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도식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2025년 03월 27일 목요일

[오늘의 운세] 2025년 03월 27일 목요일 [쥐띠] 36년 친구가 어려운 처지에 있을 때 모르는척하지 않도록. 48년 공부는 방패와 성 같은 물산. 60년 재주가 화려했으나 뜻을 펼치지 못한 아쉬움. 72년 꿈속에서 황금을 얻었다면. 84년 내일 일을 미리 계획해두자. [소띠] 37년 사고는 예기치 않게 오니 미리 보험을 들도록. 49년 따오기를 그리려다 집오리를 그리는 격. 61년 남의 비위를 맞추려니 자신의 책임. 73년 집을 지으려면 기본설계에 충실. 85년 이루지 못한 꿈은 늘 아쉽다. [호랑이띠] 38년 잊을 수 없을 만큼 그리운 사람이 생각. 50년 한사람에게만 많은 장점을 주지 않는다. 62년 주변에 마음을 터놓고 대화 방향을 찾아보자. 74년 종일 외로운 나그네 신세. 86년 부모님의 생전에 가르침에 감사. [토끼띠] 39년 조상님의 재산이 많더라도 없어질 때를 대비해야. 51년 사소한 일에 꼭 대들지 마라. 63년 나이 들수록 지출은 많아진다. 75년 머리와 꼬리 없는 생선만 낚는다. 87년 미인박명이니 지금부터라도 모아놓도록. [용띠] 40년 산란하게 하니 일찍 귀가. 52년 뼛속 깊이 사무친 원수를 만나는 날. 64년 자식에게 거절만이 능사는 아닌데 방법이 없다. 76년 보험이 무엇보다 효자 노릇을 한다. 88년 흔한 지식을 소중히만 여기지 않도록. [뱀띠] 41년 집 없는 거지가 하늘을 동정하는 격. 53년 새벽부터 상승세니 오늘은 결과를 얻는다. 65년 부자는 가족이 한마음 한뜻이 되는 데서. 77년 그린벨트가 해지되니 횡재운. 89년 억지 부리지 말고 말머리를 돌려라. [말띠] 42년 상관없는 일에 참견 말고 물건 정리하여 재고 파악할 것. 54년 신발 끈을 튼튼히 매고 출발할 것. 66년 죽느냐 사느냐에서 살게 된다. 78년 어느 시대나 세대 차이는 있어왔다. 90년 사직서는 쓰지 말고 출근하라. [양띠] 43년 강아지도 사람 키우는 만큼 애정이 있어야 한다. 55년 업무의 요점을 정리하여 효율을 높여보라. 67년 무슨 일을 하려 해도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다. 79년 부모공경이 대를 이으니 감사. 91년 이득이 덩굴째 온다. [원숭이띠] 44년 조건이나 이치에 맞는 계약인지 살펴라. 56년 조직에서 젊을수록 겸손히. 68년 보람 없이 헛되게 나이 먹은 것이 아니다. 80년 목이 말라도 샘물을 몰래 마시지 않는 정직함. 92년 진퇴양난 속수무책을 헤쳐 나가야. [닭띠] 45년 오후는 한가롭다. 57년 달콤한 말로 하는 협상은 넘어가지 않도록 해야. 69년 농으로 한 말이 진실로 한 말 같으니 말조심. 81년 적금 타듯 목돈이 들어온다. 93년 나이 들어 이혼은 신중히 현재 부인은 어진 아내이다. [개띠] 46년 인생은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오. 58년 어제 일을 시작하자. 70년 촌수가 먼 친척이 와서 안부를 묻는다. 82년 계획을 세워 일을 추진해나가는 것을 경영이라 하는데. 94년 평생 미련해서 유통성이 없어 한숨. [돼지띠] 47년 건강한 신체를. 59년 용모가 너무 아름다우면 명이 짧다 했으니 성형주의. 71년 입은 은혜가 생각나지만 갚을 길이 없다. 83년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진다. 95년 객지에서 고향 생각에 밤을 지새우는 신세가 되니.

