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업계, '포스트 중국' 동남아 진출 러시…'경제 수준 상승, 한류 열풍 등'
외식업계, '포스트 중국' 동남아 진출 러시…'경제 수준 상승, 한류 열풍 등' 국내 외식기업들이 '포스트 중국'인 동남아시아로 눈을 돌리고 있다. 국내 시장은 장기 불황과 각종 규제 등으로 출점이 막혔고 미국, 유럽 중국 등도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동남아에 집중하는 것이다. 약 6억4000만명 인구가 있는 동남아 시장이 해외 진출 거점으로 급부상하는 이유는 경제 수준 상승과 함께 한류 열풍도 거세게 불어 한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시에 여러 국가로 진출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외식 프랜차이즈 디딤의 '마포갈매기'는 최근 오픈한 말레이시아 3호점을 포함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에 매장을 새로 여는 등 동남아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마포갈매기는 해외 매장을 국내 매장과 같은 인테리어와 외부 구조를 적용해 한국 고유의 고기 문화를 그대로 적용했다. 마포갈매기 측은 특화된 불판으로 고기를 굽는 동안 달걀 크러스트를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점도 현지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마포갈매기는 동남아 다른 국가로의 진출을 위해 해외 프랜차이즈 박람회 참가하는 등 브랜드를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MPK그룹의 미스터피자는 지난 12일 태국 방콕에 프로메나드몰점을 오픈했다. 지난 5월 스트리트몰점 개점에 이은 두 번째 매장이다. 내달에는 방콕에 3~4호점을 오픈할 예정이다. 미스터피자는 필리핀에도 진출했다. 동남아 최대 규모의 쇼핑몰인 그린벨트몰에 1호점을 시작으로 로빈슨몰과 놀스에사몰, SM씨사이드시티점까지 모두 4개의 매장을 개점했다. 오는 2019년까지 필리핀 내 최소 100개의 매장을 연다는 계획이다. 이달 말에는 베트남에 1호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미스터피자는 중국에 이어 동남아 시장을 넘어 피자 한류 열풍을 중동까지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디저트 카페 설빙은 지난해 11월 태국 방콕에 1호점을 오픈하며 본격적인 동남아 시장 진출 소식을 알렸다. 현재 태국 내 모두 11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설빙이 진출한 태국은 30년 전부터 해외 프랜차이즈를 받아들였다. 최근 자국의 프랜차이즈를 해외에 수출하는 '프랜차이즈 선진국'으로 지난해 말 출범한 아세안경제공동체(AEC)를 통해 태국을 중심으로 하는 프랜차이즈 교역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설빙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등 다른 동남아 국가로 진출을 조율하고 있다. 버거&치킨 프랜차이즈 맘스터치는 지난 9월 베트남에 진출했으며 법인을 설립했다. 현지 매장에서는 한국의 맘스터치 메뉴와 더불어 베트남인들의 기호를 고려한 다양한 메뉴를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베트남 내 대도시로 맘스터치 매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망고식스는 지난 5월 말레이시아에 1호 매장을 열고 동남아시아에 진출했다. 2014년 12월 현지 기업 필랭F&B와 마스터프랜차이즈(MF) 계약을 체결한 뒤 약 1년 간의 준비 끝에 쿠알라룸푸르 인근 푸총(Puchong)에 매장을 열었다. 푸총은 스타벅스, 맥도날드 등 글로벌 프랜차이즈가 상권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망고식스는 말레이시아 진출을 계기로 동남아 시장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동남아시장 진출의 원조는 롯데리아다. 지난 1998년 베트남에 1호점을 오픈했다. 현재 베트남에서만 2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2011년 인도네시아, 2013년 미얀마, 2014년에 캄보디아에 진출했다. 업계 관계자는 "동남아의 경제 수준이 상승하고 있고 한류의 영향으로 국내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 외식 기업들에게는 시장을 확대할 좋은 기회"라며 "현지 시장에 대한 이해가 동반된다면 한국 브랜드가 동남아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