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신원선
기사사진
[김소형의 본초 테라피] 세계 인기 1위 채소 '토마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채소는 무엇일까? 아마 '토마토'를 꼽는 사람들은 많지 않을 듯하다. 아마도 한식에서는 토마토를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즐기는 채소는 토마토다. 그리고 그 높은 인기만큼이나 영양적인 면에서도 토마토는 1등이다. 토마토는 체중 관리, 각종 암과 고혈압 등의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로 인기가 높은 지중해식 식단의 주요 재료이다. 실제로 지중해 연안의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 등에서는 무척 많은 양의 토마토를 소비하고 있다. 고혈압 환자들을 위한 DASH(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식단에도 토마토는 잘 어울린다. 질병관리청은 "저염식과 함께 채소와 생선을 더 많이 섭취하고 지방을 적게 섭취하는 대쉬 식단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소개한다. 칼륨을 비롯한 각종 필수 미네랄과 식이섬유가 풍부하면서도 당과 나트륨은 극히 적은 토마토는 혈관 건강에 더없이 좋은 식재료이다. 토마토에 함유된, 몸에 좋은 성분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리코펜을 꼽을 수 있다. 리코펜은 주로 토마토, 수박, 자몽과 같은 붉은 색을 띠는 과일과 채소에 많이 들어 있는 색소의 일종으로 강력한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방암, 폐암 등을 예방하고 심혈관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준다. 리코펜 외에도 토마토에 함유된 퀘르세틴, 플로레틴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성분들 역시 항산화, 항암 작용을 한다. 특히 방울토마토는 크기가 커다란 토마토들에 비해 퀘르세틴 성분이 월등하게 많이 들어있다. 리코펜은 지용성 성분이므로 기름과 함께 섭취할 때 흡수율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토마토를 올리브 오일과 함께 요리하면 리코펜 흡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래서 생으로 먹기보다는 요리로 즐기면 좀 더 건강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단백질 보충 차원에서 달걀과 함께 볶음 요리로 만든다면 토마토를 더욱 맛있고 건강하게 즐길 수 있다.

2025-05-19 05:36:16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복 복 복

한국만큼 전통적으로 복(福)에 대해 기대가 큰 민족도 드물 것 같다. 예로부터 중국이나 몽고 등 외세의 침략도 적지 않았지만, 삼국시대 이후로 씨족에 기반한 문화였던 만큼 한평생 가족의 안녕과 가문의 번영을 복에 기대는 심리는 이 집 저 집 할 것 없는 최대 관심사였을 것이다. 개인의 운명에서도 따라서 복을 많이 갖고 타고 태어나는 것 그 자체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저가 강하다. 국난도 많았고 산지가 7할이어서 평야도 많지 않으니 먹고 사는 문제도 쉽지 않았던 터, 복을 바라는 마음이 얼마나 간절했던지 한국인들의 이름에 복 자가 들어간 것이 은근히 많다. 남아 이름으로 복동(福童)이니 만복(萬福)이, 여아 이름으로는 복실(福實)이, 복녀(福女), 복순(福順)이 등이 대표적이다. 그뿐인가? 복조리, 복주머니 등은 새해에 만들어 선물로 주거나 집 안의 여기저기에 달아놓곤 했다. 아기가 태어나면 복자를 수 놓은 강보로 아기를 쌓아 절 뿐만 아니라 베갯모에도 복자를 수놓아 태어나는 그 순간부터도 항상 복과 함께하길 바랐다. 비단 갓난아기의 강보뿐만 아니라 보통 가정집부터 왕가에 이르기까지 요와 이불, 베갯잇, 식탁 위의 음식을 덮는 식탁보 등등에도 복자 무늬는 기본이었다. 전통적으로 입춘 때 국가기관이나 일반 가정집 할 것 없이 집의 기둥이나 대문에 입춘대길(立春大吉)이나 건양가경(建陽多慶)을 비는 입춘축도 복을 비는 문구요,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라는 복자가 든 글귀를 붙이는 곳도 많았다. 전통적인 정서상 여름에 문을 가리는 발이나 창살 문양에도 복자 문양을 넣어 길상 함을 구했다. 사주로는 오행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정관 정재 정인을 갖추면 풍파를 견뎌낼 수 있는 성정으로 복이 있다고 본다. 물론 대운이 변수이긴 하지만 말이다.

