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양성운
기사사진
포스코홀딩스, 글로벌 ESG 평가 우수 기업 선정

포스코홀딩스가 ISS, 서스테이널리틱스 등 글로벌 ESG 평가기관으로부터 ESG 경영성과 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14일 포스코홀딩스에 따르면 지난달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ISS의 '퀄리티 스코어'(Quality Score) 평가 결과 ESG 전 영역에서 1등급을 받았다. ISS의 퀄리티 스코어는 매월 전 세계 주요 기업의 ESG 정책과 거버넌스, 정보 공시 내역 등을 평가해 상위 10%에게 영역별 1등급을 부여한다. 포스코홀딩스는 ESG 채권 심사 기관인 서스테이널리틱스의 ESG 리스크 평가에서 2022년 37.5점으로 위험도 '상'(High Risk)을 받았으나 2023년 24.4점·위험도 '중'으로 위험도 점수가 개선됐다. 이로 인해 업종별 글로벌 상위 5% 이내 기업에 수여되는 '2024 업계 최고 등급'(Industry Top Rated) 배지를 받았다. 포스코홀딩스는 전기로 도입, 수소환원제철 기술(하이렉스·HyREX) 투자 등 저탄소 생산 체제 전환 노력과 그룹 안전 협의회, 그룹 공급망 관리 협의회 신설, 그룹 ESG 협의회 등 ESG 활동의 성과를 평가받은 결과라고 자평했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지난해 한국ESG기준원 평가에서 포스코홀딩스는 A+등급,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퓨처엠, 포스코DX,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엠텍 등 포스코그룹의 모든 상장사도 'A' 등급을 받아 국내에서도 그룹 ESG 경영 역량을 인정 받았다. 포스코홀딩스는 지주회사 중심의 ESG 거버넌스 체계를 한층 더 강화하고, 글로벌 ESG 평가기관 및 투자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ESG 투자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이해관계자와도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ESG 프리미엄 밸류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2024-03-14 13:48:23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소형 CUV 절대 강자' 트랙스 크로스오버, 레드라인 트림 추가…연식변경으로 상승 기대감

한국지엠 쉐보레가 소형 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CUV)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연식변경 모델 출시로 국내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쉐보레는 14일 2025년형 트랙스 크로스오버를 출시하고, 판매에 나선다고 밝혔다. 2025년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기존 운영 트림인 LS와 RS, 악티브(ACTIV)에 레드라인(REDLINE) 트림을 추가했다. 레드라인은 쉐보레 전 제품에 있는 특별 트림으로, 2015년 북미 최대 자동차 부품 전시회 세마쇼(SEMA Show)에서 선보인 콘셉트에 기반한다. 트랙스 크로스오버 레드라인의 외관은 그릴과 그릴바, 아웃사이드 미러, 스키드 플레이트 인서트에 글로스 블랙 외장이 적용되며, 레드 스트라이프 그릴 및 아웃사이드 미러를 포함, 레드라인 전용 17인치 글로스 블랙 레드라인 알로이 휠 및 블랙 휠캡, 레드 아웃라인 블랙 트랙스 레터링, 루프랙 등 강렬한 레드 컬러와 블랙 컬러를 조합했다. 실내도 요소 곳곳을 검은색으로 꾸며 시크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편의 사양은 앞좌석 3단 열선시트, 열선 스티어링휠(운전대), 풀오토 에어컨, 뒷좌석 에어벤트(통풍구), 버튼 시동&스마트키, 2열 일루미네이팅 듀얼 USB 포트(충전 전용), 러기지 보드 등을 적용했다. 2025년형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GM 커넥티비티 서비스 온스타가 최초 적용된다. 온스타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차를 원격제어(시동, 잠금, 경적, 비상등)하고, 자동차 상태 정보(주행기록, 타이어 공기압, 연료량, 엔진오일수명, 연료효율) 등을 볼 수 있다. 또 자동차 진단 기능 등 다양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한다. 국내 적용되는 온스타는 자동차와 모바일 기기를 보다 쉽고 빠르게 연결하는 디지털 활성화(디지털 액티베이션) 기능을 GM 글로벌 시장 중 처음 도입한다. 기존에는 상담사를 통해 서비스에 가입해야 했다면, 이 과정 없이 온스타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온스타는 악티브와 RS 트림부터 기본 적용된다. 올해 상반기 서비스를 시작해 2년 무상 제공된다. 2025년형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가격은 LS 2188만원, 레드라인 2595만원, 악티브 2821만원, RS 2880만원이다. 한편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지난해 국내 소형 CUV 세그먼트 1위를 기록했을 뿐 아니라 가장 많은 수출 실적을 기록한 쉐보레의 대표 모델이다. 지난해 내수 시장에서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판매량은 2만3656대를 기록하며 소형 CUV 시장에서 73%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수출 시장에서도 놀라운 기록을 작성했다.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지난해 총 21만6833대를 해외 시장에 판매하며 현대차 코나·아반떼 등을 제치고 전체 자동차 수출 1위 모델의 자리에 등극했다.