2025-03-27 04:00:1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남 탓 말기

주말에 광화문이며 용산, 여의도가 양단으로 나뉘어 시위가 일상이 되었다. 외출할 일이 있어 택시를 탔는데 토요일에는 차도 많지만, 하지만 시위 인파로 인해 마포와 여의도를 지나가야 하는 도로는 그야말로 어려움 그 자체였다. 여의도 안에 있는 백화점 쪽에서는 백화점에 나오고 들어가는 차로 인해 그야말로 혼잡이 극심했다. 필자가 더 견디기 힘들었던 것은 막히는 도로보다도 택시기사의 끊임없는 짜증 섞인 불평이었다. 차가 막혀서 택시미터가 자꾸 올라가니 조바심을 내는 쪽은 오히려 승객인 필자여야 함에도 말이다. 그 목소리에 가득 찬 부정의 탁한 에너지에 오히려 필자의 마음이 더 불편한 것을 그 기사분은 조금도 헤아리지 못함이 분명했다. 그래서 기사분께 좀 막혀도 괜찮으니 너무 서두르지 마시라고 해도 거의 쉼도 없이 계속 낮은 톤의 혼잣말 같지 않은, 다른 차가 좀 끼어들거나 하면 더더욱 입에 밴 짜증의 불평이 계속되었다. 참으로 묻고 싶다. 여러분! 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불평을 하면 일이 풀립니까? 분명한 것은 불평이나 불만은 부정의 힘을 불러모은다. 암흑은 어두움을 기운으로 삼는다. 불평불만 짜증 같은 부정적인 말은 바로 부정적인 에너지의 재료가 된다. 말이 씨가 되는 극명한 예가 바로 이것이다. 석가모니가 열반에 드시고 난 후 약 삼백 년 후 부파불교 시대가 열리는데, 그 당시 가장 세력이 컸다고 여겨지는 설일체유부에서 붓다가 말씀한 업사상을 발전시켜 업감연기설(業感緣起說)을 설파했다. 중생의 생사유전(生死流轉)이 모두 자신의 업으로 말미암은 것이라고 하는 주장이다. 업(業)은 입으로 몸으로 생각으로 짓는 모든 것이 업이다. 쉽게 말하면 욕하는 입은 욕 먹고 욕 받을 일밖에 없다는 것이다.

2025-03-27 04:00:16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동원그룹, 김세훈 대표이사 선임 "기술경영 본격화·신사업 발굴 박차"