2025-05-19 04:00:2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오늘의 운세]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쥐띠] 36년 욕심이 과해서 탈이 난다. 48년 놓친 고기를 아까워하지 말고 내 것을 소중히. 60년 죽은 나무에 물을 주는 격으로 허상을 좇지 마라. 72년 망설이다가 기회는 날아간다. 84년 여럿이 부러워하나 나는 필요 없다. [소띠] 37년 모든 일을 서두르지 말고 차분히. 49년 무더위가 가면 시원한 바람이 불게 된다. 61년 손재수가 있으니 먼 길은 삼가. 73년 남에게 베푼 선행이 자신에게 돌아온다. 85년 약속이 겹칠 수 있으니 시간 체크를 미리. [호랑이띠] 38년 남의 눈에 눈물 나게 인색하지 말라. 50년 지나친 운동이 몸을 해친다. 62년 내가 힘들지 않아야 부모님도 살필 수 있다. 74년 세금납부 영수증을 정리해둘 것. 86년 자식의 인연은 흐르는 대로 두면 절로 흐르게 된다. [토끼띠] 39년 배우자의 건강을 신경을 쓰자. 51년 세월이 가도 변함없는 것은 신용에서. 63년 장거리 출장 갈 일이 생김. 75년 일이 잘 풀릴수록 조상님들 묘소를 다시 살펴볼 것. 87년 어제의 어려움이 오늘 결과를 좋게 한다. [용띠] 40년 생각을 바꾸면 행동하기 편하다. 52년 영화를 한 편 보면 생각이 떠오른다. 64년 문서로 인한 이득이 있다. 76년 아는 길도 물어서 돌다리도 두드려보도록. 88년 신세를 졌던 사람에게 저금으로 빚을 갚을 수 있다. [뱀띠] 41년 재개발 아파트매수는 신중히 계약. 53년 직장에서 승진 소식이다. 65년 작은 부주의로 거래를 깰 수 있으니 서둘러라. 77년 원칙을 벗어난 투자는 하지 마라했는데. 89년 물건은 새것이 좋고 사람은 옛사람이 좋다. [말띠] 42년 직장에서 왕따해도 외로워 말자. 54년 근거 없는 칭찬에 넘어가지 않도록. 66년 음주는 인생을 망치는 길. 78년 창업후 능력이 있는 직원이 그만둘 수 있으니 인연을 소중히. 90년 주말부부가 되니 받아들일 수밖에. [양띠] 43년 청사진은 사고의 폭을 넓혀야 볼 수 있다. 55년 새로운 일이 기대만큼 진행됨. 67년 마음이 통하는 사람을 만나니 공연히 헤매지 말 것. 79년 행복도 불행도 내 마음이 결정하는 것. 91년 증여나 상속에 대해 준비를. [원숭이띠] 44년 돈만 달라는 연인이다. 56년 능력을 펼쳐 걱정이 해소. 68년 부모님께 격한 말로 상처를 주지 않도록. 80년 자신의 잘난 것을 드러내려고 상대의 단점을 건드려서 좋을 것이 무엇인가. 92년 재테크로 집안을 일으켰다. [닭띠] 45년 뒤늦게 이직으로 힘을 얻는다. 57년 언제나 병 주고 약 주는 친구가 밉상. 69년 지지고 피곤한 날이니 부모님의 도움으로 극복. 81년 기다리던 문서가 내 것이 된다. 93년 신용 사랑 믿음 소망 중 한 가지라도 갖추고 살도록. [개띠] 46년 마음을 정했다면 망설이지 마라. 58년 새 술은 새 포대에 담아라. 70년 알아도 모르는 듯 지나가야 할 때도 있다. 82년 물가가 천정부지로 올라도 다시 계획을 세우자. 94년 오후에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만나듯 귀인을 만난다. [돼지띠] 47년 마음이 화창하니 복이 절로 들어온다. 59년 횡재수가 있으나 음주로 바꾸지 말 것. 71년 천릿길도 한걸음부터이니 시작해야. 83년 취미생활로 우울 감을 희석해보자. 95년 무지개를 잡았으나 교만하면 도로 아미타불 되니 신중.

2025-05-19 04:00:21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민주당 , '이재명 커피발언' 비판 김용태에 "낙선목적 허위사실 고발"