2024-03-14 13:38:17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현대차·기아, CDP 기후변화 대응 부문 우수기업 선정…"지속 가능한 미래 만들 것"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세계적인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로부터 국내 최고 수준의 성과를 인정받았다. 14일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2023 CDP 코리아 어워드'에서 각각 기후변화 대응 부문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과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를 수상했다. CDP는 2000년 영국에서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와 함께 가장 공신력 있는 지속가능성 평가기관 중 하나다. 이번 평가에서 현대차는 기후변화 대응 부문에서 최고 등급인 '리더십 A'를 획득해 상위 5개 기업에게 수여되는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을 수상했다. 기아는 기후변화 대응 부문에서 '리더십 A-'를 획득해 해당 산업 섹터(선택소비재) 상위 2~4개 기업에게 수여되는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를 5년 연속 수상했다. 현대차는 평가 과정에서 ▲2045 탄소중립 전략 추진 ▲전동화 라인업 지속 확대 ▲협력사 탄소중립 유도 ▲사업장 재생에너지 전환 확대 ▲기술 및 자연 기반 탄소상쇄 사업 발굴 등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탄소경영 활동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기아는 ▲2045 탄소중립 전략 추진 ▲ RE100 가입 및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저탄소 친환경 제조공정 적용 ▲ 엄격한 방류수 수질 관리 및 폐수 재활용 확대 ▲실시간 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 중장기 차원의 경영 활동을 인정받았다. 현대차 경영전략3실장 황동철 상무는 "CDP 평가 기준이 매년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높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문조직을 강화하고 다양한 탄소 감축 방안을 실천, 모색해 온 노력의 결과라고 생각한다"라며 "앞으로도 원료의 채취부터 제품 폐기에 이르기까지 가치사슬 전반의 탄소중립 활동을 적극적으로 시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아 안전환경센터장 조정현 상무는 "CDP 평가에서 지속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탄소중립, RE100 선언과 함께 이를 위한 다양한 탄소 감축 활동을 추진해왔기 때문"이라며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다양한 활동과 자원 순환율 향상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3-14 13:38:16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현대차, 다양한 확장성 갖춘 새로운 전동화 플랫폼 'ST1' 공개…올 상반기 판매 예정

현대자동차가 14일 첫 전기상용차 플랫폼인 'ST1'의 디자인을 공개했다. ST1은 샤시캡(차량의 뼈대와 승객실만으로 구성된 차량)에 기반해 사용 목적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확장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플랫폼의 명칭인 ST1은 'Service Type1'(서비스 타입1)의 약자로, 숫자 1은 플랫폼의 첫 번째 모델임을 의미한다. 현대차는 STI 개발로 승용에 이어 상용 모델까지 전동화 라인업을 확장하면서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ST1의 외장 디자인은 상용 차량인 만큼 안전성과 실용성을 고려해 완성됐다. 전면부를 보닛의 절반 정도가 캡(승객실)보다 앞으로 돌출된 형태로 디자인했다. 충돌 시 차체가 충격을 흡수해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기 위함이다. 또 전면 범퍼, 측면 사이드 장식, 후면 도어 테두리 등 긁힘이 자주 발생하는 부위에 검은 색상의 보호장치를 적용했다. 이와 함께 적재함 용량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지하 주차장으로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지상고(노면과 차밑바닥의 틈새 크기)를 낮췄다. 덕분에 작업자는 적재함에 편하게 오르내릴 수 있게 됐다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현대차는 올해 상반기 ST1의 주요 사양과 제원, 가격을 공개하고, 샤시캡에 각각 일반 적재함과 냉동 적재함을 장착해 물류 및 배송 사업에 특화한 차량인 카고와 카고 냉동 모델부터 국내에서 먼저 판매할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ST1은 다채로운 확장 가능성을 지닌 비즈니스 플랫폼"이라며 "물류와 배송 사업에 최적화된 차량을 시작으로 향후 다양한 용도에 맞춘 플랫폼으로 확장될 수 있는 만큼 많은 고객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4-03-14 13:37:41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한국타이어, 美 최대 전기차 박람회서 '아이온' 기술력 선보여…북미 시장 공략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가 16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리는 '일렉트리파이 엑스포'에 참가해 전기차 전용 타이어 등 기술력을 선보인다. 