동원그룹이 기술과 전문성에 방점을 둔 대표이사 임원인사를 단행했다고 26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동원산업 지주부문 신임 대표이사로 김세훈 총괄임원을 선임했다. 김 신임 대표는 1995년 동원그룹에 입사해 30년 간 근무해온 재무회계·전략기획 전문가다. 김 신임 대표는 입사 이후 기획관리·재경 부서를 두루 거쳤으며, 직전까지 지주부문의 총괄임원으로 무상증자와 유통 주식수 확대 등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프로젝트 등을 진두지휘했다. 이와 함께 동원그룹은 창사 56년 만에 처음으로 기술부문을 신설하고,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장인성 종합기술원장을 발탁했다. 기술 전문가를 전진 배치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장 기술부문 대표는 베를린공과대학 기계공학 박사 출신으로 독일 지멘스 연구원, 현대자동차 생산기술센터장을 거쳐 지난 2022년에 동원그룹에 합류했다. 이후 그룹 내 종합기술원장 겸 최고기술책임자를 맡아 국내 최초의 완전 자동화 항만인 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DGT)의 개항과 AI를 접목한 어군 탐지 드론 개발,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냉동공조 설비 구축 사업 등을 총괄했다. 앞으로 동원그룹의 설비 자동화와 선진화 등 기술 기반 경영을 총지휘하는 역할을 맡는다. 앞서 내정된 박상진 사업부문 대표는 1998년부터 동원그룹의 주요 부서를 두루 역임한 해양수산 전문가로, 동원산업 선박의 현대화와 지속가능한 어업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로써 동원그룹 지주사는 지주부문과 사업부문, 기술부문 대표가 그룹의 핵심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해 힘을 모을 계획이다. 한편, 기존 지주부문 대표였던 박문서 부회장은 미래성장위원회의 수장을 맡아 그룹의 M&A를 비롯한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주력할 예정이다. 동원그룹은 사외이사 선임에도 '기술'이라는 키워드를 접목시켰다. 동원산업은 한국 공학계의 구루이자 국산 엔진의 선구자인 이현순 중앙대 이사장(전 현대자동차 부회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이 사외이사는 현대차에서 한국 최초의 독자 기술 엔진인 '알파엔진'을 개발했다. 두산그룹에서도 최고기술책임자로서 로봇과 드론 개발 등 기술혁신 업무를 담당했다. 이와 함께 2차전지 소재, 패키지 등을 생산하는 계열사 동원시스템즈는 정경민 UNIST(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를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정 교수는 리튬이온전지, 리튬메탈전지, 전고체전지 등 배터리 분야의 권위자이다. 동원시스템즈는 향후 기술과 전문성을 사업 전반에 접목시켜 2차전지 사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동원시스템즈는 지난해 말 LG에너지솔루션 출신의 정용욱 대표, 듀폰코리아 출신의 신동만 총괄임원을 영입하는 등 전문성과 경험을 두루 갖춘 경영진을 구성해 신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동원그룹 관계자는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의 시대에 내실경영을 강화하는 동시에 기술과 전문성을 갖춘 경영진을 전면에 배치했다"며, "하이테크를 접목시킨 2차전지소재·스마트항만·육상연어양식 등을 중심으로 미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

2025-03-26 23:45:58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증선위, 상장예정 기업 회계심사 강화…‘회계분식 위험도’ 본다

금융당국이 상장을 준비 중인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심사를 대폭 강화한다. 상장 직후 주가 급락이나 회계 의혹이 제기된 사례들이 이어지면서, 상장 단계부터 회계 투명성 확보를 위한 사전 점검을 보다 엄격히 하겠다는 취지다.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26일 제6차 정례회의를 열고 금융감독원, 한국공인회계사회와 함께 '2025년도 재무제표 심사 및 감리업무 운영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계획에는 상장예정 기업(IPO 예정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심사를 대폭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국내 기업은 상장 전까지는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을 따르지만, 상장과 동시에 국제회계기준(IFRS)으로 전환해야 한다. 회계 기준이 달라지는 만큼 재무정보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실제로 일부 기업은 상장 직후 급격한 주가 하락이나 회계상 의혹이 불거진 사례도 있었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원은 재무제표 심사·감리 대상 기업의 기준을 기존 '자산 1조원 이상'에서 '자산 5000억원 이상'으로 낮춰 적용하기로 했다. 한국공인회계사회가 담당하는 '5000억원 미만' 상장예정 기업에 대해서도 심사 기준을 강화한다. 공인회계사회는 기존의 자산규모 중심의 표본 선정 방식에서 나아가, '회계분식 위험도'를 새로운 선정 기준으로 추가한다. 회계분식 위험도는 영업활동현금흐름, 비영업용 자산 비율 등 주요 재무지표를 과거 위반기업, 부실기업과 비교해 산출하는 방식이다. 위험도가 높은 기업은 심사·감리 대상에 우선 포함된다. 감리집행기관인 금융감독원과 공인회계사회는 앞으로도 상장 준비 기업에 대한 재무제표 심사를 통해 회계위반 여부를 점검하고, 중대한 위반이 발견될 경우 감리로 전환할 방침이다. 심사·감리 결과 '중과실 이상' 제재를 받으면 상장심사가 기각될 수 있다. 증권선물위원회 관계자는 "공인회계사회의 재무제표 심사 대상 선정 기준이 강화되고, 금융감독원은 상장사 재무제표 심사 경험과 역량이 축적된 만큼 보다 엄정한 투자자 보호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3-26 17:50:52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글로벌 위기넘어 통합 항공사로 도약 다짐…"고객이 사랑하는 항공사가"