더불어민주당은 18일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가 '커피 너무 비싸게 판다'고 발언했다고 주장한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건태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법률대변인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김용태 비대위원장의 낙선을 목적으로 한 허위 사실 공표에 엄중하게 대응하겠다"며 "김 비대위원장은 본인의 페이스북에 이재명 후보가 '커피 원가가 120원인데, 너무 비싸게 판다'고 말했다고 썼다"고 했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16일 전북 군산 유세에서 경기지사 시절 계곡 정비 사업 당시를 거론하며 "닭 5만원 주고 땀 뻘뻘 한 시간 고아 팔아봐야 3만원밖에 남지 않느냐"며 "커피 한 잔 팔면 8000원~1만원 받을 수 있는데 내가 알아보니 원가가 120원이더라"라고 말한 바 있다. 해당 발언은 마진이 더 많이 남는 상품으로 전환하는 것이 낫지 않느냐고 권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커피 원가가 120원인데, 너무 비싸게 판다'는 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발언에 커피로 생계를 이어가는 수많은 자영업자들은 가슴을 쳤다"며 "인건비, 임대료, 재료비, 카드 수수료에 시달리며 하루 12시간씩 서서 일하는 사람들, 그분들을 마치 폭리를 취하는 장사꾼처럼 몰아갔다"고 적었다. 이에 이건태 법률대변인은 "이 후보는 '너무 비싸게 판다'는 말을 한 사실이 없다"며 "이 후보의 발언은 국민의 계곡 이용권을 보장하면서도 거기서 장사하는 분들의 생계를 보장해주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취지"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런데도 김 비대위원장은 이 후보가 커피숍 자영업을 하신 분들이 마치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비난한 것으로 왜곡했다"며 "또한 이 후보는 5년 전 커피 한 잔에 들어가는 원두의 원가를 말한 것이고 그 외의 인건비나 부자재비, 인테리어비 등 제반 비용을 말한 것이 아니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 비대위원장은 '커피믹스 한 봉지도 120원이 넘는 시대'라며 마치 이 후보가 현재 커피 한 잔의 전체 원가를 120원이라고 말한 것처럼 호도했다"며 "김 비대위원장을 (공직선거법상) 낙선 목적의 허위 사실 공표, 후보자 비방으로 고발하겠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선대위는 늦어도 오는 19일까지 김 비대위원장을 고발할 계획이다. 고발장 접수 기관은 서울경찰청인 것으로 알려졌다.

2025-05-18 18:56:48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가성비 내세운 ‘마포육곳간’, 왕십리역 먹자골목에도 개점

가성비 높은 프리미엄 고깃집 마포육곳간이 서울 성동구에 한양대점을 새롭게 오픈했다고 18일 밝혔다. 마포육곳간이 들어선 한양대점은 왕십리역과 한양대역 사이의 중심상권인 먹자골목에 위치하고 있는 대형 매장이다. 마포육곳간은 자체공법을 적용한 숙성 소고기와 숙성 돼지고기는 육즙이 풍부하고 식감이 부드러운 특성을 갖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숙성 소고기는 살치살 꽃살 갈빗살 등심 토시살 등 부위별로 100g당 6000∼8000원에, 숙성 돼지고기는 항정살 가브리살 삼겹살 목살 양념갈비 등 부위별로 100g당 5000∼6000원에 제공, 품질대비 가성비가 높다. 모든 매장에서 맥주와 소주를 1900원에 판매, 고객들은 부담 없는 가격으로 술과 고기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마포육곳간은 40평 이상의 대형 매장을 위주로 매장을 열고 있으며, 고객 친화적인 우드톤으로 매장 분위기를 연출, 기존 고깃집과 차별화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고객들의 편익을 위한 셀프바에서는 샐러드, 무 쌈, 깻잎, 마늘, 고추, 김치, 파무침, 양파 등이 제공된다. 이승훈 마포육곳간 대표는 "마포육곳간만의 특유의 맛과 고객편익 위주의 브랜드 경험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라며 "한양대점 출점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서울시내 진출을 가속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5-18 17:16:54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한미·한화 TC본더 나란히 수주…감정의 불씨는 '아직'

한미반도체와 한화세미텍이 SK하이닉스로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장비인 열압착(TC) 본더를 나란히 수주하면서, 양사 간 갈등이 일단 봉합되는 모양새다. 그러나 특허 소송 등 곳곳에서 감정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반도체는 지난 16일 SK하이닉스로부터 약 428억원 규모의 TC본더를 수주했다고 공시했다. 공급 기간은 오는 7월 1일까지다. 장비 한 대당 가격은 약 30억원으로, 납품 물량은 15대 안팎으로 추정된다. 같은 날 한화세미텍도 약 385억원 규모의 TC본더 수주를 공시했다. 부가가치세(VAT)가 제외된 금액으로, 실제 수주 규모는 한미반도체와 비슷한 수준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는 양사 모두에 물량을 배분하며 공급망 안정에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앞서 SK하이닉스는 8년 넘게 독점 구매관계를 유지해 온 한미반도체와 공급처 다변화를 두고 갈등을 겪은 바 있다. 이번 공동 수주로 TC본더 공급과 관련한 갈등이 표면적으로는 일단락됐지만, 근본적인 해결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한미반도체와 한화세미텍 간 TC본더 특허 침해 소송이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한미반도체는 지난해 12월 한화세미텍이 TC본더 장비 특허를 침해했다며 침해 금지 및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한화세미텍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 특허성이 없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최근 해당 특허에 대한 무효 심판을 청구해 맞대응에 나섰다. 첫 재판은 아직 열리지 않았으며, 통상 6개월 내 결론이 날 것으로 전망된다. 소송이 기각될 경우 장기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갈등은 법정 안팎으로 확산하고 있다. 한미반도체는 최근 한화그룹 계열 급식업체 아워홈과의 계약을 기존 12월에서 오는 7월로 조기 종료하기로 했다. 위약금을 감수하면서까지 계약을 끝낸 것이다. 아워홈은 최근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지분 인수를 완료하며 한화그룹에 편입됐다. 대신 한미는 신세계푸드를 급식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해 협의를 진행 중이다. 한화세미텍은 최근 한미 임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내부 회의 중 한화 관련 부정적 언급이 있었다는 이유다. 한미는 공식 대응을 자제하고 있지만, 법적 대응 가능성은 열어둔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표면적으로는 SK하이닉스의 중재로 갈등이 봉합된 것처럼 보이지만, 특허 소송과 계약 정리 등을 보면 양사 간 감정적 골은 여전히 깊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로서도 고민이 깊다. 한미는 검증된 기술력과 안정적인 공급망을 갖췄고, 한화는 경쟁을 통한 기술 혁신과 가격 경쟁력을 제공할 수 있는 카드다. 업계에선 SK하이닉스가 당분간 양사에 균형 배분을 유지하는 '줄타기 전략'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이혜민기자 hyem@metroseoul.co.kr

