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K제약바이오 대전]②삼성이 끌고 셀트리온이 밀고...커지는 'K-CDMO'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서 고성장을 이뤘다. 각 기업은 글로벌 무대에서 'K-CDMO' 외형 확대를 위한 수주 실적과 매출 성과를 올렸을 뿐 아니라 자사 대형 품목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까지 확보했다. 25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의약품 생산, 연구개발, 상업화 등 해당 산업 전반을 아우르며 'K바이오' 대표 주자로 나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도 폭넓은 행보를 이어가며 역대 최대 수주 계약 기록을 경신했다. 올해 11월까지 기록한 누적 수주액은 5조3000억원으로 지난 2023년 기록한 연간 수주액 3조5009억원 대비 1.5배에 달한다. 미국, 아시아, 유럽 등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1조원 규모의 대형 수주 계약을 꾸준히 체결하고, 글로벌 상위 제약사와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등 세계 최고 의약품 CDMO 기업 역량을 입증했다. 이와 함께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으로는 처음 연간 매출 4조원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올해 3분기까지 누적한 매출은 3조2909억원, 영업이익은 9944억원이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6%, 30% 늘었다. 분기별로 살펴봐도, 올해 매출은 1분기 9469억원, 2분기 1조1569억원, 3분기 1조1871억원 등으로 확대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연구개발과 상업화로 힘을 보탰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현재 글로벌 핵심 의약품 시장인 미국과 유럽에서 각각 8종, 9종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에 대한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특히 유럽에서는 총 8종 모두를 상업화해 캐시카우를 마련했고, 최근에는 9번째 품목허가 제품으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오퓨비즈'를 추가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유럽에서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오보덴스'와 엑스지바 바이오시밀러 '엑스브릭'에 대해서도 허가 권고 획득을 거쳐 최종 승인을 앞두고 있다. 동아쏘시오그룹도 바이오의약품 생산 기지와 품목 허가, 투 트랙으로 그룹의 핵심 사업 기반을 다졌다. 전문의약품 연구개발 기업 동아에스티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 글로벌 발매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오는 2025년 상반기에 미국, 유럽 등에서 이뮬도사를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다. 앞서 동아에스티는 이뮬도사 품목 허가를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의약품청(EMA)에서 각각 올해 10월과 12월에 잇따라 받아냈다. 이와 관련 동아쏘시오그룹은 일찍이 에스티젠바이오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에 적극 대비해 왔다. 에스티젠바이오의 핵심 사업은 의약품 위탁생산(CMO)과 CDMO 서비스다. 에스티젠바이오는 올해 미국 FDA의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cGMP), 유럽 EMA의 우수의약품 품질관리 기준(GMP) 등 세계적 수준을 갖춘 규제 기관의 심사를 통과했다. 그 결과, 에스티젠바이오는 '이뮬도사' 상업화 물량 전량을 생산하게 됐고, 향후 '대형 품목'을 내놓음으로써 고객사 추가 유치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셀트리온그룹도 기존 셀트리온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CDMO 사업의 출혈 경쟁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겠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그룹은 이달 17일 CDMO 전문기업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를 100% 자회사로 공개했다.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는 오는 2031년까지 연 매출 3조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는 글로벌 의약품 CDMO 시장을 정조준함과 동시에, 우선 셀트리온을 가장 기본 고객으로 해 자생력까지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 23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악템라 바이오시밀러 '앱토즈마주'가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사업 비전으로 제시한 '2025년까지 11종 제품 포트폴리오 구축'을 조기 완성하는 데 성공했다. 셀트리온은 오는 2030년까지 22개 제품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는 등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도 백신 중심의 의약품 CDMO 제조 시설과 인프라를 구축하며 SK바이오사이언스 3.0 성장전략을 추진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10월 독일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 그룹과 체결한 'IDT 바이오로지카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 절차를 완료했다. 이와 관련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의약품 CDMO 기업인 IDT 바이오로지카가 보유한 생산 시설 가동률을 극대화해 5년 내 연결기준 매출 1조원을 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SK바이오사이언스 3.0 성장전략은 백신 포트폴리오 확장, SKY실드 강화, 넥스트 팬데믹 대응 위한 핵심 공급망 역할, 세포유전자치료제(CGT)를 비롯한 신규 바이오 사업 추진 등으로 구성된다. 국내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시장성이 크다는 이유로 유행처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연구개발과 생산이 유기적인 관계로 발전하면서 시너지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며 "의약품 위탁개발생산 사업은 말 그대로 계약을 수주해 매출로 연결하는 구조지만, 기본적으로 직접 의약품을 연구하고 개발하고 만들어 본 경험을 쌓아 온 기업들이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