"대한항공은 통합 항공사로 출범을 위한 본격적인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더 높은 수준의 안전과 더 나은 서비스를 바탕으로 고객들이 사랑하는 항공사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26일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열린 제6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글로벌 경제 위기속 통합 항공사로서의 도약을 약속했다. 조 회장은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고 이해관계자와 성과를 공유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에 조 회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 부회장이 참석해 인사말을 대독했다. 대한항공은 이날 주총에서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사외이사 선임의 건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을 상정해 원안대로 승인받았다. 조 회장은 "창립 56주년을 맞이한 우리 대한항공은 지난 4일, 새로운 기업가치체계 'KE Way'를 선포했다"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적 항공사이자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위상에 걸맞게 고객과 사회, 전세계를 연결해 더 나은 세상으로 나아가겠다"고 전했다. 이어 "올해 경영 환경은 위기와 기회가 혼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글로벌 공급망 문제에 따른 항공기 도입 지연과 고환율, 미국 관세정책 등에 따른 정치·사회·경제적 리스크들은 사업운영의 부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전망했다. 항공기 안전에 대한 당부도 있었다. 조 회장은 "최근 일어났던 국내외 항공기 사고로 희생되신 분들을 애도하며, 우리 임직원들은 항공사의 핵심가치는 절대안전이라는 점을 각별히 명심하겠다"고 밝혔다. 또 "절대안전과 고객중심 서비스를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성과를 공유하며, 고객들이 사랑하는 항공사가 되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대한항공 매출액은 16조 1166억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역대 두 번째로 많은 1조 9034억원을 달성했다. 또 대한항공은 배당 기준일 변경에 따른 관련 조문을 정비하고, 주식 발행시기에 관계 없이 동등 배당이 가능하도록 해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신규 사외이사로는 송재용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를 선임했다.

2025-03-26 17:26:15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혁신적 오프로더'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차량 4종 '2025 서울모빌리티쇼'서 전시