2025-05-18 17:01:19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새벽을여는사람들] 채진원 경희대 교수 "586의 오염된 세계관, 인적 청산 넘어 유교적 습속에서 벗어나야"

더불어민주당이 조기 대선을 앞두고 한창 주가를 올리고 있다. 판세에 반전이 있지 않는 한, 노무현·문재인 정부에 이은 민주 정부 3기의 출범이 가능해 보인다. 다만 혹자는 우려한다. 더불어민주당 집권 후 이른바 '조국 사태'가 터졌고 기회의 평등·과정의 공정·결과의 정의를 기대했던 시민들의 기대가 '자녀 입시 비리 의혹'과 함께 무참히 짓밟힌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핵심인 586(50대·1980년대 학번·1960년대생)은 침묵했고 오히려 윤석열·검찰·반(反)민주세력 등 외부의 적을 만들어 진영대결로 판을 이어가며 '정신승리'를 시도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무(無)정치'와 '조급증'으로 스스로 무너졌다. 권력의 공백 상태에서 민주당 586 정치인의 유교적 세계관을 지적하고 공화주의를 제대로 실천하는 '재민주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연구자,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를 지난 16일 경희대학교에서 만났다. ◆상대를 악마화하고 진영 대결 부추기는 유교적 세계관 채진원 교수는 지난 4월10일 '조국사태로 본 586 정치인의 세계관(푸른길)'이란 제목의 책을 출간했다. 부제는 '유교적 습속과 행태'다. 채 교수는 대한민국 유교 습속의 기원과 진화 과정을 추적했고 유교의 이분법적 사고의 틀이 586 정치인에도 체화됐다고 주장했다. 유교가 강조하는 성리학, 이성주의는 '이성과 반(反)이성', '이성과 감정', '선과 악' 등 이분법적, 이항대립적 세계관을 견고하게 구축하고 있다. 채 교수는 "586 정치인은 과거 독재와 싸우다 보니, 상대를 적이나 악으로 봐야 자신이 타도할 수 있었다. 과거엔 그랬어도 문제가 되지 않았다. 조선의 선비 정신이 맞았던 것"이라며 "하지만 지금은 민주화 이후 37년이 지났다. 민주주의는 상대를 존중하고 대화와 타협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586이 민주당의 주도권을 가진 후 문재인 정권을 창출했고, 대화와 타협이 되질 않았다"며 "그 후 조국 사태가 발생했고, 지금 조국 전 대표는 감옥에 가 있다. 죄의 반성 여부는 알 수 없지만 (감옥 안에서도) 윤석열을 공격하고 이재명은 지지하면서 죄인이 아닌 것처럼 본질을 가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자기의 악(惡)은 악도 아니고 상대가 더 악하기 때문에 상대를 악마화하면 자기 죄가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유교적인 프레임"이라며 "(당의) 내부 비판을 하지 않고 뭉쳐야 한다고 생각하니 조직 보위론이 나오고, 이견은 인정하지 않는다. 이견이 나오면 역적이 되고 배신자로 몰아간다. 이게 전형적인 유교의 논리다. 민주주의는 내부 경쟁과 토론이 있어야 하고 문제가 있으면 개선하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주의도 타락한다. 공화주의로 조화와 균형 맞춰야 채진원 교수는 더불어민주당이 전가의 보도처럼 휘두르는 '민주주의'가 제대로 실현되게 하는 '공화주의'가 대한민국 정치에 부족하다고 진단한다. 채 교수는 데모크라시(Democracy·민주주의)를 민주주의로 번역하지 말자고 주장한다. 민주주의 그 자체로 완벽한 체제, 절대선(善)의 체제로 왜곡하기 때문이다. 그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삼권분립, 법치주의, 견제와 균형, 지방자치 등이 다 공화적 가치"라며 "민주화가 되고 37년간 민주주의를 이야기하지만 공화주의를 지키자는 이야기, 견제와 균형을 하자는 이야기, 삼권분립을 하자는 이야기는 나오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민주당 주도로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기소 혐의를 면소할 수 있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고, 조희대 대법원장에 대한 특검법도 상정해 놓은 상태다. 채 교수는 "민주주의가 중우정(올바른 판단력을 상실한 무리에 의해 통치)나 참주정(비합법적 방법으로 정권을 잡은 독재적 통치)으로 타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 나온 것이 공화주의"라며 "왜 미국에 민주당이 있고 공화당이 있겠나. 왜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이 이끌었던 정당의 과거 이름이 '전진하는 공화국(現 르네상스)'겠나"라고 반문했다. 채 교수는 국민의힘도 공화주의는 안중에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힘도 공화주의를 생각하지 않는다. 반공자유주의자들이 많기 때문에 민주당에 이길 수 없는 논리를 말한다"며 "민주 대(對) 반(反)민주 구도 속에 들어가면 절대 이길 수 없다. 민주 대 공화로 붙어야 서로 견제가 되는데, '반공'해버리면 민주주의에 이길 수 없다"고 표현했다. ◆측은지심 아니라 동료 시민으로 봐야 채진원 교수는 586 정치인이 측은지심이 아닌 동료 시민이라는 관점에서 정치를 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측은지심이 무엇인가. 상대를 불쌍히 보는 것이고 위에서 밑으로 내려다보는 것"이라며 "동료 시민의 관점에선 측은지심에 기반한 행동이 기분 나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자제를 하게 된다. 그러면 자제하는 리더십이 생기고 중도적인 신중한 태도가 생긴다"고 말했다. 채 교수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586 정치인을 대거 영입할 때 서생의 문제의식과 상인의 현실감각을 가지라고 했는데, 왜 이것이 지켜지지 않냐면 서열적인 유교적 습속, 동료 시민의 관점이 아니라 측은지심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우월한 선민·특권 의식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안으로 청교도 습속에서 나온 직업 의식과 동료 의식에서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변했다. 