일렉트리파이 엑스포는 북미 최대 전기차 박람회로 2021년 첫 개최 이후 글로벌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는 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국타이어는 올랜도를 시작으로 롱비치, 샌프란시스코, 뉴욕, 오스틴 등 미국 내 8개 지역에서 열리는 모든 행사에서 체험공간 '데모 디스트릭트'를 후원하고 롱비치 등 주요 4개 지역 행사에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한국타이어는 최상위 전기차 전용 타이어인 '아이온(iON)' 브랜드의 퍼포먼스 타이어 '아이온 에보', 사계절용 타이어 '아이온 에보 AS', 겨울용 타이어 '아이온 아이셉트' 등을 선보인다. 또 전기차 레이싱 대회인 'ABB FIA 포뮬러 E 월드 챔피언십'의 공식 전기차 레이싱 타이어를 함께 내세워 혁신 기술력과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계획이다. 한국타이어의 아이온은 전기차 특화 기술 '아이온 이노베이티브 테크놀로지'를 적용해 접지력과 핸들링, 제동력, 저소음, 전비 등에서 균형 잡힌 성능으로 전기차에 최적화했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전기차 상용화 이전부터 원천 기술을 확보하며 전기차 전용 타이어 시장을 선점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며 "세계 최초 풀라인업 전기차 잔용 타이어 브랜드 아이온과 포뮬러 E월드 챔피언십 공급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4-03-14 13:37:39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전재호 불스원 대표, 유튜브 채널 '러브마이카 by 불스원' 통한 디지털 마케팅 강화

전재호 불스원 대표가 유튜브 채널을 통한 디지털 마케팅에 힘을 싣고 있다. 14일 불스원에 따르면 그동안 러브마이카 캠페인을 통해 올바른 차량관리 노하우를 공유하며 내 차 사랑하기 문화 확산을 힘써온 불스원은 오프라인에 집중됐던 영업 방식을 넘어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새롭게 내새워 고객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지난해 5월 새롭게 리뉴얼한 공식 유튜브 채널 '러브마이카 by 불스원'은 차량관리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인식을 바로잡는 양질의 콘텐츠로 단기간에 5만여명의 구독자를 확보했고, 앞으로도 유쾌하면서도 유익한 콘텐츠를 선보이며 구독자를 늘려나갈 예정이다. 불스원은 지난해 4월 전재호 대표이사가 취임한 이후 공식 유튜브 채널을 새롭게 리뉴얼해 유익한 차량 관리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함께 오프라인 시장에 치중했던 전략에서 과감하게 탈피해 온라인 커머스 사업 확장과 D2C 시장 트렌드에 맞춰 불스원몰을 육성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불스원은 올해도 변함없이 디지털 마케팅 역량 가속화 전략을 이어간다. 특히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재미 요소를 강화해 어렵게만 느꼈던 차량관리 콘텐츠를 쉽게 풀어낼 예정이며, 본격적인 셀프 세차 문화의 저변 확대와 디테일링 문화 선도를 위해 청소에 미친 남자로 활약 중인 브라이언과 함께 '세친놈'이라는 신개념 세차 예능 코너도 선보였다. 전재호 대표는 "유튜브 플랫폼을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는 온라인 트렌드에 발맞춰 디지털 마케팅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며 "차량용품에 대한 잘못된 정보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막고 올바른 차량관리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2024-03-14 11:00:45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지엠한마음재단, 인천 청소년 지원센터에 트레일블레이저 5대 기증…2005년 이후 누적 681대 기증

지엠한마음재단코리아(한마음재단)가 13일 한국지엠 부평 본사에서 차량 기증식을 개최하고 인천 지역 청소년 지원센터에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5대를 전달했다. 기증된 차량은 청소년들의 진로 상담, 사회생활 적응, 야외 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활용된다. 한마음재단은 지역 청소년들의 사회 적응과 신체·정서적 건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쉐보레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인 트레일블레이저는 넓은 실내 공간과 뛰어난 연비, 다목적 성능 등 강점을 기반으로 한 대표 모델이다. 한마음재단은 이번 기증 차량을 포함해 2005년 이후 누적 681대의 차량을 지역사회에 기증했다. 