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전당, 진융·알랭 들롱 특별전… 내년 1월까지
영화의전당 시네마테크가 12월 27일부터 내년 1월 23일까지 '오래된 극장 2024: 탄생과 죽음의 이중주'를 개최한다. 이번 기획전은 중화권 무협 문학의 거장 진융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고, 지난 8월 세상을 떠난 세기의 배우 알랭 들롱을 추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먼저 진융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그의 대표작을 영화화한 10편을 통해 웅대한 무협의 세계를 스크린으로 만나볼 수 있다. ▲남송 말기를 배경으로 곽정과 황용의 사랑과 성장을 그린 장철 감독의 '사조영웅전' 삼부작 ▲곽정과 황용 부부의 손에서 자란 양과의 이야기를 그린 '신조협려'(1982) ▲원명 교체기를 배경으로 명교 교주 장무기가 의천검과 도룡도의 비밀을 파헤치는 여정을 그린 초원 감독의 '의천도룡기'(1978)와 '의천도룡기: 대결국'(1978)까지 진융의 '사조삼부곡'을 원작으로 한 영화들이 상영된다. 이 밖에도 ▲비밀결사 홍화회 영웅들의 활약상을 다룬 진융의 첫 무협 소설을 영화화한 초원 감독의 '서검은구록'(1981) ▲재치 넘치는 반(反)영웅적 주인공 위소보의 모험을 그린 진융의 마지막 작품 '녹정기'(1983) 등 총 10편의 영화를 통해 진융 무협 세계의 정수를 경험할 수 있다. 진융(1924~2018)은 중국 저장성 하이닝의 명문가 출신으로, 유년 시절부터 높은 수준의 학문적 소양을 쌓았다. 1944년 국민당 중앙정치학교 외교학과에 입학했으나 당의 학생 통제 행위에 항의하다 퇴학당했다. 이후 신문사 '대공보'와 정무원 외교부에서 근무한 후 홍콩으로 이주, '신만보'의 부편집장을 역임했다. 신만보 편집장의 제안으로 쓴 첫 무협 소설 '서검은구록'(1955)을 시작으로 '사조영웅전'(1957), '신조협려'(1959), '의천도룡기'(1961)로 이어지는 '사조삼부곡' 시리즈를 통해 무협 세계관을 정립했다. '천룡팔부'(1963), '협객행'(1966), '소오강호'(1967) 등을 연이어 성공시켰고, 1969년부터 4년간 연재한 '녹정기'(1972)를 끝으로 절필을 선언했다. 그의 15편의 소설은 영화, 드라마 등으로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있다. 무협을 넘어 중국 문학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그는 2018년, 향년 94세로 타계했다. 이번 기획전에서는 지난 8월 별세한 알랭 들롱을 추모하며 그의 대표작 11편도 함께 상영한다. 그의 장편 데뷔작이자 배신과 복수가 얽힌 혼란 속의 인물을 연기한 '여자가 다가올 때'(1957)를 비롯해 ▲친구의 신분을 빼앗아 파국에 이르는 청년 톰 리플리를 연기해 세계적 명성을 얻은 '태양은 가득히'(1960) ▲현대적 건축물의 차가운 풍경을 배경으로 현대인의 소외감을 그린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일식'(1962) ▲쇠락해 가는 귀족들의 삶을 우아하게 묘사하며 제16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루키노 비스콘티의 '레오파드'(1963)가 관객들을 찾는다. 인간의 이중성과 복잡한 내면을 탁월하게 연기해 찬사를 받은 조셉 로지의 '미스터 클라인'(1976), 제작·연출·각본 그리고 주인공 추카스 역까지 맡아 열연한 그의 감독 데뷔작이자 자신의 영화 철학과 누아르적 감각이 녹아 있는 '경찰의 은신처'(1981) 등 알랭 들롱의 데뷔작부터 전성기까지의 기념비적인 작품들을 스크린으로 만나볼 수 있다. 프랑스 파리 교외 출신의 알랭 들롱(1935~2024)은 불우한 가정 환경 속에서 방랑의 시절을 보냈다. 17세에 군에 입대했으나 불명예제대를 겪은 후, 우연히 영화계에 입문해 이브 알레그레 감독의 '여자가 다가올 때'(1957)로 데뷔했다. 수려한 외모로 로맨스 영화를 통해 입지를 다지던 그는 '태양은 가득히'(1960)를 통해 세계적인 청춘 스타로 자리매김했다. 이후 장-피에르 멜빌의 '암흑가의 세 사람'(1970) 등 프렌치 누아르의 상징적 작품들에서 고독하고 강렬한 이미지를 확립했다. 프랑스 영화를 대표하는 명배우로서 2019년 칸 영화제에서 명예 황금종려상을 수상했고, 2024년 8월 18일,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생을 마감했다. 오래된 극장 2024: 탄생과 죽음의 이중주는 12월 27일부터 2024년 1월 23일까지 진행되며, 관람료는 일반 7000원, 유료회원과 청소년 및 경로는 5000원이다. 1월 4일 오후 4시 30분 '사조영웅전 제삼집' 상영 후에는 강내영 시네마테크 프로그래머의 특별 강연이 마련돼 있다. 김은정, 김필남 영화평론가, 박소영 부경대학교 강사, 전은정 부산여성영화제 프로그래머의 영화해설도 진행된다. 상세 일정 및 시네도슨트 영화 해설 일정은 영화의전당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