그는 능력주의와 위계서열 기반의 관료주의가 동료 의식을 깨버리고, '통치하는 성인군자와 통치받는 소인배'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고착화시킨다고도 지적했다. 채 교수는 "기독교적 세계관은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보는 경향이 강하다. 같은 하늘 아래 인간들"이라며 "이 관점에서 인간은 유한, 연약, 불완전하기 때문에 직업을 따질 이유가 적다. 반대로 우리는 고시를 봐야 하고, 스카이(SKY) 대학교 가야하고, 관료해야 한다. 다 유교적 습속에서 나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은 능력주의를 욕히면서 자기는 그 안에 들어가고, (성인군자 반열에 오르는) 길에 들어오지 말라는 것"이라며 "(조국 전 대표처럼) 불공정한 게임이라면서 부모 찬스를 써가면서 자기 자식들한테는 다 한다. 그런데 남들한테는 하지 말라고 한다. 이게 불공정하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입시 비리를 했는데도 도덕 감정을 제쳐두고 법적으로 문제 없다며 법 감정을 이야기한다. 국민이 생각하는 도덕 감정과 법 감정이 있는데, 이것과 위반되는 본인들의 이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게 맞지 않는 것"이라며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선 상대를 외부의 적으로 설정하기보다 다양한 면을 짚어주며 '의견' 정도로만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동료 시민의 관점에서 보는 재민주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05-18 17:00:18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늦어도 너무 늦은' 윤석열 탈당, 선거판세 변화 없을듯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결국 국민의힘을 떠났다. 입당한 지 약 3년 10개월 만이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직접적인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당을 떠나는 모습을 보여 김 후보의 부담을 덜고 극렬 지지자들의 이탈을 막기 위함이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이 부동층의 표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이 전날(17일) 국민의힘을 탈당했다. 윤 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탈당 의사를 밝히면서 "저는 비록 당을 떠나지만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백의종군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지난 겨울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뜨거운 열정을 함께 나누고 확인한 국민 여러분, 청년 여러분, 국민의힘 김문수에게 힘을 모아 달라"고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이 탈당을 선언한 것은 18일 오후 8시부터 열리는 대선후보 첫 TV토론을 앞두고 거취 정리를 요구하는 당내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 후보의 운신의 폭을 넓혀주는 모양새를 취해 대승적 결단이라는 점을 부각했으나, 사실상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 등 당 차원의 탈당 요청을 외면하지 못한 것이다. 며칠을 끌던 윤 전 대통령의 당적 논란은 정리됐다. 김 후보는 '윤석열과의 이별'이라는 어려운 숙제를 별다른 부담 없이 끝냈고, 중도층·부동층 공략을 위한 여건이 마련됐다. 하지만 탈당 효과는 제한적일 전망이다. 우선 국민의힘은 12·3 내란 사태 직후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제명 혹은 출당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또 탄핵소추안 표결에 참여하지 않거나, 당론 부결을 결정해 반대표를 던졌다. 게다가 탄핵 심판이 이뤄지는 정국에서는 헌법재판소를 흔들며 윤 전 대통령을 옹호하는 데 총력을 다했다. 당내에서도 파면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주류를 이뤘다. 탄핵 후에도 비상계엄에 대한 제대로 된 사과는 없었다. 사태 반년만인 5월에 들어서야, 김문수 후보와 김용태 비대위원장이 사과의 뜻을 밝혔다. 윤 전 대통령 역시 당의 징계 조치인 출당이나 제명이 아니라, '자진 탈당' 형식으로 떠나갔다. 그리고 윤 전 대통령을 끝까지 12·3 내란 사태에 대한 사과를 하지 않았다. 오히려 지지자들에게 김문수 후보를 지지해달라는 의사만 표시했을 뿐이다. 이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 분노가 두렵다면 선거용 위장 탈당 대신 윤석열을 단호하게 제명했어야 한다"며 "(국민의힘은) 내란의 강을 건너는 시늉으로 국민을 속일 수 있다는 착각은 버리기 바란다"고 꼬집었다. 국민의힘은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하면서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를 추격할 발판이 마련됐다고 보고 있다. 또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 추진이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지원 유세 등의 명분도 생겼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늦어도 너무 늦었고, '징계' 형식이 아니라 '자진 탈당'이라는 점, 계엄선포에 대한 사과가 없는 점 등으로 인해 원하는만큼의 효과는 없을 전망이다.

