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2명중 1명 최근 6개월간 프로포폴 사용
최근 6개월간 국민 12명 중 1명(8.4%)이 '프로포폴'을 한번이라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포폴은 각종 수술 및 건강검진 등에 사용되고 있는 전신마취제로 습관성, 중독성을 지닌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6개월 동안 취급된 493만 건의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12일 공개했다.
이 기간 프로포폴을 한 번이라도 처방받아 사용한 환자는 433만명으로 국민 5183만명 중 8.4%였다. 의료용 마약류를 사용한 전체 환자 1190만명의 36%를 차지한다. 성별로는 여성(53.9%)이 남성보다 프로포폴 사용이 많았고, 연령대별로는 40대(27.1%)가 가장 많이 사용했다.
진료과목별로는 사용량 기준으로 일반의원(53.7%), 내과(23%), 성형외과(15.6%), 산부인과(2.2%) 순이었다. 질병별로는 건강검진 등 검사(20%), 위·장관 질환(19%) 외에도 기타 건강관리(14%)나 마취가 필요한 각종 처치에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포폴을 사용한 환자 81.7%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로 처방을 받았다.
이 기간 프로포폴 외에는 미다졸람(최면진정제, 335만명), 디아제팜(항불안제, 203만명), 알프라졸람(항불안제, 170만명), 졸피뎀(최면진정제, 128만명) 순으로 처방 환자 수가 많았다. 식약처는 이와 같은 프로포폴 처방·투약 정보를 담은 '의료용 마약류 안전사용을 위한 도우미'(이하 도우미) 서한을 처방의사에게 발송했다.
도우미 서한의 주요 내용은 ▲프로포폴 처방 환자수 ▲사용 주요질병 ▲환자정보 식별비율 ▲투약량 상위 200명 해당 환자수 등으로 의사가 본인의 프로포폴 처방·투약 내역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투약량 상위 환자의 재방문 주기 ▲투약환자의 방문 의료기관 통계 등도 공개해 처방 의사가 진료한 환자집단의 의료기관 방문 패턴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이번 서한이 프로포폴 적정 사용을 유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하반기에는 대상 의약품을 식욕억제제 등으로 확대해 안전한 마약류 사용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