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김동연 지사, ‘기회타운 3대 프로젝트’ 발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의 미래를 이끌 새로운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그는 2030년까지 조성될 '기회타운 3대 프로젝트'를 통해 경기도에 새로운 '랜드마크'가 생기며, 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내 삶이 더 나아지는 도시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공유하며, 수원월드컵경기장, 용인 플랫폼시티, 안양 인덕원 역세권 등 세 곳에서 이루어질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김 지사는 11일 수원 월드컵경기장 야외광장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오늘은 유휴지로 방치되어 있던 이곳이 도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는 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회타운 3대 프로젝트는 직장과 집 사이의 거리를 줄이고, 출퇴근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며, 여가와 휴식을 위한 기회를 확장시키는 장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 랜드마크' 세 곳의 모습 1. 우만 테크노밸리 (수원월드컵경기장 유휴지) 우만 테크노밸리는 2조 7천억 원을 들여 2026년 착공, 2030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는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다. 김 지사는 이 지역이 과거 20여 년 동안 체육시설로 활용되지 못했던 유휴지였지만, 이제는 경기도와 수원시, 월드컵재단, 경기주택도시공사(GH), 수원도시개발공사 등 여러 기관이 협력하여 새로운 랜드마크로 탈바꿈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훈련에 최적화된 전문 체육 공간과 숙소, 실내체육관을 포함한 스포츠 타운을 조성하여 1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2. 용인 플랫폼 시티 용인 플랫폼시티는 경기도와 용인시, GH, 용인도시개발공사가 함께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8조 2천억 원을 투입하여 2030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한다. 김 지사는 이 프로젝트가 경기도 최대 규모의 기회타운이 될 것이며, "미래형 복합자족도시"로 일자리, 상업, 문화, 여가를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주거 환경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또한, 용인 플랫폼시티는 AI 산업 벨트의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첨단 산업 지구를 기반으로 5만 5천 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1만 호의 주택을 공급할 예정이다. 3. 인덕원 역세권 인덕원 역세권은 15만㎡ 부지에 테크노밸리를 조성하고, 청년·신혼부부 대상 공공임대주택 511호를 공급하는 프로젝트다. 총사업비는 1조 1백억 원으로, 2027년 말 준공을 목표로 진행된다. 이 지역은 지하철 4호선뿐만 아니라 향후 개통될 인덕원-동탄선, 월곶-판교선, GTX-C 노선 등 4중 역세권을 갖춘 지역으로, 첨단 기술과 디자인을 접목한 콤팩트 시티를 조성하여 5천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기후타운'으로의 전환 김동연 지사는 인덕원 기회타운을 제외한 모든 기회타운을 기후타운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기후타운은 신재생에너지 활용과 에너지 절감을 기반으로 한 지속 가능한 도시를 목표로 한다. 태양광, 소형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갖추고,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높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며, 제로 에너지 빌딩을 목표로 한다. 또한, 대중교통 편의를 위해 복합환승시설을 설치하여, 탄소 배출을 줄이는 'RE100 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사람 중심 경제'의 집약체 김 지사는 기회타운 조성을 통해 경기도 산업벨트를 완성하고, 지역 경제 발전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그는 기회타운이 '사람 중심 경제'의 집약체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경기 남부의 AI지식산업벨트와 경기 북부의 바이오 벨트를 연결하는 거점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기회타운이 첨단 산업 생태계와 상호 연결되는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도는 사람 중심의 투자로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해 왔으며, 기회타운 프로젝트는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