2025-05-18 16:57:47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6·3대선 주요 공약 비교]①尹 정부서 두 차례 좌초 '노란봉투법', 민주 "재추진"vs국민의힘 "불법 파업 조장"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오는 6월 3일 실시된다. 보름 가량 남은 기간 동안 주요 대선 후보자들은 각종 공약을 발표하며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메트로경제신문>은 주요 대선 후보들의 정치·경제·사회·노동·보건 등 분야별 공약을 비교함으로써 유권자들이 정책 중심으로 차기 대통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10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주] 더불어민주당·노동계 주도로 추진하고, 국민의힘·경영계가 반대하는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의 운명이 6·3 조기 대선과 맞물리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尹 두 차례 거부권 행사한 대표 '쟁점 법안' 노란봉투법은 사용자의 범위를 확대하고 노조의 정당한 쟁의 행위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노란봉투법은 2014년 쌍용자동차 파업으로 인해 파업 노동자들이 47억원의 손해배상금을 내야 한다는 판결이 내려지자 시민들이 이를 돕기 위해 성금을 노란봉투에 넣어 전달하면서 입법 시도가 시작됐다. 해당 법안은 19대 국회부터 발의됐으나 계류됐다. 지난 2022년 대우조선해양 파업 당시 대우조선해양이 470억원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기해 다시 관심을 모았다. 대법원은 지난 2023년 '노동조합의 불법 쟁의행위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조합원 개인에게 물을 경우 신중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리면서 민주당의 입법 추진에 속도가 붙기도 했다. 하지만, 21~22대 국회에서 노란봉투법은 두 차례 본회의 문턱을 넘으나 두 번 모두 윤석열 전 대통령이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하고 재의결되지 못하고 폐기됐다. ◆민주당, 더 강화된 '노란봉투법' 이미 발의 더불어민주당은 노란봉투법 입법을 10대 공약 노동 분야에 적시하며 개정 의지를 드러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공개된 정당별 10대 공약에 따르면, 민주당은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으로 하청노동자 등의 교섭권을 보장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가 당선되면 21대 국회에서 거대 의석을 점한 민주당 주도로 법안을 통과시킬 수 있고 거부권 행사 가능성도 낮아 무난한 법 시행이 예상된다. 이 후보 선거대책위원회의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총괄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하면서 민주당의 노란봉투법 추진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민주당에선 김태선, 박홍배 의원 등이 노란봉투법을 재발의했다. ◆국민의힘 "노란봉투법 = 악법" 국민의힘과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기업에 부담을 주는 노란봉투법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중앙선관위 정당별 10대 공약에도 노란봉투법과 관련한 언급은 없다. 고용노동부 장관 시절부터 노란봉투법에 반대 입장을 내비친 김 후보는 지난 15일 중소기업인협의회 조찬강연에서 중대재해법과 노란봉투법을 두고 "결정권자가 되면 반드시 이런 악법이 기업을 괴롭히지 못하게 고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노란봉투법도 헌법에 위배된다"며 "(대기업) 노조는 표가 있고 중소기업은 표가 적다는 생각이 경제를 망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문수 후보가 당선되면 민주당이 추진하고 행정부에서 거부권을 행사하는 장면이 재현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지난해 8월 노란봉투법 거부권 행사를 알리며 "지난 21대 국회에서 이미 폐기된 법안에 독소조항을 더해 여야 및 노사 당사자 간 합의 없이 야당이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법안"이라며 "소위 '불법 파업 조장법'으로 불릴 정도로 산업현장과 경제계에서는 그 피해가 고스란히 고용시장 위축과 산업 생태계 붕괴로 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첨예한 경영계 노동계 입장차 경영계와 노동계의 입장차도 극명하다. 한국경영자총연합회(경총)는 지난 14일 '주요 노동 현안에 대한 경총 입장'을 발표하고 노란봉투법은 사용자 범위를 확대해 원·하청 산업생태계를 붕괴하고 불법 쟁의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를 제한해 노사분규와 불법행위를 조장한다고 우려했다. 경총은 노조의 불법파업을 조장할 것이라며 반대 주장을 펼치고 있다. "노란봉투법은 노사관계를 크게 악화해 우리 기업과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매우 큰 사안"이라며 "노사관계 발전을 위해서는 불법행위에 면죄부를 주기보다 사업장 점검 금지 등 합리적 노사문화 구축을 위한 법 제도가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지난 16일 중대재해처벌법과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을 '악법'이라고 한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를 두고 "대통령 후보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민주노총은 노란봉투법을 두고 "가장 시급한 노동개혁 과제"라면서 "김문수의 노동 공약은 윤석열 정부의 반노동 노선을 그대로 답습하는 복사판"이라고 지적했다.