이네오스 오토모티브의 국내 공식 수입원 차봇모터스가 4월 4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5 서울 모빌리티쇼'에서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4종을 전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전시에서는 포털액슬을 적용한 그레나디어 포털액슬 프로토타입과 '첼시트럭컴퍼니' 전용 튜닝 키트를 적용한 그레나디어 by 첼시트럭컴퍼니가 전시된다. 또 벨스타프 에디션(Belstaff Edition) 필드마스터와 트라이얼마스터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포털액슬 프로토타입은 다양한 용도에 최적화된 래더 프레임 섀시와 '바디 온 프레임' 구조를 최대한 활용해 오프로드 주행 능력과 극한 내구성을 한층 강화한 차다. 지난해 7월 영국 굿우드 페스티벌에서 공개한 이후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국내 최초로 전시되는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포털액슬 프로토타입은 도하 깊이를 800㎜에서 1050㎜로, 최저 지상고를 264㎜에서 514㎜로 향상했다. 또 오프셋 휠 허브와 대형 오프로드 타이어의 적용으로 독특한 스타일과 뛰어난 주행 성능을 구현했다. 첼시트럭컴퍼니의 전용 튜닝 키트를 적용한 '그레나디어 by 첼시트럭컴퍼니'는 도시적인 세련미와 강인한 오프로드 성능이 조화를 이루는 차다. 3피스 프론트 해머 그릴 카울은 그레나디어의 정체성을 대담하게 재해석했다. 40㎜ 폭의 휠 아치와 오버펜더는 우아함과 강인함을 동시에 표현한다. 알파인 윈도우 커버, KAHN® 배지가 새겨진 대형 어퍼 루프 윙 등은 세련된 감각을 더한다. 첼시트럭컴퍼니의 디자인은 도시적 감각을 강조하여 한국 고객들로부터 높은 호응이 기대된다. 벨스타프 에디션도 전시한다. 벨스타프는 1924년부터 아우터웨어를 제작해온 역사 깊은 의류 브랜드다. 브랜드의 전통과 혁신이 이번 그레나디어 필드마스터 및 트라이얼마스터 에디션에 고스란히 반영했다. 필드마스터 에디션은 벨스타프의 유산을 바탕으로 모험가를 위한 다양한 편의장비가 기본 사양으로 제공된다. 그레나디어 트라이얼마스터 에디션은 1948년에 탄생한 벨스타프 트라이얼마스터 재킷에서 영감을 받아 극한의 오프로드 주행에 최적화된 기능적 장비들을 갖췄다. 차봇모터스는 이번 2025 서울모빌리티쇼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독창적인 디자인과 혁신적 기술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 다양한 전시와 이벤트를 통해 브랜드의 비전과 경쟁력을 재확인한다. 이네오스 오토모티브의 CEO 린 칼더는 "그레나디어는 고객이 자신만의 라이프스타일과 필요에 맞춰 자유롭게 그릴 수 있는 빈 캔버스와 같다"며 "처음부터 높은 활용도를 최우선 가치로 설정하여 설계된 만큼, 어떠한 목적과 취향에도 손쉽게 맞춤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하는 그레나디어 포털액슬 프로토타입은 그러한 가능성을 실현한 하나의 구체적 사례이며, 고객의 다양한 상상과 요구를 담아낼 수 있는 차량임을 잘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2025-03-26 17:15:39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한덕수 복귀 후 첫 고위당정, 30일에 열릴 예정… 싱크홀·산불 등 대응 논의

국민의힘과 정부가 오는 30일 고위당정협의회를 개최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이후 거의 세달만에 열리는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아직은 윤석열 정부'라는 점을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26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고위당정은 오는 30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다. 이번 고위당정에선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 산불과 서울 강동구 싱크홀(땅꺼짐) 등 재난·안전사고 대응을 논의한다. 또 경제 부문에서는 추가경정예산(추경)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대미 통상 대응 방안을 의논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논란이 된 미국 에너지부 한국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 등재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협의회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직무 복귀 이후 처음 열리는 것이다. 한 권한대행이 탄핵심판으로 직무 정지된 이후, 고위당정은 경제를 주제로 지난 1월8일 딱 한 차례 열렸다. '대행의 대행' 체제 하에서 고위당정을 열기는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 권한대행의 복귀하고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하자, 여러 변수에도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한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소추를 비롯해 더불어민주당이 윤석열 정부 인사들에게 제기한 탄핵은 '9전 9패'를 기록한 상황이고,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진 것도 요인으로 보인다. 야권의 기류가 불안정해진 상황에서 '정부여당은 우리'라는 것을 드러내려는 자리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전날(2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한덕수 권한대행 복귀와 관련해 "조속히 고위 당정을 열고 통상 대응과 추경 논의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겠다"며 "지난해 민주당이 삭감한 재난 대응 예비비 2조원을 이번 추경에 포함해 국민 안전망을 복원하겠다"고 말했다. 고위당정에는 당에서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김상훈 정책위의장 등이 참석한다. 정부에서는 한 권한대행을 포함해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행정안전부·외교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 장관이 자리할 예정이다.

