원이 넘고 있다. 고팍스 측은 지난달 30일 고파이 합의 계약 동의 요청서를 채권단에게 전달했고 고파이 예치 잔액을 2023년 1월20일 기준 가상자산 시세로 지급 동의를 요청했다. 고팍스가 제안한 기준점인 작년 1월20일 당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1개당 가격은 각각 2806만8000원, 205만6000원이다. 채권단 측에서 동의를 하게 될 경우 투자금을 통해 빚을 모두 상환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채권단은 고팍스의 요청안을 거절한다고 밝힌 상태다. 고팍스가 고파이 투자자들로부터 동의를 받지 못한다면 인수 협상이 결렬될 수 있다. 나아가 금융당국이 제시한 '대주주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서 갱신신고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고팍스는 더 이상 국내에서 가상자산사업자로 영업을 할 수 없게 되면서 영업종료를 하게 된다. 가상자산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그림자 규제를 통해 바이낸스의 국내진입을 막지 않았다면 고팍스가 영업종료까지 생각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영업종료를 하게 될 경우 고파이투자자와 기업투자자들 역시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남은기간 고팍스와 채권단의 협상 타결 가능성이 낮아 고팍스 역시 난감한 상황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4-10-29 16:17:06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서금원, 지역 소상공인·주민 대상 ‘금융 캠페인’

서민금융진흥원(서금원)은 서민금융 사칭, 불법고금리 대출 등 불법사금융 피해를 예방하고, 안전한 정책서민금융지원제도와 채무자대리인제도를 알리는 '불법사(私)금융, 불행사(死)금융 캠페인'을 펼쳤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광주북구청, 금융감독원, 광주북부경찰서 등 지역 유관기관 및 단체와 협업하여 광주 말바우시장 일대에서 진행됐다. 서금원은 불법사금융에 대한 소비자 경각심을 제고하기 위해 지역 현장을 직접 찾아가 불법사금융 피해 예방 캠페인을 실시하고 있으며 올해는 부산, 대구, 김포, 춘천 등에서 캠페인을 총 13회 개최했다. 이와 함께 서금원은 불법사금융 근절을 위해 홈페이지 내에 '서민금융 사칭 신고센터'와 '불법대부광고 전화번호 신고'를 운영하고, 불법 대부광고로 신고된 전화번호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이용중지 요청하고 있다. 또한,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협업하여 서민금융 사칭 문자를 사전차단하고 서민금융콜센터를 도용하지 못하도록 변작방지 시스템을 활용하는 등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업하고 있다. 이달부터는 불법사금융 발생 정도를 국민들에게 알려드리기 위하여 실시간 '불법사금융 피해발생 예방 위기경보 시스템'을 운영해 서금원 홈페이지에 위험단계(정상, 주의, 경계, 심각)를 발표하는 등 불법사금융 예방을 위해 다양한 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재연 원장은 "이번 캠페인을 통해 누구나 불법사금융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생생하게 느껴 불법사금융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서금원은 앞으로도 지자체 및 유관기관과 협력해 불법사금융 피해 예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4-10-29 16:12:20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은행권, 자영업자·소상공인에 이자 1조4768억 환급

은행연합회가 은행권 민생금융지원방안인 자영업자·소상공인 이자 환급 프로그램 집행실적을 29일 공시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은행권은 이달 말까지 개인사업자가 납부한 이자에 대한 환급으로 총 1조4768억원을 집행했다. 전체 이자환급 예상액 1조5035억원의 98.2% 비중이다. 3분기 중 납부한 개인사업자대출 이자에 대한 환급(4차 환급) 실적은 214억원으로 10월말까지 지급됐다. 앞서 3차례 환급 관련 누적 집행실적은 총 1조4554억원이다. 은행별 이자 환급 집행실적은 ▲KB국민 2883억원 ▲NH농협 2164억원 ▲하나 1992억원 ▲신한 1904억원 ▲우리 1828억원 ▲기업 1811억원 ▲부산 520억원 ▲iM 432억원 ▲경남 301억원 ▲수협 212억원 ▲전북 179억원 ▲광주 168억원 ▲카카오뱅크 153억원 ▲SC제일 103억원 ▲한국씨티 55억원 ▲케이뱅크 38억원 ▲제주 18억원 등이다. 인터넷은행 중에서는 카카오뱅크가 153억1000만원의 이자를 환급했다. 토스뱅크는 지난해 당기순손실로 은행권 민생금융지원방안 참여 은행은 아니지만 자율적으로 환급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4분기 납부이자에 대한 환급은 내년 1월 중 시행된다. 해당 실적은 내년 1월 말에 공시될 예정이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4-10-29 16:08:36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우리銀, 포스코이앤씨와 자산가 특화서비스 MOU

우리은행은 지난 28일 포스코 건설계열 포스코이앤씨와 고액자산가 특화서비스 확대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프리미엄 주거와 1:1 맞춤 금융서비스를 통합해 고객들에게 맞춤형 복합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포스코이앤씨의 하이앤드 주거 브랜드'오티에르(HAUTERRE)'고객에게 투자세미나, 특화 채널 연계 상담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포스코이앤씨는 우리은행의 자산관리 서비스 브랜드'투체어스(TWO CHAIRS)'고객에게 더샵갤러리, 분양관 등을 통해 프리미엄 주거환경 초청세미나를 제공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고액 자산가 고객에게 공동 마케팅, 특별 이벤트 등을 지속 제공한다. 금융업과 건설업 간 제휴라는 점을 활용해 차별화된 서비스로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이종산업 간의 제휴로 양사의 시너지를 더욱 강화하고, 고객에게 한 차원 더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와의 제휴를 통해 고액자산가 대상 특화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4-10-29 10:18:49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