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비상경영 확산…삼성·SK·LG 등 전략회의 잇따라 개최
2023년 세계 경제 위기 우려속에 국내 산업을 대표하는 대기업들이 위기 대응을 위한 비상 경영 체제 돌입하고 있다. 최근 임원 인사를 끝낸 삼성전자가 15일부터 글로벌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SK와 LG 등 국내 주요 기업들도 내년 경영 준비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경제 위기 속에서 기업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하기 위함이다. 13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안정 속 젊은 인재 중용으로 사장단과 임원인사를 마무리 짓고 조직개편을 통해 실무진의 세부 역할을 조정했다. 특히 15일부터 진행하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통해 실적 악화 전망을 타개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선다. 삼성전자 DX 부문은 오는 15일부터 16일까지, DS부문은 오는 22일 각각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회장 취임 후 첫 전략회의인 만큼 회의에 직접 참석 가능성도 예상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고환율, 공급망 불안, 소비 위축 같은 복합위기 돌파 전략을 논의할 방침이다. DX부문에서는 TV와 스마트폰 등 주요 제품의 수요 둔화에 따른 프리미엄 전략과 북미·유럽·중남미 등 주요 시장 공략 방안, 비용 절감 방안 등을 논의한다. DS부문은 전 세계 불황에 따른 반도체 시장 타개책을 모색한다. 3나노 등 첨단 공정 수율 확보와 글로벌 메모리 가격 하락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 파운드리 공장 건립 현황 등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LG그룹도 지난 8일 구광모 회장 주재로 사장단 협의회를 개최하고 미래 준비에 들어갔다. 통상 분기에 한번씩 열리는 사장단 협의회는 신임 최고경영자(CEO)들을 포함, 40여명이 한데 모여 내년 경제전망과 사업계획을 점검한다. 구 회장은 올해 9월 사장단 워크숍을 개최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계열사별로 사업보고를 받으며 대외불황을 타개할 사업전략을 논의했다. 구 회장이 거의 매달 계열사 경영진이 한자리에 모이는 대면회의를 잇따라 열면서 내년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악화된 경영환경을 어느 때보다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LG 핵심 계열사인 LG전자의 TV사업을 담당하는 HE(홈엔터테인먼트) 사업본부는 올해 4분기부터 영업이익이 7년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SK는 안정적인 임원인사를 진행하고 내년 생존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다만 '반도체 한파'의 영향으로 내년 혹독한 한파가 불어닥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지난 10월 그룹 차원으로 진행된 '최고경영자(CEO) 회의'에서 내년 생존전략을 모색했지만, 시장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밝지 않다. SK하이닉스는 올 4분기 영업적자가 예상될 정도로 상황이 좋지 않다. 이미 수익성 낮은 제품을 중심으로 생산을 줄이고 내년 투자 계획도 절반 이상 축소하는 등 긴축 경영에 나섰다. 지난 8~9일에는 SK하이닉스·텔레콤·스퀘어 등 그룹 ICT(정보통신기술) 계열사 수장들이 모여 첫 글로벌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향후 전략을 논의했다. 삼성과 SK, LG 외에도 주요 대기업들은 내년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대비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자동차도 SK하이닉스와 마찬가지로 대외 불확실성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내년 투자 규모를 9조2000억 원에서 8조9000억 원으로 3000억 원가량 하향 조정했다. 포스코그룹의 경우 이미 지난 7월부터 비상경영체제 전환을 선언, 최정우 회장 주재로 그룹 내 사장단과 전 임원이 한데 모여 '그룹경영회의'를 열고 사업별 리스크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아울러 현대제뉴인과 현대인프라코어, 현대건설기계 등 현대중공업그룹 건설기계 3사도 지난 9월 CEO 공동담화문을 통해 비상경영을 선포했다.