2025-03-26 17:09:36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Semiconductor & Electronics Show Mixed Results in Q1… Samsung & SK 'Cloudy', LG 'Clear'

With the first-quarter earnings reports of Samsung Electronics, SK hynix, and LG Electronics approaching, a mixed outlook is expected for the domestic semiconductor and electronics industries. The evaluations of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s first-quarter results are skeptical due to the decline in high-bandwidth memory (HBM) shipments and the weakness in memory prices. On the other hand, LG Electronics is expected to exceed market consensus by double digits, driven by the growth of new businesses such as 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despite the risks posed by the Trump administration's tariff policies. However, the semiconductor industry is expected to see a clear improvement in performance starting from the second quarter, as the memory market outlook rebounds. According to financial information provider FnGuide on the 26th, LG Electronics is expected to achieve consolidated sales of 22.353 trillion won and operating profit of 1.2307 trillion won in the first quarter. KB Securities forecasted first-quarter operating profit to be 12% higher than the consensus, at 1.4 trillion won. The strong sales in emerging markets and the growth of the HVAC business are considered to be key drivers of the performance. These are areas LG Electronics has focused on as future growth engines, with R&D investments paying off starting from the first quarter. This performance is particularly significant as it comes despite challenges such as the tariff policies of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LG Electronics is expected to achieve record-high results in the first quarter. On the other hand, the first-quarter earnings outlook for the semiconductor industry, including SK hynix and Samsung Electronics, remains skeptical. According to the consensus for SK hynix, the leader in high-bandwidth memory (HBM), the company's operating profit is expected to fall to the 6 trillion won range, a decline of more than 1 trillion won compared to the previous quarter. Revenue is also forecasted to drop by more than 12%, settling around 17 trillion won. The decrease in earnings is attributed to a slight drop in HBM shipments to its key customer, NVIDIA. Production delays of NVIDIA’s AI chip "Blackwell" are contributing to this decline, as TSMC, which manufactures NVIDIA chips, has reached its maximum capacity for advanced packaging production. Additionally, the U.S. semiconductor export restrictions are expected to impact NVIDIA's AI chip exports, which will inevitably affect SK hynix as well. The situation for Samsung Electronics is similar. Samsung Electronics' first-quarter operating profit is expected to be around 5 trillion won, a decrease of more than 20% compared to last year's operating profit of 6.61 trillion won. The decline is largely attributed to the weakness in memory and the expanded losses in the foundry business. In fact, the reason for the 2.9 trillion won operating profit in the fourth quarter of last year was also the drop in general-purpose DRAM prices, which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memory sector's earnings. In a recent business report, Samsung Electronics stated, "The memory market is expected to be weak in the short term this year," but "a recovery is expected starting from the second quarter." The market anticipates that the semiconductor industry's earnings rebound will begin in earnest from the second quarter, as the memory market, excluding HBM, is also showing signs of improvement. According to market research firm DRAMeXchange, the average spot price of DDR5 16Gb, a high-value DRAM used in AI servers and PCs, has increased by 6.4% to $5.08, compared to a month ago. This marks the third consecutive month of price increases since hitting a low of $4.67 in January. The average transaction price of the older DDR4 8Gb DRAM has also risen from $1.46 to $1.76 in just the past week. Park Kang-ho, a researcher at Daishin Securities, forecasted, "NAND flash prices are expected to rise in April, and with the effect of DRAM inventory adjustments, prices will stabilize. We anticipate a rise in DRAM prices in the second and fourth quarters of this year, making the recovery of the memory industry more visibl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3-26 16:53:2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韓 전자업계 큰 별 지다"…故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애도 이틀째 이어져