2025-05-18 16:36:09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AI, Gaming, and Camera – All in One"… Qualcomm Unveils 'Snapdragon 7 Gen 4'

Qualcomm Technologies announced on the 18th the release of its next-generation mobile platform, the Snapdragon 7 Gen 4 Mobile Platform, aimed at the mid-premium smartphone market. A Qualcomm spokesperson stated, "The Snapdragon 7 Gen 4 is the latest platform in the Snapdragon 7 series, designed to enhance the multimedia experience that users prefer and deliver overall powerful performance. Several global manufacturers are expected to adopt it." The new platform boasts significant improvements over its predecessor, including a 27% increase in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erformance, a 30% boost in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rendering speed, and over a 65% enhancem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AI) performance. These improvements greatly enhance core user experiences such as photography, video recording, gaming, and AI-based functionalities. In particular, the platform features advanced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the "Snapdragon Elite Gaming" function, providing immersive action game play and clear photographic performance. It also supports innovative features such as an on-device generative AI assistant and large language models (LLM). For the first time in the series, the platform includes a Stable Diffusion-based image generation feature, enabling users to easily create content on their mobile devices. Chris Patrick, Senior Vice President and Head of Qualcomm’s Mobile Handsets Division, stated, "We bring the user experience enabled by AI to the hardware level, making it easier for users to create and share content."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5-18 16:32:5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관세협상 대표단 조만간 방미...주요부처 실무진 대거 포진

한국 관세협상 대표단이 수일 내에 미국을 방문한다. 양측은 지난 16일 제주 서귀포에서 열린 1차 실무(기술)협의에 이어 워싱턴 D.C.에서 2차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우리 측은 각 유관부처 실무진이 대거 합류해 대표단을 꾸린다. 그간 미 무역대표부(USTR)와 마주해 온 산업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나선다. 2차 협의에서는 6개 부문이 양자 간 중점 논의 대상이다. 구체적으로 ▲균형무역 ▲비관세조처 ▲경제안보 ▲디지털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 등에 대한 실무협의가 진행된다. 우리 측은 장성길 산업부 통상정책국장이 수석대표를 맡는다. 또 기재부, 농식품부, 과기부 소속 실무자들이 합류해 여러 세부 쟁점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균형무역'의 경우,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폭 감소를 위한 양국 협력 방안이 논의될 전망이다. 우리 측에선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 등을 주요 의제로 삼아 협상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이 나온다. 미국이 우리나라에 폐지를 요구한 '비관세조처'에서는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배출가스 관련 부품 규제, 30개월 미만 소고기만 수입 허용, 온라인 플랫폼 기업의 독과점 규제 등이 의제로 오를 것으로 보인다. '경제안보'에는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증액이 속한다. 또 반도체·배터리 공급망과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 대중국 견제를 위한 수출통제 등 무역정책, 청정에너지 협력 등의 분야가 거론될 수 있다. '디지털교역'에서는 고정밀 지도 해외 반출과 관련한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산지'와 '상업적 고려'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서 규정하고 있는 서비스투자, 상품양허, 품목별원산지기준 등에 대한 개정 논의가 오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우리 측은 2차 협의에서 조선업 협력 등을 지렛대로 삼아 이미 25% 관세가 부과된 자동차,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인하 또는 철폐를 요구할 방침이다. 상호관세율을 최대한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추고 협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양국은 오는 7월8일 이전에 관세협상을 타결한다는 목표로 2차 실무협의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우리는 일단 6·3 대선 전에 현 내각을 중심으로 미국과 협상을 벌인 뒤 새 정부가 들어서면 타결에 이른다는 게 목표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7월8일까지 예정된 시한을 맞추려고 최대한 노력하겠지만 불가피할 경우 조정이 있을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리어 대표에게 국가별 관세 및 품목 관세 일체에 대한 면제를 요청했다. 일단 7월8일에 맞추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통상전문가들은 품목별 관세 폐지에 총력전을 펼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내고 있다. 대미 수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품목별 관세 폐지에 우선순위를 두면서 기본관세 10% 수준까지 상호관세율 인하를 시도하는 방식이다. 앞서 1차 협의는 지난 16일 서귀포 중문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렸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 참석차 내한한 제이미슨 그리어 미 USTR 대표와 양자 회담을 가졌다. 회담에서 양측은 관세·비관세조치, 경제안보, 투자협력, 통화정책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한 진행된 실무협의에 대해 중간 점검을 진행했다. 또 2차 기술협의를 통해 양국의 관세 협상을 본격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2025-05-18 16:27:36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CJ올리브영 매출 고속 성장 지속...온·오프라인 동반 호조