이 외에도 교통 약자와 환경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는 글로벌 GM의 다양성 및 포용성 문화 확산과 교통사고 제로, 교통체증 제로, 탄소배출 제로 등 트리플 제로 비전 확산을 위한 노력의 일환이며 앞으로도 한마음재단은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사회 및 소외 계층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한마음재단은 앞으로도 지역 사회와 소외계층을 위한 지원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헥터 비자레알 한국지엠 사장은 "트레일블레이저 차량을 통해 사회 통합 및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을 지원하게 돼 기쁘다"며 "우리의 사람과 제품을 통해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확대하고 모든 사람이 가치 있고 존중받는 사회를 만드는 여정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3-13 16:32:57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 기록한 LCC…치열한 순위 경쟁 예고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올해 실적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한 치열한 경쟁에 나서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완전히 회복된 해외 여행 수요 확보를 위해 신규 노선 확보를 통한 수익선 개선으로 향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 이후 발생할 지각변동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다만 LCC 업체간 경쟁 격화로 수익성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등 국내 주요 LCC4개는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티웨이항공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조3488억원으로 전년 대비 157% 증가하며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1394억원, 1002억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LCC 매출 1위를 기록한 제주항공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145.4% 증가한 1조724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기존 최대 실적이었던 2019년 1조3840억원보다 3400억원 높은 수치다. 영업이익은 1698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했다. 진에어는 지난해 매출 1조2772억원으로 전년 대비 11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816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에어부산은 지난해 매출 8904억원과 영업이익 159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119.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4개 회사 모두 창립이래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도 2018년 이후 5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코로나19 부진을 완벽하게 털어냈다. 이같은 성장 배경에는 코로나 엔데믹으로 빠르게 증가한 해외여행객의 영향이 크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로 나간 여행객 수는 2272만명으로 2019년 대비 79% 수준을 기록했으며 수요가 증가하면서 항공권 가격도 일제히 상승했다. 그동안 억눌렸던 보복 소비로 인해 여행 수요가 몰리면서 당시 치솟은 국제선 항공권 가격은 좀처럼 내려오지 않았다. LCC업계는 이같은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 올해 신규 노선 확보를 통한 여행객 잡기에 집중하고 있다. 진에어는 인천과 일본 미야코지마를 오가는 노선에 단독 취항한다. 진에어는 오는 5월 29일부터 해당노선에 189석 규모의 B737-800을 투입해 주 5회 일정으로 운항한다. 미야코지마는 일본 오키나와에서 남서쪽으로 300㎞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한 섬이다. 푸른 바다와 따뜻한 날씨가 어우러져 '일본의 몰디브'라고 불리며 최근 방문객이 늘어나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4월 1일부터 호주의 버진오스트레일리아와 인터라인 협정을 맺고 오세아니아 대륙 노선을 확대한다. 인터라인이란 여러 항공사가 운항 중인 노선을 하나의 티켓으로 연계해 판매하는 것이다. 티웨이항공은 인천-시드니 노선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번 협정으로 버진오스트레일리아의 항공권을 티웨이항공과 연계한 국내 여행사 플랫폼에서 한 번에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시드니공항에서 호주 국내선 및 주변 국가를 편리하게 환승해 여행할 수 있게 된다. 