고(故)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의 갑작스러운 별세 이틀째인 26일, 정·재계를 비롯한 각계 주요 인사들의 애도가 이어졌다. 이날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는 삼성전자 전현직 사장단과 업계 관계자들의 조문이 이어졌다.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 사장과 용석우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장 사장은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빈소를 찾아 애도를 표했다. 특히 한 부회장의 직속 후배인 노 사장은 "애통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며 "오늘은 조문과 유족분들을 위로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김기남 고문과 고한승 미래사업기획단장, 다니엘 오 IR 팀장 부사장, 임성택 한국 총괄 부사장 등 삼성전자 주요 임원들도 조문 행렬에 동참했다. 정·재계를 비롯한 외부 인사들의 발길도 이어졌다. 권봉석 ㈜LG 최고운영책임자(COO) 부회장은 빈소를 찾아 "한 부회장은 대한민국 전자산업 발전에 헌신적으로 기여한 분"이라며 애도의 뜻을 전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지형 전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 등도 방문해 고인을 추모했다. 김 전 총리는 "현장에서 한국 산업을 일으킨 주역"이라며 "갑작스럽게 타개하신 데 대해 안타까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조문 첫날인 25일에는 전경훈 디바이스경험(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 김용관 반도체(DS) 부문 경영전략 담당, 한진만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사장 등 삼성전자 주요 임원진과 계열사 대표들이 조문했다. 또한 조주완 LG전자 대표,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 이동우 롯데지주 부회장,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 김창범 한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 오준호 레인보우로보틱스 대표 등도 빈소를 찾았다. 한 부회장은 1988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37년간 TV, 생활가전, 모바일 등 주요 사업을 이끌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 DX부문장과 생활가전(DA)사업부장을 역임하며 삼성전자의 TV 시장 19년 연속 세계 1위 달성을 견인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장례 발인은 27일, 장지는 시안 가족 추모공원이다.

2025-03-26 16:52:59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iM금융, 지주사 및 그룹 사명 변경

iM금융그룹은 대구 북구에 소재한 iM뱅크 제2본점 1층 광장에서 사명 변경에 따른 본점 간판 제막식을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iM금융지주는 이날 열린 제1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상호 변경에 대한 정관 개정을 결의하고 'iM'으로의 사명을 공식화했다. 새로운 출발을 기념하고 새 간판을 대외적으로 알리기 위해 마련된 제막식은 황병우 iM금융 회장과 지주 사외이사, 각 계열사 대표이사 등과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iM금융그룹은 사명 변경을 기점으로 '디지털로 고객에게 다가가는 Only 1 하이브리드 금융그룹'이라는 그룹의 새로운 비전을 통해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금융사로 나아가는데 더욱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iM 브랜드의 인지도 제고를 위해 다양한 마케팅 방안도 추진한다. 앞서 iM금융은 앞서 지난해 주력 계열사인 iM뱅크의 시중은행 전환으로 은행 및 비은행 계열사의 상호 변경을 완료하고 신규 CI를 적용한 바 있다. iM금융은 이번 그룹사 사명 변경을 통해 iM브랜드의 일체화로 전국 고객과 함께할 새로운 정체성을 공고히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iM금융지주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상호 변경 등 정관 일부 변경의 건과 조강래, 노태식, 조동환, 정재수 사외이사 재선임 및 김갑순, 이강란, 장동헌 사외이사 신규 선임의 건 등을 원안대로 의결했다. 1주당 배당금은 500원으로 결의했다. 황병우 iM금융그룹 회장은 "새로운 사명을 공식적으로 선보이는 특별하고 뜻깊은 자리인 만큼 앞으로 'iM'이라는 이름과 함께 그룹의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새로운 의미와 가치로 다가가고자 한다"라며 "iM금융그룹이라는 일체화된 브랜드로 출발하는 것을 계기로 과감한 변화와 도전을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5-03-26 16:47:26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조선·철강 노리지만...알래스카 LNG, 사업성에 물음표