CJ올리브영이 방한 외국인 관광객 증가와 온라인 사업 고성장에 힘입어 올해 1분기 두 자릿수 실적 성장을 기록했다. 18일 국내 뷰티 업계에 따르면, CJ올리브영이 올해 1분기 실적으로 매출은 1조2342억원, 순이익은 126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4%, 순이익은 19% 커졌다. 특히 오프라인 매출과 온라인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5%, 14% 증가해 고른 성장을 보였다. 우선, 오프라인 매출 성장세에는 방한 외국인 관광객 유입이 주효했다. 올리브영은 현재 전국에서 1379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 명동, 홍대, 성수 등 외국인 관광이 집중된 상권에서 대형 매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다. 올해 3월 말 기준, 외국인 매출 순위는 명동타운점, 홍대타운점, 올리브영엔(N) 성수점 순으로 집계됐다. 혁신매장 1호점인 올리브영엔(N) 성수의 경우, 지역과 국적을 불문한 외국인 고객층이 두루 찾는 '글로벌 K뷰티 랜드마크'로 입지를 다졌다. 실제로 올리브영엔(N) 성수를 방문한 외국인의 국적 비중은 영미권이 68%로 가장 높았고, 일본 17%, 중국 13% 등 다양한 국가의 소비자들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올리브영은 2분기 내 일본 골든위크 등 계절적 특수에 힘입어 외국인 고객 매출이 한층 더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리브영에 따르면, 체험형 뷰티 공간을 마련해 차별화한 올리브영만의 쇼핑 공간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 대표적으로 올리브영엔(N) 성수의 '액티브 스킨케어' 구역에서는 개인 두피와 피부에 적합한 스킨케어법을 무료로 상담받을 수 있다. 또 매장에 상주하고 있는 뷰티 전문 컨설턴트가 피부 유형을 파악한 맞춤형 뷰티법에 개인 취향이나 라이프스타일까지 반영한 메이크업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 자체 브랜드(PB)와 연계한 행사도 글로벌 소비자 접점을 늘렸다. 올리브영의 스킨케어 브랜드 '바이오힐보'는 최근 올리브영엔(N) 성수에서 피부의 탄력 상태와 노화 진행도를 측정해 볼 수 있는 팝업을 열었다. 지난달에는 메이크업 브랜드 '웨이크메이크'가 쇼룸을 운영하며 신제품을 소개했다. 해당 브랜드 모두 이미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K뷰티 팬 층을 확보해 온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지난 2020~2023년 기준 일본에서 바이오힐보, 웨이크메이크 등의 매출액은 연평균 125% 급증했다. 이와 함께 올리브영의 전체 매출에서 온라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8.9%이다. 앞서 2023년 26.7%, 2024년 28.3% 등에서 우상향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리브영은 '올리브영 글로벌몰'이 영미권 중심으로 고성장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올리브영 글로벌몰 전용 물류 인프라에 투자를 확대하는 등 온라인 사업도 지속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K뷰티 선호도가 높은 미국을 중심으로 뷰티 플랫폼을 강화하고 입점 브랜드를 고도화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현지 소비자 취향에 발맞추는 전략이다. 일본에서는 자체 브랜드(PB) 중심의 사업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 한편, 국내 뷰티 시장에서도 올리브영은 기업 입지 확대에 속도를 낸다. 지난 16일 올리브영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KDB생명타워를 매입한다고 공시했다. 취득가액은 6744억원으로 자산 총액(2조2680억원) 대비 29.7%에 달한다. 취득 목적은 사옥 용도이다. KDB생명타워는 지하 9층, 지상 30층 규모이며 CJ올리브영은 이미 빌딩 임대면적의 40%를 사용하고 있다.

2025-05-18 16:14:30 이청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