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투르크, 우즈벡, 카자흐와 보건의료 협력 기반 마련
보건복지부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에서 보건의료기술 진출에 다양한 성과를 거두었다고 23일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이 달 문재인 문재인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을 계기로, 우리 선진 보건의료 정책·제도와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보건의료기술 등 연관 산업의 동반진출을 위한 위한 협력에 나섰다.
이번 순방에서 복지부는 투르크메니스탄 보건의료산업부와 카자흐스탄 보건부와 협력을 체결했다. 기존 포괄적인 보건의료협력 양해각서(MOU) 수준을 넘어,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담은 '보건의료 협력 이행계획' 체결이 이루어졌다.
복지부는 이행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양국 간 협력 우선순위가 높은 분야인 의료인력 교류, 의약품·의료기기 등에 대한 전문가 실무협의체(워킹그룹)를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또 우즈베키스탄 보건부와는 '한-우즈베키스탄 보건의료 협력센터 설립·운영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 본격적으로 협력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양국 보건의료전문가 등 150여명이 참여한 협력센터 개소 기념 정책포럼을 개최, 건강보험제도, 의료 관광, eHealth, 제약 산업 등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보건의료 제도·산업 현황을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지난 20일 우즈베키스탄 보건부로부터 양국 간 보건의료 협력 발전에 기여한 데 감사하는 의미의 공로패를 받고, 타슈켄트의과대학(TMA)은 박 장관을 명예교수로 임명하기도 했다.
특히, 복지부는 우리나라의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보건의료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진출의 기반을 마련했다.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보건부와 해당 국가의 eHealth 종합계획(마스터플랜)을 공동 수립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가 두 나라의 보건의료 정보화 계획 수립에 각각 참여해 보건의료정보화 현황을 파악하고, eHealth 발전 전략을 제시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앞으로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 업체 및 의료기관의 중앙아시아 진출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카자흐스탄에서는 내년부터 전 국민 건강보험제도가 운영됨에 따라, 의료정보시스템 구축 등 정보통신기술 기반 의료환경 조성을 위해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이번 대통령 순방을 계기로 한국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카자흐스탄 건강보험 담당자에 국내 연수기회를 제공하기로 하는 등 실질적인 논의가 진행됐으며, 향후 건강보험관리 정보시스템 수출도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박 장관은 "중앙아시아 3개국은 모두 보건의료 개혁을 추진 중이며, 한국의 보건의료시스템과 의료기술을 높이 평가하여 양국 간 협력에 관심이 많다"며 "3개국과의 보건의료 분야 협력 관계를 계속해서 발전시켜, 이번 정상순방 성과가 중앙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