시드니와 연결편 구매가 가능한 노선은 브리즈번, 멜버른, 골드코스트, 퍼스, 케언즈 등 호주 주요 9개 도시 그리고 뉴질랜드 퀸스타운과 피지섬이다. 몽골 노선을 둘러싼 경쟁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최근 열린 한국-몽골 항공회담에 따라 지방공항에서 몽골 울란바토르로의 하늘길도 확대됐다. 양양과 제주공항에서 각각 몽골로 가는 신규 노선을 만들고 기존 운항하던 부산·대구·청주·무안 등 지방공항에서의 1회당 200석 이하 기종 제한을 없앴다. 몽골 노선의 경우 2022년 LCC에 운수권이 배분되면서 32만명을 기록하다 지난해 65만명까지 증가했다. 다만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인한 LCC 업계의 지각변도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두 회사 합병의 최대 수혜자로 불리는 티웨이항공이 대한항공으로부터 유럽 4개 노선을 양도받게 될 경우 매출은 3000~4000억원이 추가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그렇게 된다면 LCC 업계 매출 1위도 노려볼 수 있다. 합병 주체의 자회사인 진에어와 에어부산, 에어서울도 합병이 최종 승인되면 통합 절차를 밟는다. 세개의 회사가 하나로 합쳐질 경우 규모는 LCC 업계에서 최대가 될 전망이다. 제주항공는 아시아나항공 화물 부문을 매각할 경우 매출과 영업이익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 항공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LCC들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시기다"며 "합병을 통해 3사가 통합할 경우 규모면에서 타 항공사를 앞서지만 신규 노선 운항 등 사업 다각화로 대비한다면 전체적으로 상승 분위기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4-03-13 16:22:49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한화임팩트, 노사상생 기반 임금교섭 위임식 개최

한화임팩트 글로벌 경기침체와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한화임팩트는 지난 12일 울산사업장에서 올해 임금교섭에 관한 모든 권한을 회사에 위임한다는 내용의 '2024년 임금교섭 위임식'을 진행했다고 13일 밝혔다. 한화임팩트 관계자는 "임금교섭 위임은 노사 간 상호 신뢰와 소통을 바탕으로 회사의 비전을 달성하겠다는 목표에 구성원 전체가 공감하고 노력한 결과"라며 "석유화학 업계 불황을 타개하고 지속가능한 사업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뜻을 합쳤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화임팩트는 안전을 최우선시하는 가운데 지속가능한 고순도 테레프탈산(PTA) 사업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 경쟁력 강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한화임팩트 노사는 회사와 노동조합의 상생을 위해 지속적으로 소통하는 한편 사업 경쟁력 강화 목표 달성을 위해 합심할 계획이다. 한화임팩트는 기술혁신을 통해 인류와 지구에 긍정적인 임팩트를 창출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끌겠다는 비전 아래, 폴리에스터 섬유의 기초 원료인 고순도테레프탈산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사업과 더불어 에너지 전환, 생명과학, 디지털·데이터테크 등 미래 혁신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2024-03-13 15:33:27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현대차그룹, iF 디자인 어워드서 31개상 휩쓸어

현대자동차그룹이 독일 2024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금상 등 총 31개 상을 받아 세계 최고 수준의 디자인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13일 밝혔다. 독일 국제포럼디자인이 주관하는 iF 디자인 어워드는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27개 상을 받았는데 올해엔 31개 상을 획득했다. 제품 부문 자동차에선 기아 EV9이 최고 영예인 금상을 수상했다. EV9의 전면부는 '디지털 패턴 라이팅 그릴'과 다양한 조명이 어우러져 '디지털 타이거 페이스'를 완성하고, 후면부는 깨끗하게 정제된 면의 테일 게이트가 '스타맵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와 조화를 이뤄 세련되고 강인한 느낌을 완성한다. 또 현대차 싼타페, 아이오닉 5 N 등은 본상을 받았다. iF 디자인 어워드 측은 "기아 EV9은 다른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구식으로 보이게 만든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프로페셔널 콘셉트 부문에서는 제네시스 엑스(X) 컨버터블, 싼타페 XRT, HMGICS 안전 보전 로봇 콘셉트가 본상을 받았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 각 브랜드의 디자인 철학과 미래에 대한 영감이 응집된 결과"라며 "자동차에서 브랜딩에 이르기까지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03-13 15:16:36 양성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