국내 산업계가 미국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우리 기업들의 사업 참여에 대한 기대가 커지는 가운데 막대한 투자 비용과 정책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관망세를 유지하는 신중론도 공존하는 분위기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25일 우리나라를 방문한 마이크 던리비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와 면담해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등 에너지 협력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에 우리 기업들의 해당 프로젝트 참여 여부에 이목이 쏠리며 관련 업계에서는 수혜 기대감도 커지는 모습이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알래스카 북부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남부 해안으로 운송해 액화한 후 수출하는 대규모 인프라 사업이다. 알래스카 남부 부동항인 니키스키까지 1300km에 이르는 가스관 등을 설치해야 하며 총개발비가 총 387억달러(약 57조원) 규모에 달한다. 특히 수혜가 기대되는 기업으로는 조선 및 철강 업체들이 꼽힌다. 알래스카의 극한 환경에서 작업 하기 위해서는 쇄빙선이 필수인데 해당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나라는 한국, 일본 등 제한적이다. 실제로 한화오션은 러시아 국영 에너지기업 노바텍과 계약한 아크7급 쇄빙 LNG 운반선 6척을 건조 중이거나 건조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역시 러시아 조선소 즈베즈다와 쇄빙 LNG운반선 22척 공동건조 계약을 맺은 바 있다. 가스관 건설과 LNG 터미널 구축에 대규모 철강재가 필요한 만큼 관련 철강, 강관 업체들도 기회요인으로 삼으려는 분위기다. 파이프, 피팅 등 LNG플랜트 관련 기자재와 LNG선박 등에 필요한 고강도 철강 수요가 지속 증가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다만 일각에서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낮은 사업성을 지적하며 섣부른 기대는 이르다는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우려의 배경에는 높은 인프라 건설 비용이 있다. 알래스카의 극심한 기후환경과 지형적 어려움으로 인해 송유관 건설비가 매우 높다는 분석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287km에 달하는 파이프라인 건설비는 약 200억달러(약 26조원)이상으로 추산된다. 이는 카타르, 호주 등에서 진행된 LNG프로젝트 대비 초기 투자비가 2~3배 비싼 수준이며 장기적으로도 비용 회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 내 과도한 경쟁도 변수로 지목된다. 미국 멕시코만 연안지역에서 수출되는 LNG는 파이프라인 구축비가 적고 기존 인프라를 활용 가능한 데 비해 알래스카는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업계 안팎의 시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국내 산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는 사업"이라며 "다만 LNG 사업은 최소 20~30년 이상 장기로 추진되는 만큼 정권 교체에 따라 정책 리스크가 크다는 점에서 쉽게 낙관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

2025-03-26 16:46:54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민생경제 챙기는 김포시, 5일장 상인부터 만났다…7회 걸친 현장진단 시작

김포시가 '지역경기체감회복 TF'를 구성하고 민생경제살리기에 본격적으로 나선 가운데, 경제 주체들과의 소통으로 현장 진단부터 시작했다. 이번 현장 소통 간담회는 3월 24일부터 시작돼 4월 30일까지 총 7회에 걸쳐 진행되며, 5일장 상인회를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지역소상공인들을 만나 현장의 애로사항과 문제점 등 의견을 청취하고 함께 개선 방안을 모색해 나간다. 26일 김포싱레 따르면 먼저 지난 24일 진행된 5일장 상인회 정담회에서는 ▲5일장 내 노후시설 정비(수도시설 등) ▲5일장 장날 상인차량의 주정차 허용 구간내 주차금지 ▲김포5일장 내 신용카드 사용가능 ▲하성5일장 이전문제 등 현안사항이 논의됐다. 이외에도 주차문제나 신용카드 사용문제, 쓰레기 처리 등에 대해서도 거론됐다. 시는 앞서 김포5일장 내 공중화장실 에폭시작업과 화장실 난방기 설치 등 리모델링으로 5일장 이용 환경을 개선해 이용객들의 불편을 해소한 바 있다. 그러나 시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상인과의 협업으로 꾸준히 5일장 이용 만족도를 높여 갈 계획이다. 또한 앞으로 이어질 현장 소통 정담회에서는 소상공인의 경영안정과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실질적 지원 방안을 수립하는데 방점을 두겠다는 각오다. 또한 정담회에서 논의된 의견은 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김포시 관계자는 "김포시는 지속적으로 소상공인의 현장 목소리를 더 가까이에서 청취하고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적극 나서겠다"며 "시민과 행정이 협력해 위기를 더 큰 성장의 기회로 변모시킬 수 있도록 함께 해 달라"고 당부했다.

2025-03-26 16:44:52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